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위험물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위험물안전관리법령 및 시설 기준


1.1 예방규정 제정 대상 (법 제18조)

관계인이 예방규정을 정해야 하는 주요 제조소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하탱크 저장소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암반탱크 저장소

  •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

  •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

  •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

  • 이송취급소 등


1.2 제조소 등의 행정처분 사유

다음과 같은 경우 제조소 등의 허가 취소 또는 사용 정지 사유가 됩니다. 안전교육 미수료는 관계인 처벌 대상이지, 제조소 허가 취소 사유는 아닙니다.

  • 변경허가를 받지 않고 시설 변경

  • 완공검사를 받지 않고 사용

  • 위험물안전관리자 또는 대리자 미선임 (선임/신고는 관계인의 책무)

  • 정기점검 미실시

  • 안전조치 이행명령 불이행


1.3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 기준

경계구역 면적 기준

  • 원칙: 하나의 경계구역 면적은 600 제곱미터 (m²) 이하, 한 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합니다.

  • 예외: 주된 출입구에서 내부 전체를 볼 수 있는 경우 1,000 제곱미터 (m²) 이하로 할 수 있습니다.


1.4 옥내 및 옥외저장탱크 기준

  • 옥내저장탱크 간 간격: 탱크 상호 간 및 탱크전용실 벽과의 사이는 0.5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옥내저장소 겹쳐 쌓기 높이: 기계 하역 용기만 겹칠 경우 6m 이하, 제4류 위험물 중 제3석유류,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 용기만 겹칠 경우 4m 이하, 그 밖의 경우 3m 이하입니다.

  • 옥외저장탱크 밸브없는 통기관 직경: 30mm 이상입니다.


1.5 암반탱크 공간용적 기준

위험물 암반탱크의 공간용적은 다음 두 용적 중 더 큰 용적을 적용합니다.

  1. 해당 탱크 내에 용출하는 7일간의 지하수 양에 상당하는 용적

  2. 해당 탱크 내용적의 1/100 (1%) 용적



2. 위험물의 성상 및 분류


2.1 특수인화물의 정의 (제4류 위험물)

1기압에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 발화점 100도 C 이하인 것.

  • 인화점이 영하 20도 C 이하이고, 비점이 40도 C 이하인 것. (예: 이황화탄소, 다이에틸에테르)


2.2 위험물 유별 지정수량 (핵심 물질)

위험물 유별 핵심 물질과 지정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1류 산화성 고체: 브로민산나트륨 300kg, 과산화나트륨 50kg, 다이크로뮴산나트륨 1,000kg

  • 제2류 가연성 고체: 황, 적린, 황화인 100kg, 칼슘 (금속분) 50kg

  • 제3류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황린 (자연발화성) 20kg

  • 제5류 자기반응성: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 200kg


2.3 제4류 위험물 (인화성 액체) 특성

  • 제4류에 속하지 않는 물질: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은 제5류(나이트로화합물)입니다.

  • 경유 (제2석유류): 물에 녹지 않고, 비중은 1보다 작으며, 인화점은 50도 C ~ 70도 C로 상온보다 높습니다.

  • 메탄올과 에탄올: 둘 다 비중이 1보다 작고, 물에 잘 녹는 액체이지만, 증기비중은 다릅니다. (메탄올 약 1.1, 에탄올 약 1.6)


2.4 화학 구조 및 반응

  • 다이에틸에테르 (R-O-R'): 일반식은 R-O-R' (에테르)입니다.

  •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 (TNT): 작용기는 -NO2 (나이트로기)입니다.

  • 인화칼슘(Ca3P2) + 물(H2O) 반응 (금수성): 인화칼슘이 물과 반응하면 포스핀(PH3) 가스가 발생합니다.

    • 반응식: Ca3P2 + 6H2O -> 3Ca(OH)2 + 2PH3 (포스핀)

  • 칼륨(K) + 에탄올(C2H5OH) 반응 (알코올과 알칼리금속): 칼륨과 에탄올이 섞이면 수소(H2) 가스가 발생합니다.

    • 반응식: 2K + 2C2H5OH -> 2C2H5OK (칼륨에틸레이트) + H2 (수소)



3. 화재 및 폭발 이론


3.1 폭발의 종류

  • 분해폭발: 아세틸렌, 산화에틸렌

  • 분진폭발: 금속분, 밀가루

  • 중합폭발: 사이안화수소, 염화비닐, 하이드라진

  • 분해폭발: 과산화수소


3.2 연소 및 발화

  • 연소의 3요소: 가연물 (아세톤), 산소공급원 (질산암모늄), 점화원 (불꽃)

  • 증발연소: 황(유황), 알코올, 나프탈렌, 양초 등 (열분해 없이 증발된 증기가 연소)

  • 인화점 50도 C의 의미: 액체의 온도가 50도 C 이상이 되면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여, 점화원에 의해 불이 붙는(인화) 최저 온도입니다.


3.3 화재의 종류

  • A급 화재 (일반): 종이, 나무, 플라스틱 등 (예: 플라스틱 화재)

  • B급 화재 (유류): 가솔린, 오일, 페인트 등 (예: 휘발유 화재)

  • C급 화재 (전기): 전류가 흐르는 전기기구 (예: 전기 화재)

  • D급 화재 (금속):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 (예: 나트륨 화재)


3.4 유류 저장 탱크 화재 현상

  • 보일오버(Boil Over): 탱크 화재 시 열파가 탱크 바닥 물층을 끓게 하여 기름이 넘치는 현상.

  • 슬롭오버(Slop Over): 소화 활동 중 탱크 표면에 물이 닿아 급격히 증발하며 기름이 넘치는 현상.

  • BLEVE: 액화가스 저장 탱크의 파열 및 증기 폭발.

  • 플래시오버(Flash Over): 밀폐된 실내 화재에서 모든 가연성 물질이 동시에 발화하는 현상 (탱크 화재와는 거리가 뭅니다.)



4. 소화 및 계산


4.1 소화약제 및 적응성

  • 제1종 분말소화약제 열분해 반응식: 2NaHCO3 -> Na2CO3 + H2O + CO2 (이산화탄소 발생)

  • Halon 1211 분자식: CF2ClBr (탄소 1, 불소 2, 염소 1, 브롬 1)

  • 전기설비에 부적합한 소화설비: 포소화설비 (거품으로 인한 합선/누전 위험)

  • 제5류 위험물 (자기반응성 물질) 소화: 자체 산소 포함으로 질식 소화 효과가 낮으므로, **다량의 냉각 주수 소화 (물분무소화설비)**가 적합합니다.


4.2 소화 능력 단위 및 소화약제량

소화설비의 용량 및 능력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전용물통: 용량 8L, 능력단위 0.3

  • 마른모래 (삽 1개 포함): 용량 50L, 능력단위 0.5

  • 팽창질석/진주암 (삽 1개 포함): 용량 160L, 능력단위 1.0

소화약제량 계산 예시 메틸알코올 8,000L의 능력단위는 2단위 (4,000L당 1단위)입니다. 필요한 마른모래의 양: (2 단위 / 0.5 단위/50L) * 50L = 200L


4.3 혼재 위험물 지정수량 배수 계산

저장수량 / 지정수량 의 총합을 구합니다.

  • 브로민산나트륨: 300kg / 300kg = 1.0배

  • 과산화나트륨: 150kg / 50kg = 3.0배

  • 다이크로뮴산나트륨: 500kg / 1,000kg = 0.5배

총 배수 = 1.0 + 3.0 + 0.5 = 4.5배


4.4 이산화탄소 소화 농도 계산

산소 농도를 21vol%에서 13vol%로 낮추려면, 8vol%의 이산화탄소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 이산화탄소 농도 = (8 / (8 + 13)) * 100%

  • 이산화탄소 농도 = (8 / 21) * 100% 약 38.1 vol%


4.5 기체 부피 및 증기 비중 계산

1) 이산화탄소 부피 계산 (표준 상태: 1mol = 22.4L)

  • CO2 분자량: 44g/mol

  • 1.1kg = 1,100g

  • 몰수: 1,100g / 44g/mol = 25mol

  • 부피: 25mol * 22.4L/mol = 560L = 0.56m3

2) 이상기체 부피 계산 (25도 C, 2atm)

  • 공식: 부피 (V) = (질량(W) * 기체상수(R) * 절대온도(T)) / (압력(P) * 분자량(M))

  • V = (1kg * 0.08205 * (25+273)K) / (2atm * 44)

  • V 약 0.2779 m3 = 278L

3) 제3부틸알코올 증기 비중 계산

  • 공식: 증기 비중 = 측정 물질 분자량 / 평균 대기 분자량 (약 29)

  • 제3부틸알코올 분자량 (C4H10O): 74

  • 증기 비중 = 74 / 29 약 2.55



5. 위험물 운반 및 저장 취급


5.1 액체 위험물 운반 용기 수납률

  • 액체 위험물: 운반 용기 내용적의 98% 이하 수납률

  • 고체 위험물: 95% 이하

  • 알킬알루미늄 등: 90% 이하


5.2 혼재 불가 위험물

상호 간 1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더라도 인화성 고체를 제외한 제2류 위험물과 제4류 위험물은 동일한 옥내저장소에 함께 저장할 수 없습니다. (적린(2류)과 황린(3류)는 혼재 불가)


5.3 운반 시 차광성 피복 (빛가림)

운반 시 차광성 피복으로 가려야 하는 위험물은 제1류, 제3류(자연발화성 물질), 제4류(특수인화물), 제5류, 제6류입니다. 제2류 위험물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5.4 주입구 게시판 색상 기준

  • 주입구 등 장소 표시 게시판: 백색 바탕에 흑색 문자

  • 화기엄금: 적색 바탕에 백색 문자

  • 물기엄금: 청색 바탕에 백색 문자

  • 주유 중 엔진정지: 황색 바탕에 흑색 문자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