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승강기 안전 및 법규

  • 카 프레임 구성 요소:

    • 카(Car)를 지지하는 주요 구조물은 상부틀(Cross Head), 하부틀(Flank), 브레이스 로드(Brace Rod)로 구성됩니다.

    • 카 바닥(Car Platform)은 카 프레임 자체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 주요 안전 기준 수치:

    • 비상등 조도 및 작동 시간: 카 내부 비상등은 최소 5룩스(lx) 이상의 조도를 유지해야 하며, 정전 시 1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어야 합니다.

    • 권상 도르래와 로프 직경의 비율: 주택용을 제외하고 40 이상이어야 합니다.

    • 기계실 출입문 크기: 폭 0.7m 이상, 높이 1.8m 이상이어야 합니다 (주택용 제외).

    • 소형 화물용 카/승강장 문 거리: 30mm 이하여야 합니다.

    • 경사형 엘리베이터 승강로 벽 높이 경계 각도: 45도.

  • 주요 안전 장치:

    • 에이프런(Apron): 카 출입구 하단에 설치되어 승객의 추락을 방지합니다.

    • 오버헤드 (Overhead): 승강로 최상층 승강장 바닥면에서 승강로 상부(기계실 바닥 슬래브 하부면)까지의 수직 거리를 의미합니다.



2. 엘리베이터 운전 방식 및 제어


운전 및 구동 방식

  • 승합 전자동식: 주로 1대 운행 시 적용되며, 진행 방향이 같으면 합승 호출에 응답하며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 권상식 (트랙션식) 특징:

    • 균형추를 사용해 소요 동력이 작고, 승강 행정에 제한이 거의 없습니다.

    •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로 인한 로프 마모가 발생합니다.

  • 로프 미끄러짐 감소 방법:

    • 권부각(감는 각도)을 크게 합니다.

    • 균형체인 또는 균형로프를 설치합니다.

    •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 계수를 크게 합니다.

    • 속도 변화율이 클 경우 미끄러짐이 커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로프 홈: 트랙션 능력이 큰 언더컷 형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균형추의 중량 계산:

    • 균형추 중량 = 카 자체 하중 + (정격 하중(L) x 오버밸런스율(F))


제어 및 안전 장치

  • 교류 귀환 제어: 카의 실속도와 지령 속도를 비교하여 사이리스터 점호각을 변경해 유도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 유압 엘리베이터:

    • 릴리프 밸브: 유압 상승 시 압력을 전 부하 압력의 **140퍼센트(%)**까지 제한하도록 설정됩니다.

    • 간접식 특징: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비교적 큽니다.

  • 비상 운전 제어:

    • 전기적 비상 운전 시 카 속도는 0.30m/s 이하입니다.

    • 우발적 작동을 막기 위해 버튼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야 제어가 허용됩니다.

  • 피난 운전: 피난 운전 중에는 문 닫힘 안전 장치를 제외한 모든 안전 장치는 작동 상태여야 합니다.



3. 에스컬레이터, 주차 및 기타 기계 요소

  • 에스컬레이터 경사도:

    • 일반적으로 30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 층고 6m 이하 조건에서 35도까지 증가 시, 공칭 속도는 0.5m/s 이하여야 합니다.

  • 에스컬레이터 안전: 구동 체인이 늘어지면 안전 레버 작동으로 안전 회로가 차단되어 구동이 정지됩니다.

  • 주차 장치: 수평 순환식은 다수의 운반기를 2열 이상으로 배열하여 순환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 기계 요소:

    • 베어링: 회전하는 축과 지지부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는 기계 요소입니다.

    • 기어 전동: 주로 짧은 축간거리의 동력 전달에 적합합니다.

    • 웜과 웜 기어: 두 축이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기어입니다.

    • 버니어 캘리퍼스: 외경, 내경, 깊이, 단차 등을 측정하며, 축의 편심량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4. 전기 및 제어 공학 기초

  • 3상 전력 계산:

    • 3상 전력 P[kW] = 1.732 x 전압(V) x 전류(I) x 역률(Power Factor)

    • (예: 1.732 x 220[V] x 20[A] x 0.6 는 약 4.6[kW]입니다.)

  • 위상 관계:

    • 전류의 위상이 전압보다 90도 뒤진 회로는 **유도성 부하(코일)**입니다.

  • 자기 인덕턴스:

    • 기전력(E) = L x (전류의 변화량 / 시간의 변화량) (L: 자기 인덕턴스)

    • (예: 6[V] = L x (1[A] / 0.1[s]) 이므로 L = 0.6[H] 입니다.)

  • 제어 공학:

    • 서보 기구 (Servo Mechanism):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하는 피드백 제어입니다.

    • 피드백 제어계: 설정부, 조절부, 검출부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 대상은 제어 장치에 속하지 않습니다.

    • 스위치: 리드 스위치는 비활성 가스를 충전한 유리관 속에 접점이 봉입되어 고속 동작을 합니다.

  • 논리 회로 및 불 대수:

    • 논리식 Y = A + B: 논리합(OR) 회로를 나타냅니다.

    • 불 대수 단순화: 'X의 부정' + X = 1 (항상 참)이므로, L = ('X의 부정' + X) + 'Y의 부정' 은 L = 1 + 'Y의 부정' 이 되어 최종적으로 L = 1이 됩니다.

  • 단위 변환: 파이[rad] = 180도 이므로, (3/2) x 파이[rad]는 270도입니다.

  • 브리지 회로: 평형 조건은 R x L2 = X x L1 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