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차체 구조 및 형식의 이해


A. 자동차 차체 분류 및 프레임 형식

자동차 차체는 크게 **모노코크 바디(Monocoque Body)**와 **프레임 바디(Frame Body)**로 나뉩니다.

  • 모노코크 바디 (일체형 차체):

    • 프레임과 차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차량 중량이 가볍고, 실내 공간을 낮고 넓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외부 충격 시 충돌 에너지를 차체 전체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단독 프레임이 없기 때문에 소음 및 진동 차단에는 높은 설계 기술이 필요합니다.

  • 프레임 바디 (분리형 차체):

    • 플랫폼형 프레임: 프레임과 보디 바닥면을 일체로 만든 형태입니다.

    • H형 (사다리형) 프레임: 2개의 사이드 멤버와 여러 개의 크로스 멤버를 결합하여 사다리 모양으로 제작한 가장 일반적인 프레임 형식입니다.

  • 차체 모양에 따른 분류 (세단 기준):

    • 노치백 세단 (Notchback Sedan): 차체 후부가 계단 형상으로 되어 있어 차실과 트렁크 공간이 명확히 분리된 승용차의 표준형입니다.

    • 캡 오버형 (Cap-over): 엔진이 운전석 아래에 설치되는 형식으로, 트럭이나 버스에 주로 적용됩니다. 동일 길이에서 적재함을 크게 만들 수 있지만, 엔진룸 면적이 좁습니다.


B. 프레임 변형 및 기준선

차체수리 시 프레임 손상 점검 및 측정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 프레임 기준선: 타이어가 지면에 닿는 바닥면, 프레임 중앙 수평 부분의 윗면/밑바닥, 앞뒤 차축의 중심선 등이 기준이 됩니다. (프레임 중앙 수직 부분의 옆면은 기준선이 아닙니다.)

  • 프레임 높이: 축거의 중앙에서 측정한 접지면에서 프레임 윗면까지의 높이를 의미합니다.

  • 충돌 손상 점검 (앞면 중앙부 외력 시): 라디에이터 서포트, 펜더 에이프런 패널, 프런트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멤버 결합 부위를 집중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뒤 트렁크 부위는 거리가 멉니다.)

  • 사이드 멤버 변형: 외부 힘이 가해지면 아래쪽은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위쪽은 **만곡(휘어짐)**되기 쉽습니다.



2. 용접 및 판금 수리 기술


A. 용접 관련 핵심 사항

차체 수리 시 사용되는 용접 기술에 대한 기본 지식은 필수입니다.

  • 점용접 (Spot Welding): 접합면의 일부가 녹아 바둑알 모양의 단면으로 변한 부분을 **너깃(Nugget)**이라고 합니다.

  • 알루미늄 용접: 알루미늄 실린더 헤드 균열 수리에는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TIG 또는 MIG)**이 가장 적합합니다.

  • 용입 불량: 용접부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은 용입 불량은 주로 용접 전류가 낮을 때 발생합니다.

  • 가스압 용접의 특징: 접합부에 탈탄층이 없고, 용접봉과 용재(플럭스)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B. 판금 공구 및 작업 안전

안전하고 정확한 수리를 위한 공구 사용법과 안전 수칙을 숙지해야 합니다.

  • 해머, 돌리, 스푼: 모든 접촉면은 매끄럽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스푼은 넓은 면을 수정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가 달린 돌리입니다.

  • 판금 작업 순서: 소성 변형(영구 변형)과 탄성 변형이 같이 있을 때는 소성 변형부를 먼저 수정합니다.

  • 프레스 선 수정: 프레스 선이나 각진 부분은 정(끌)을 이용하여 선에 비스듬히 기울여서 수정하지 않습니다. (특정 공구와 기법 사용)

  • 클램프 사용: 클램프에 힘을 가할 때, 힘의 방향은 톱니 부분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장선상에 위치해야 견인력이 확실합니다.

  • 안전보호구 (절대 주의): 드릴 작업 시 장갑이 말려 들어가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절대 장갑을 끼고 작업해서는 안 됩니다.



3. 도장 및 기계 장치 기본 지식


A. 도료 및 연마 작업

  • 프라이머 (Primer): 금속면의 녹 발생을 방지(방청)하고, 후속 도료와의 밀착성 및 내구성을 좋게 하는 성능을 가집니다.

  • 도장 결함 (도장 중 및 건조 과정): 도료가 너무 두껍게 도장되어 흘러내리는 현상을 **흐름(Sagging)**이라고 합니다.

  • 연마기: 단 낮추기 등 도장 작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이중 회전운동을 하는 연마기는 **더블 액션 샌더(Double Action Sander)**입니다.


B. 기관 및 장치 점검

  • 배압 (Back Pressure): 배기가스가 배기 통로를 빠져나갈 때 피스톤 운동에 저항하는 압력입니다. 배기관의 막힘이 배압 상승의 가장 주된 원인이며, 배압 증가는 출력 감소를 초래합니다.

  • 냉각수 순환 경로: 방열기(라디에이터) → 출구호스 → 물펌프 → 워터재킷 → 수온조절기(서모스탯) → 방열기 순으로 순환합니다.

  • 브레이크 현상: 긴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계속 사용하여 드럼/슈 또는 디스크/패드가 과열되어 제동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은 **페이드 현상(Fade)**입니다.

  • 점검 시동 필수 항목: 자동변속기 오일파워스티어링 오일의 양은 반드시 시동을 건 상태에서 점검해야 합니다.

  • 기관 회전수 단위: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rpm (Revolution Per Minute)**입니다.


C. 스프레이 건의 도료 통로 (Q52 해설)

스프레이 건에서 도료가 지나가는 통로는 **유체 팁(Fluid Tip)**입니다. 유체 팁은 건 본체에 고정되어 도료를 분사하며, 이 유체 팁 주변에 있는 **에어 캡(Air Cap)**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되어 나오는 도료를 미세한 입자로 분사(분무/Atomization)시켜 도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4. 기타 필수 암기 및 안전 사항

  • 물리량: 일 = 힘 × 거리 (Work = Force × Distance)

  • 온도 단위: 섭씨온도 (ºC), 화씨온도 (ºF), 절대온도 (K)

  • 엔진 경고등: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은 주로 적색을 사용합니다.

  • 순철 변태점: 순철의 자기변태점은 768ºC입니다.

  • 안전율 계산 (도수율): 도수율 = (재해건수 / 연 근로시간수) × 1,000,000

  • 연삭숫돌 기호: 주철, 석재 등 인장강도가 낮은 재료 연삭 시 C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 사용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