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버섯 분류 및 주요 특징

  • 민주름버섯목 (Aphyllophorales):

    • 영지 (불로초), 목질진흙버섯 (상황) 등이 속하며, 주로 약용 버섯으로 분류됩니다.

    • 표고버섯에는 항암/항종양 다당체 물질인 렌티난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표고버섯 자실체의 주름살과 대는 흰색입니다.

  • 주름버섯목: 양송이, 느타리, 팽이버섯 등이 속하며 주름살 조직을 가집니다.

  • 신령버섯: 균사 생장 시 간접광선의 영향을 받아 생장이 촉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 대주머니 (Volva): 달걀버섯이 대주머니를 가진 대표적인 버섯입니다.



2. 종균 제조 및 배지 관리 핵심


A. 배지 제조

  • 배지 수분 함량: 표고 및 느타리 톱밥배지의 적정 수분 함량은 **65~70%**입니다.

  • 곡립배지 첨가물:

    • pH 조절 및 안정화에 탄산칼슘을 주로 사용합니다.

    • 덩어리 형성 방지 및 교질화 억제를 위해 석고를 첨가합니다.

  • 곡립종균 균덩이 방지:

    • 고온 저장 및 장기 저장을 피하고, 호밀은 박피하며, 흔들기 작업을 자주 하되 과도하게 하지 않아야 합니다.

  • 양송이 퇴비배지:

    • 주재료로 볏짚, 밀짚, 말똥(마분) 등이 사용되며, 톱밥은 주재료로 부적합합니다.


B. 종균 종류 및 선택

  • 액체종균:

    • 균사체에 영양분 접촉이 균일하고 산소 공급이 원활하여, 유전적 변이가 심하거나 배양 기간이 긴 버섯 (예: 팽이버섯, 느타리버섯)에 효과적입니다.

  • 우량 종균:

    • 품종 고유의 특징을 가진 단일색이며, 균사에 줄무늬 또는 경계선이 없어야 합니다.

    • 종균 상부에 **버섯 원기 또는 자실체가 형성된 것 (노화 종균)**은 피해야 합니다.

  • 오염된 종균 특징:

    • 균사의 색택이 연하고, 마개를 열면 쉰 듯한 술냄새 또는 구린 냄새가 납니다.


C. 살균 및 보존

  • 살균 후 관리:

    • 살균이 끝난 후에는 병의 파손이나 면전 이탈 방지를 위해 자연적으로 배기되도록 해야 합니다. (급속한 내압 저하 금지)

  • PDA 살균 조건:

    • 감자한천배지 (PDA)는 일반적으로 121℃에서 20분간 고압 살균합니다.

  • 종균 저장:

    • 종균은 빛이 들어오지 않는 냉암소에 보관해야 하며, 저장 온도는 보통 **5~10℃**가 적당합니다. (열대 버섯은 15~20℃)

    • 원균 보존 방법 중 **광유보존법 (유동파라핀 봉입법)**은 활성 상태로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3. 버섯 재배 환경 관리

  • 양송이 재배 온도: 2~3주기 수확 시 적정 온도는 **15~16℃**입니다 (1주기보다 낮게 유지).

  • 팽이버섯 환경 조건:

    • 균사 생장 단계: 온도 16~24℃, 습도 65~70%

    • 억제 단계 (버섯 발생 유도): 온도 4℃, 습도 80~85%

  • 느타리버섯 CO2 농도: 자실체 발생 시 CO2 농도는 500ppm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 느타리 재배사 구조: 균상 재배 시 관리 효율을 고려하여 2열 4단 구조가 적합합니다.

  • 느타리 볏짚재배 살균: 잡균 제거를 위한 볏짚배지 최저 살균 조건은 80℃, 8시간입니다.



4. 병해충 및 시설 관리

  • 버섯 해충:

    • 응애는 분류학상 거미강에 속하며, 환경 적응력이 매우 강합니다.

  • 양송이 병해 (푸른곰팡이병):

    • 산성 (낮은 pH) 조건에서 생장이 왕성합니다. 복토의 pH를 7.5 내외로 조절하여 방제가 가능합니다.

  • 냉각실 관리:

    • 냉각실은 외부 오염 방지를 위해 양압을 유지하며, 냉방기는 내부 면적보다 다소 큰 용량을 설치해야 합니다.

  • 시설 소독:

    • 가장 살균 효과가 높은 에틸알코올 농도는 **70%**입니다.

    • 정밀 전자기기가 있는 곳은 기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유황훈증을 피해야 합니다.



5. 수확 후 관리 및 법규

  • 수확 후 관리:

    • 수확 후 버섯은 호흡 효소 시스템이 계속 작동합니다.

    • 상온 보관 시 무게 감소, 갈변 현상, 저장 양분 소실이 발생합니다.

    • 생버섯 저장은 **온도 2~4℃, 상대습도 85~90%**가 적합합니다.

    • 팽이버섯 판매대 온도는 품질 유지를 위해 1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 법규 및 행정:

    • 종균 생산업자 법령 위반 시 종자업 등록취소 등 행정처분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합니다.

    • 품종보호권의 존속기간은 설정 등록일로부터 20년입니다 (과수/임목은 25년).

  • 폐배지 활용:

    • 버섯 배지 잔여물을 사료 원료로 활용하는 사료는 **TMR사료 (Total Mixed Ration)**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