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컨테이너 크레인 및 장비 구조 핵심 정리

컨테이너 크레인의 각 부분 명칭과 주요 기능, 그리고 규격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1.1. 컨테이너 크레인 주요 용어 및 제원

  • 스팬 (Span): 컨테이너 크레인의 해상측 레일 중심에서 육상측 레일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주의: 육상측으로 최대로 나갈 수 있는 거리가 아님)

  • 아웃 리치 (Out Reach): 크레인이 육상측으로 최대로 뻗어 나갈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합니다.

  • 호이스트 이동거리: 인양 높이에서 스프레더가 선박 화물창(선내) 내에 최대로 내려갈 수 있는 거리를 말합니다.

  • 크레인 규격 예시: 16열을 처리할 수 있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아웃 리치는 약 45m입니다.

  • SWL (Safety Working Load): 안전작업하중을 의미하며, 해당 장비가 안전하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입니다.


1.2. 트랜스퍼 크레인 (Transfer Crane)

  • 특징: ISO 20, 40, 45 피트의 컨테이너를 모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종류: 레일식 (RMGC), 타이어식 (RTGC) 등이 있으며, 장비에 따라 운전 속도는 다를 수 있습니다.


1.3. 스프레더 및 운전 장치

  • 스프레더 주요 동작 장치:

    • 틸팅 디바이스 (Tilting Device): 선박 위에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져 놓인 컨테이너를 똑바로 들어 올리기 위해 스프레더를 동일하게 기울이거나 비틀게 하는 장치입니다. 실린더 위치 체크에는 인코더 센서가 사용됩니다.

    • 텔레스코픽 (Telescopic) 장치: 컨테이너 길이에 맞게 스프레더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 트위스트 록 (Twist Lock) 장치: 컨테이너와 스프레더를 연결/분리하는 장치입니다.

    • 플리퍼 (Flipper) 장치: 컨테이너 정렬을 돕는 장치입니다.

  • 싱글 스프레더 착상 리밋 스위치 개수: 4개

  • 트위스트 록 바이패스 스위치: 스프레더가 컨테이너에 착상되어 있지 않아도 트위스트 록 장치가 작동하게 합니다.

  • 운전실 마스터 컨트롤러: 좌·우측 레버를 가운데에 두면 해당 장치는 정지됩니다.

  • 붐 인양 불가 시 확인 사항: 붐 래치 핀 체결 여부, 트롤리 주차(정지) 위치 여부, 붐 와이어로프 탈선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주의: 레일 클램프는 돌풍으로 인한 미끄러짐 방지 장치입니다.)

  • 주행충돌방지장치 센서: 가장 우선적으로 거리 측정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1.4. 와이어로프 (Wire Rope)

  • 구성 요소: 소선, 스트랜드(Strand), 심강

  • 폐기 기준:

    • 한 꼬임에서 소선의 수가 10% 이상 절단된 것

    • 마모로 인하여 와이어로프의 직경이 공칭지름의 7% 이상 감소된 것

    • 킹크(Kink, 꼬임), 열에 의해 손상된 것 등



2. 하역 및 물류 관리 용어 정리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필수 물류 용어와 화물 종류를 정리합니다.


2.1. 하역 관련 용어

  • 래싱 (Lashing): 선박에 실린 화물을 고정시키는 작업입니다.

  • 배닝 (Vanning): 컨테이너에 물건을 싣는 작업입니다.

  • 디배닝 (Devanning): 컨테이너에서 물건을 내리는 작업입니다.

  • ULD (Unit Load Device): 항공기의 탑재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컨테이너나 팰릿 등 단위 탑재 수송 용기입니다.

  • 언로더 (Unloader): 본선으로부터 석탄, 광석 등 벌크화물을 부리거나, 트럭 수송 시 팰릿을 내리는 기계입니다.


2.2. 컨테이너 터미널 구역

  • 에이프런 (Apron):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등 하역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 지정 보세 구역: 관세법상 통관을 위한 물품을 일시 장치하는 장소로서 세관장이 지정하는 구역입니다.


2.3. 컨테이너 종류별 운반 화물

  • Reefer Container (냉동/냉장): 과일, 채소, 냉동 화물 등 온도 조절이 필요한 화물

  • Tank Container: 화학품, 유류 등 액체 화물

  • Flat Rack Container: 목재, 기계류, 승용차 등 규격 외 화물

  • Open Top Container (43U0): 기계, 철강 제품, 판유리 등 지붕 개방형 화물


2.4. 선박 및 서류 관련 지식

  • 용적톤: 선박에 한정하여 사용되며, 선박의 용적을 톤으로 환산할 때 **100입방피트(100ft^3)**를 1톤으로 합니다.

  • 순톤수: 항만세, 운하 통과료 등 모든 세금과 수수료 산출 기준이 됩니다.

  • EIR (Equipment Interchange Receipt): 기기 수도를 증명하는 서류로, 컨테이너를 터미널에 반입 또는 반출할 때 교환됩니다.

  • 베이 플랜 (Bay Plan): 선박의 홀드와 데크 상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세부 사항을 나타냅니다. 적·양하지, 화물 적재 톤수, 컨테이너 번호는 표시되지만 화주명은 일반적으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3. 전기, 기계, 유압 원리

컨테이너 크레인의 구동 및 제어에 사용되는 기본 원리를 정리합니다.


3.1. 전기 및 제어

  • 옴의 법칙 (Ohm's Law): 저항 R에 전압 V를 가할 때 흐르는 전류 I는 I = V/R 입니다. (예: 저항 20 Ohm, 전압 50V → 전류 2.5A)

  • 전력량과 열량: 전력량 1kWh는 열에너지로 약 860kcal에 해당합니다. (예: 2kWh → 1,720kcal)

  • 쿨롱의 법칙: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전하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힘의 크기는 매질의 종류에 의해 정해집니다.

  • 계측기:

    • 멀티테스터: 전압 및 저항 측정

    • 메가테스터: 절연저항 측정

  • 3상 유도 전동기 회전 속도 제어법: 주파수 제어법, 종속 접속법, 저항 제어법 등이 있으며, 계자 제어법은 직류 전동기에 주로 사용됩니다.

  •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스캐닝 (Scanning):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 신호 만족 시 해당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연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 시퀀스 회로 (Sequence Circuit): 기계의 조작을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는 회로입니다.


3.2. 펌프 및 유압 장치

  • 캐비테이션 척도: 유효 흡입 수두 (NPSH)는 캐비테이션 발생 없이 펌프가 안전하게 운전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 양흡입 펌프: 축 추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유량을 증가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 피스톤 펌프: 고속 운전이 가능하고, 비교적 소형으로도 고압, 고성능을 얻을 수 있어 펌프 전체 효율이 기어 펌프보다 좋습니다. (단,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임)

  • 방향 제어 밸브 (슬라이드 밸브): 밸브 섭동면의 랩 다듬질로 밀봉이 우수하며, 밸브 변환에 큰 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유압 장치 소음 원인: 유압 장치에 공기가 흡입되었을 때 비정상적인 큰 소음이 발생합니다.

  • 축압기 (Accumulator): 강철제 용기에 기체를 봉입한 고무 주머니를 넣은 구조는 블래더식입니다.



4. 안전 및 재해 예방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재해 발생 원인, 소화 활동 등에 대한 지식입니다.


4.1. 안전 관리 및 재해 분석

  • 재해의 직접적 원인: 인적, 물적 원인

  • 재해의 간접적 원인: 기술적, 인간적, 관리적 원인

  • 연천인율: (사상자 수 / 1년간 평균 근로자 수) x 1,000 (예: 5 / 300 x 1,000 = 약 16.67)

  • 안전 관리 대책:

    • 소극적인 대책: 보호구의 사용

    • 적극적인 대책: 표준 동작의 작성/실시, 위험 공정의 배제, 정리 정돈

  • 가장 효율적인 안전 교육: 토의에 의한 교육 (문제 해결 훈련, 사례 연구 등)

  • 안전 보건 표지: 금지, 경고, 안내, 지시 표지가 있으며, 방향 표지는 교통 표지에 해당합니다.


4.2. 작업 안전 수칙 및 법규

  • 기계 운전 방법: 청소, 수리, 조정 작업 시에는 반드시 기계 운전을 정지시키고 작업해야 합니다.

  • 정전 작업 전 조치 사항: 작업 지휘자 임명, 잔류 전하 방전, 단락 접지, 검전기로 정전 여부 확인 등이 있습니다.

  • 화물 취급 시 중량 기준: 화물이 자기 체중의 1/2 이상일 경우 타인의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 선박 현문 사다리 기울기: 40도 이하이어야 합니다.

  • 컨테이너 터미널 차량 운행: 모든 하역 기계는 전조등, 후미등, 방향 지시기 및 경보 장치를 모두 갖춰야 하며, 야적장을 가로질러 횡단해서는 안 됩니다.


4.3. 화재 및 위험물

  • A급 화재 (일반 화재) 소화제: 물 또는 물을 많이 함유한 용액이 냉각 효과가 커 가장 효과적입니다.

  • 소화 효과:

    • 물: 냉각 효과

    • 할로겐화 탄화수소: 질식 효과, 부촉매 효과 (연소 억제)

    • 불활성 기체 (질소, 탄산가스): 희석 효과에 의한 질식 효과

  • 혼합 금지 위험물: 인화 액체 - 과산화나트륨, 사이안화물 - 산류, 탄화칼슘 - 물 등 격렬히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아세톤 - 아세틸렌은 친화력이 커서 폭발 위험 없음)

  • MFAG No.: 국제 해상 위험물 규칙에서 위험물 관련 사고 시 사용해야 하는 의료 응급 처리 지침 번호를 나타냅니다.


4.4. 검사 및 훈련

  • 비파괴 검사: 내압 검사, 초음파 검사, 자분 검사, 방사선 투과 검사 등이 있습니다. 압축 검사는 파괴 검사에 해당합니다.

  • 비상 훈련: 응급 처치 상황 훈련에는 다양한 부상 정도를 포함한 사고의 모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장비 구입이나 서류 소각 등은 해당되지 않음)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