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중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기중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엔진) 일반 및 점검


1.1. 엔진의 주요 문제 및 현상

  • 노킹(Knocking) 발생 시 기관에 미치는 영향: 기관이 과열되고, 출력이 저하되며, 흡기 효율이 낮아지고, 회전수가 감소합니다. 노킹은 엔진 수명에 치명적입니다.

  • 다기통 기관의 장점: 6기통 기관은 4기통 기관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는 비싸지만, 가속이 원활하고 신속하며, 기관의 진동이 적고, 저속 회전이 용이하며 출력이 높습니다.

  • 디젤 기관 진동 심화 원인 (진동 감소 조건):

    • 분사 압력, 분사량의 불균형이 심할 때 진동이 심해집니다.

    • 피스톤 및 커넥팅로드의 중량 차가 클수록 진동이 심해집니다.

    • 실린더 안지름의 차가 심할 때 진동이 심해집니다.

    • 핵심: 실린더 수가 많을수록 기관의 진동은 적어집니다.

  • 압축 압력 감소 원인: 피스톤 링의 탄력 부족, 실린더 벽의 마멸, 헤드 개스킷 누설 등이 있습니다.

    • 연소실 내부의 카본 누적은 압축 압력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닙니다 (오히려 소음과 진동, 출력 저하에 영향을 줍니다).

  • 디젤 기관 연료의 구비 조건:

    • 카본의 발생이 적을 것

    • 발열량이 클 것

    • 착화가 용이할 것 (세탄가 높을 것)

    • 핵심: 연소 속도가 빠를 것


1.2. 윤활 및 냉각 장치

  • 분사 노즐의 윤활: 분사 노즐의 섭동면(미끄러지는 부분) 윤활은 엔진오일로 이루어집니다.

  • 라디에이터 구성 요소: 냉각수 주입구, 냉각핀, 코어 등이 있으며, 물재킷은 실린더 블록과 헤드에 있는 냉각수 통로입니다.

  • 냉각수 동파 원인: 동절기 냉각수가 빙결되면 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실린더 블록이나 헤드에 균열이 생겨 동파됩니다.

  • 유압 펌프의 압력 조절: 오일 펌프의 압력 조절 밸브 스프링 장력을 높게 하면 유압이 높아집니다.

  • 윤활유 압력 저하 원인: 윤활유의 양 부족, 오일 펌프의 과대 마모, 유압 릴리프 밸브가 열린 채 고착, 윤활유의 점도 저하 등입니다.

    • 핵심: 윤활유의 점도가 높으면 압력은 높아집니다.

  • 배압(배기관 불량)의 영향: 배압이 높으면 배출되지 못한 가스의 열로 인해 기관이 과열되고(냉각수 온도 상승), 출력은 감소하며, 피스톤 운동을 방해합니다.



2. 전기 장치 및 축전지 관리


2.1. 전기 장치의 작용

  • 전류의 자기 작용을 응용한 것: 전동기, 발전기, 솔레노이드 기구 등

  • 전류의 발열 작용을 응용한 것: 전구, 예열 플러그 등

  • 전류의 화학 작용을 응용한 것: 축전지의 충/방전 작용


2.2. 예열 및 시동

  • 예열 플러그 사용 시기: 기온이 낮을 때(특히 디젤 기관 시동 보조용)

  • 예열 플러그 심한 오염 원인: 불완전 연소 또는 노킹

  • 시동 모터 불작동 시 (솔레노이드 작동): 솔레노이드가 작동했음에도 모터가 돌지 않는 것은 시동 스위치 자체의 불량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솔레노이드 불량, 전기자 코일 개회로, 엔진 고착 등)


2.3. 축전지(배터리) 관리

  • 케이스 및 커버 세척: 소다(탄산수소나트륨)와 물을 사용하여 세척합니다. (산성인 전해액 중화 목적)

  • 터미널 단자 구별: 음극(-) 터미널 단자는 양극(+)보다 크기가 작습니다. (양극이 직경이 더 굵음)

  • 급속 충전 시 주의 사항:

    • 충전 중 전해액 온도가 45℃ 이상 되지 않도록 합니다.

    • 충전 전류는 축전지 용량의 1/2이 적당합니다.

    • 핵심: 급속 충전 시 역전류로 인한 다이오드 손상을 막기 위해 축전지의 접지 케이블($(-)$)을 분리시키고 충전해야 합니다.



3. 차체 및 주행 장치

  • 트랙 자주 벗겨짐 원인: 트랙 장력 이완, 트랙 롤러 마모, 트랙 중심 정렬 불일치 등입니다. (차동 기어 마모는 구동력 전달에 영향을 줍니다.)

  • 차동 기어 장치 기능: 선회 시 좌우 구동 바퀴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원활한 회전을 돕습니다.

    • 핵심: 이 장치는 기관의 회전력을 크게 하여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역할은 변속기나 종감속 기어의 역할입니다.)

    • 보통 차동 기어는 노면의 저항을 적게 받는 바퀴에 동력을 많이 전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4. 유압 장치 원리 및 요소


4.1. 유압 작동유

  • 압력 단위: bar, kgf/cm², psi(Pound per Square Inch) 등이 압력 단위입니다. **GPM(Gallon Per Minute)**은 유량(흐름 용량)의 단위입니다.

    • 환산: 1 psi = 0.070307 kgf/cm² ≈ 0.0689 bar

  • 작동유 과열 원인: 오일의 양이 부족하거나, 과부하 작동, 릴리프 밸브 고장, 배관 막힘 등이 있습니다.

  • 공동 현상(Cavitation) 처리: 압력 변화가 잦을 때 발생하므로, 일정 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작동유의 주요 기능: 동력 전달, 윤활 작용, 방청 작용, 냉각 작용, 요소 사이의 밀봉 기능 등이 있습니다.

    • 핵심: 작동유는 액체이므로 압축 작용이 기능에 속하지 않습니다.

  • 작동유의 구비 조건:

    • 압축성이 작을 것 (비압축성)

    • 밀도가 작을 것

    • 열팽창 계수가 작을 것

    • 체적 탄성 계수가 클 것

    • 점도 지수가 높을 것

    • 발화점이 높을 것


4.2. 유압 펌프 및 액추에이터

  • 기어 펌프와 피스톤 펌프 비교: 피스톤 펌프는 효율이 높고, 가변 용량에 적합하며, 구조는 복잡하지만 소음은 작습니다.

  • 기어식 유압 펌프의 특징: 회전수가 변하면 **흐름 용량(유량)**이 바뀝니다. (압력은 주로 부하에 의해 결정됨)

  • 유압 모터의 종류: 기어형, 베인형, 피스톤형 등이 있으며, 복동형은 유압 실린더의 종류입니다.

  • 액추에이터의 분류: 유압 액추에이터는 회전 운동을 하는 유압 모터와 직선 운동을 하는 유압 실린더로 분류됩니다.


4.3. 유압 밸브

  • 회로 내 압력 설정치 이하 유지 밸브: 릴리프 밸브(최고압 설정), 리듀싱 밸브(설정 압력 이하로 낮춤), 언로더 밸브(무부하 전환)

    • 핵심: 시퀀스 밸브는 실린더나 모터의 작동 순서를 결정하는 자동 제어 밸브입니다.


4.4. 유압 장치 작업 시

  • 내부 압력 제거: 유압 구성품을 분해하기 전에 엔진 정지 후 조정 레버를 모든 방향으로 작동하여 잔압을 제거합니다.

  • 액추에이터 교환 후: 공기 빼기 작업과 누유 점검, 공회전 작업은 필수이지만, 오일 교환은 교환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다면 반드시 할 필요는 없습니다.



5. 기중기 작업 장치 및 안전 수칙


5.1. 작업 장치 및 원리

  • 붐 길이와 작업 반경: 기중기의 붐이 길어지면 작업 반경도 길어집니다.

  • 클램셸 장치의 태그라인 역할: 와이어 케이블이 꼬이거나 버킷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합니다.

  • 기중기 붐 설치 가능한 장치: 파일 드라이버(항타기), 백호(굴착), 클램셸(굴착/인양) 등이 있습니다.

    • 핵심: 스캐리파이어는 모터 그레이더의 작업 장치입니다.

  • 붐 길이 결정 요소: 이동할 장소, 적재할 높이, 화물의 위치 등이 중요합니다. 작업 시의 속도는 붐 길이 결정과 거리가 뭅니다.


5.2. 작업 안전 수칙

  • 기둥 박기(항타) 작업 안전: 붐의 각을 크게 하고, 항타 시 반드시 우드 캡을 씌우며, 호이스트 케이블 고정 상태를 점검합니다. 붐을 상승시키지 않도록 합니다.

  • 기중기 일반 안전 수칙:

    • 작업 시는 반드시 아우트리거를 사용하여 장비를 수평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 붐의 각을 20도 이하, 78도 이상으로 하지 않도록 합니다.

    • 운전 반경 내 사람의 접근을 막아야 합니다.

  • 화물 인양 안전:

    • 제한 용량 이상을 달지 않습니다.

    • 신호에 따라 움직입니다.

    • 핵심: 수직으로 달아 올리고 옆으로 끌어 올리지 않습니다.

    • 화물 인양 시 지면과 약 30 cm 떨어진 지점에서 정지하여 안전을 확인한 후 상승해야 합니다.



6. 법규 및 일반 안전


6.1. 건설 기계 법규

  • 제1종 대형 면허 조종 가능 건설기계: 덤프트럭, 노상 안정기, 천공기, 콘크리트 믹서 트럭/펌프/트레일러, 아스팔트 살포기, 도로 보수 트럭, 3톤 미만 지게차 등

    • 핵심: 타이어식 기중기는 별도의 건설기계조종사 면허가 필요합니다.

  • 건설 기계 조종사 결격 사유: 18세 미만자, 정신 미약자, 마약 또는 알코올 중독자 등입니다.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않은 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등록 말소 신청: 건설기계 등록 말소는 시·도지사에게 신청합니다.

  • 검사 대행자 지정 첨부 서류: 시설 소유/사용권 증명 서류, 기술자 명단 및 자격 증명 서류, 검사 업무 규정안을 첨부해야 합니다. (장비 보유 증명서는 첨부 사항이 아닙니다.)


6.2. 도로 교통법

  • 차의 통행 방법: 우측 통행이 원칙이지만, 일방 통행로에서는 도로의 좌측을 통행할 수 있습니다.

  • 황색 등화 조치: 교차로 전방 20 m 지점에서 황색 등화로 바뀌면 정지할 조치를 취하여 정지선에 정지합니다. (이미 교차로 진입 시 신속히 통과)

  • 앞지르기 금지 장소: 교차로, 터널 안, 다리 위, 도로의 구부러진 곳,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 또는 가파른 비탈길의 내리막 등입니다.

  • 진로 변경 제한선: 백색 실선은 진로 변경을 할 수 없습니다. (백색 점선은 가능)

  • 교통 사고 시 조치: 사고 즉시 사상자를 구호하고, 경찰관에게 신고합니다.


6.3. 일반 안전 및 응급 처치

  • 공구 사용 안전: 스패너나 렌치는 너트에 맞는 것을 사용하며, 뒤로 당기듯이 돌려야 안전합니다. (밀어 돌리면 미끄러져 부상 위험) 해머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면 안 됩니다.

  • 가스 누설 검사: 가장 좋고 안전한 것은 비눗물입니다.

  • 위험물 처리: 쓰고 남은 기름은 하수구에 버리지 않습니다. (정해진 용기에 보관/처리)

  • 작업 안전: 배터리액(황산)이 눈에 들어갔을 때는 즉시 다량의 물로 씻습니다. (알칼리유 사용 금지)

  • 산업 안전 표지 종류: 금지 표지, 경고 표지, 지시 표지, 안내 표지

    • 핵심: 성능 표지는 산업 안전 표지 종류에 들지 않습니다.

  • 이산화탄소 소화기 특징: 주로 질식 작용으로 소화하며, 전기 절연성이 크고, 저장에 따른 변질이나 소화 시 부식성이 없습니다. (냉각 작용은 미약함)


6.4. 굴착 및 전기 안전

  • 도시 가스 배관 매설 여부: 굴착 공사 전 해당 도시가스사업자에게 조회해야 합니다.

    • 도로 폭 8 m 이상인 도로에서 도시가스 지하 배관은 1.2 m 이상의 깊이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가공 전선로 위험 판별: 전기는 전압이 높을수록 위험하며, 위험 정도는 애자의 개수로 판별합니다.

  • 송전 철탑 근접 작업: 철탑 부지에서 떨어진 위치라도 접지선이 노출되거나 단선되었을 경우, 반드시 시설 관리자에게 연락을 취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