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종자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종자의 생리 및 구조


1.1 종자의 구조 및 기능

  • 식물의 화기 구조 (4부분): 꽃받침, 꽃잎, 암술, 수술. (꽃자루는 구조에 해당하지 않음)

  • 피자식물의 핵: 꽃가루는 정핵 2개영양핵 1개를 가집니다.

  • 중복 수정 핵형:

    • 배 (Embryo): 정핵 (n) + 난핵 (n) -> 2n

    • 배유 (Endosperm): 정핵 (n) + 극핵 2개 (2n) -> 3n (배유핵)


1.2 발아 및 수명

  • 벼 종자의 발아 시작 수분 함량: 종자 무게의 **25 ~ 30%**를 흡수해야 발아가 시작됩니다.

  • 발아 촉진 광 파장: 발아를 가장 촉진시키는 광 파장은 적색 부분 (660 ~ 700 nm) 입니다.

  • 후숙 (After-ripening): 배의 미숙 때문에 발아가 늦어지는 경우, 종자가 모식물에서 떨어진 후 발아력을 얻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 암발아성 종자 (복토 필요):

  • 광발아성 종자 (복토 불필요): 상추, 우엉, 피튜니아

  • 발아율 계산: 발아율(%) = (정상적으로 발아한 종자 수 / 사용된 종자 수) x 100 (예시: 150 / 200 x 100 = 75%)

  • 종자의 퇴화 증상: 발아율 저하, 호흡 감소, 변색, 종자 침출물 증가 (감소 아님).

  • 종자의 수명 관련 요인: 내부요인 (성숙도, 조성, 유전적 요인), 저장환경 (온도, 수분함량), 미생물. (광선은 직접적인 수명 관여 요인에서 거리가 멈).



2. 육종 및 유전


2.1 유전의 원리

  • 멘델의 유전법칙 (독립의 법칙): 유전자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됩니다.

  • 양적 형질의 특징:

    • 개체 간의 변화가 연속적입니다 (불연속 변이 X).

    • 다수의 유전자 (폴리진)가 관여합니다.

    • 누적 효과가 있습니다.

    •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표현 정도가 일정하지 않음).

  • 염색체 교차: 염색분체들이 꼬여있는 모양을 키아즈마라고 합니다.

  • 돌연변이 빈도: 자연계에서 1개 대립유전자의 유전자 돌연변이 빈도는 10⁻⁶ ~ 10⁻⁵ 입니다.

  • 돌연변이 유발원 (물리적): X선, 감마선, 중성자, 베타입자, 양성자 등 (가시광선은 해당하지 않음).

  • 육종에 이용되는 변이: 유전 변이, 돌연변이, 교잡 변이 (환경 변이는 후대에 유전되지 않으므로 이용 불가).


2.2 육종 체계 및 방법

  • 채종 체계 순서 (마지막 단계):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 일반적인 육종 과정 순서: 육종목표 설정 -> 변이 작성 -> 우량계통 육성 -> 지역적응성 검정 -> 신품종 등록

  • 재래종 육종 시작: 재래종을 수집하면 제일 먼저 선발을 실시합니다.

  • 인공적인 일장 처리: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 단일 처리를 하면 개화가 촉진됩니다.

  • 교배 방식:

    • 단교배: A x B

    • 3원교배: (A x B) x C

    • 여교배: (A x B) x B

    • 복교잡: (A x B) x (C x D)

  • 자가불화합성 이용 F1 채종 작물: 무, 배추, 양배추 등. (F1 잡종도 품종으로 취급함)



3. 작물 재배 환경 및 기술


3.1 토양 및 비료

  • 비료의 3요소: 질소 (N), 인 (P), 칼륨 (K). (칼슘 (Ca)은 3요소 아님)

  • 산성화 토양에서의 양분 문제: 강산성 토양에서는 인산 (P) 의 가급도가 크게 감소합니다.

  • 뿌리혹박테리아 (질소 고정): 콩과 식물 ()은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여 질소질 비료를 적게 주어도 됩니다.

  • 토성 (경작지 적합): 사양토, 양토, 식양토가 토양의 수분, 공기, 비료성분의 종합적 조건에서 알맞습니다.

  • 이어짓기 해 방지 대책: 돌려짓기, 담수, 토양 소독, 내병성 품종 선택, 석회질소 시용, 배수 및 객토 (생력 재배는 노동력 절감 기술임).


3.2 재배 기술 및 환경

  • 작물 수량을 결정하는 3요소: 우수한 유전성 (품종), 좋은 환경 (재배 환경), 적합한 재배 기술.

  • 생력화 재배 기술: 기계화, 자동화, 생산비 절감, 공동화 기술, 제초제 사용.

  • 씨뿌림 시 고려 사항: 기상 조건, 작물의 종류, 생산물 출하 시기 (종자 색깔은 관련 없음).

  • 바람의 영향 (적당한 바람, 4 ~ 6 km/h 이하): 증산 작용 촉진, 광합성 촉진, 풍매화의 수분 및 결실 작용 촉진.

  • 멀칭 재료의 용도:

    • 여름철 지온 상승 억제: 볏짚, 흰색 필름

    • 잡초 방제: 흑색 플라스틱 필름

    • 과일 착색 촉진: 알루미늄을 입힌 필름

    • 봄철 지온 상승 촉진: 투명 플라스틱 필름

  • CA 저장 원리: O2의 농도를 줄이고, CO2의 농도를 증가시켜 저온에서 저장합니다.



4. 작물별 특성 및 관리


4.1 벼 (Rice)

  • 등숙 시 쌀알 발달 순서: 길이 -> 너비 -> 두께

  • 일반적인 수확 적기: 출수 후 40 ~ 50일경 (벼알 전체의 90% 이상 노랗게 변했을 때).

  • 종자용 벼 수확/탈곡:

    • 수확 시기: 일반 재배보다 5일 정도 앞당겨 황숙기에 수확합니다.

    • 탈곡 속도: 콤바인의 회전 속도는 300 rpm으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 산간지역 재배 품종: 기본 영양생장성이 짧고 감광성이 낮은 것.

  • 씨가림 (염수선) 비중: 일반 메벼 무망종 품종은 비중 1.13 액을 사용합니다.

  • 벼의 병명: 잎 끝부터 마르기 시작하여 점차 진전되고 잎이 회백색으로 변하며 말라 죽는 병은 도열병입니다.


4.2 기타 작물 및 관리

  • 수박 인공 교배 적기: 일반적인 자연 환경에서 오전 6 ~ 10시 사이.

  • 씨감자 고랭지 재배 이유: 진딧물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채소 이용 부위에 따른 분류: 동부는 종자 채소이며, 오이/호박/토마토는 열매 채소입니다.

  • 장미과에 속하는 것: 딸기.

  • 사과 생리 장해: 망간 (Mn)의 과다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은 적진병입니다.

  • 카네이션 생리 장해: 밤낮의 일교차가 심할 때 및 질소/붕소 부족 시 나타나는 현상은 언청이입니다.

  • 명아주과에 속하는 작물: 근대.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