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도장 재료의 특성 및 분류
도장 작업의 기초가 되는 도료와 수지의 종류별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도료의 분류 및 특징
폴리에스테르 퍼티: 자동차 보수 도장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퍼티입니다.
워시 프라이머: 맨 철판, 아연 도금 패널, 알루미늄 등에 부식 방지 및 방청 기능을 위해 도장하는 하도용 도료입니다.
특징: 2액형 타입이 많고, 습도에 민감하므로 다습한 날씨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주제와 경화제 혼합 후 가사시간이 경과하면 희석제를 추가해도 점도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재사용할 수 없습니다.
권장 도막 두께: 약 8~10 μm를 준수해야 하며, 너무 두꺼우면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구도막 판별 (용제 검사): 래커 시너를 묻혀 천천히 문질렀을 때 용해되어 색이 묻어 나오는 도료는 아크릴 래커계열입니다.
도막 평활성 향상 첨가제: 도막의 평활성을 좋게 해주는 첨가제는 레벨링제입니다.
수용성 도료 보관: 수용성 도료는 물을 함유하므로, 부식 방지를 위해 금속 재질의 보관 용기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1.2 수지 및 플라스틱 소재
열가소성 수지: 고온에서 유동성을 갖게 되며, 열을 가해 녹여 가공하고 식히면 굳는 수지입니다. 가열 및 냉각 과정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열경화성 수지: 가열에 의해 화학 변화를 일으켜 경화 성형되며, 다시 가열해도 연화되거나 용융되지 않습니다. 고온으로 가열하면 분해되어 탄화되며, 가열이나 용접에 의한 수리가 불가능합니다.
플라스틱 비중: 플라스틱 소재(합성수지)는 금속보다 비중이 작습니다.
2. 도장 공정 및 건조/경화 조건
성공적인 도장 결과를 얻기 위한 각 공정별 절차와 건조 조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1 하지 작업 및 연마
구도막 제거 및 단낮추기: 손상 부위의 구도막 제거 시 가장 적합한 연마지는 #60 ~ #80입니다.
퍼티 연마: 퍼티 작업 시 평활성을 위해 핸드블록을 사용하며, 샌드 브라스트는 퍼티 적층 연마에는 부적합합니다.
블렌딩 도장 연마:
솔리드 도료 블렌딩 전: 구도막 표면조성을 위해 작업 부위 주변을 P1200 ~ P1500 연마지로 연마합니다.
메탈릭 상도 손상 부위: #600 ~ #800 연마지가 적절합니다.
박리제(리무버) 사용: 박리제는 붓을 사용하여 도포하며, 구도막에 박리제가 잘 스며들도록 P80 연마지로 샌딩 후 도포합니다. 스프레이건에 담아 도포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2.2 도장 및 건조 조건
건조 시간과 관계 없는 요소: 도료의 점도, 스프레이건의 이동 속도, 스프레이건의 거리는 건조 시간과 관계가 있으나, 스프레이건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관계가 적습니다. (단, 에어압과 점도가 같을 경우 흡상식보다 중력식이 토출량이 많아 건조가 더딥니다.)
플래시 타임 (Flash Time): 완전한 도막 형성을 위해 각 단계 도장 후 용제가 증발할 수 있도록 두는 시간입니다.
프라이머-서페이서 스프레이: 도장 시 두껍고 거친 도장은 연마를 어렵게 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적정 도막 두께로 균일하게 도장해야 합니다.
블렌딩 도장 목적: 패널 전체를 일정한 도막 상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 범위에서 색상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장 전 주변 부위를 탈지제로 닦아내는 것은 필수 공정입니다.
3코트 펄 도장 두께: 컬러베이스의 건조 도막 두께로 적합한 것은 30 ~ 40 μm입니다.
2.3 조색 및 색상
색료의 3원색 (감산혼합):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 시안(Cyan)입니다. 녹색(Green)은 색광의 3원색입니다.
조색 순서: 색상 → 명도 → 채도 순으로 조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메탈릭 색상 밝게 만드는 조건:
사용 공기압을 높인다.
도장실 온도를 올린다.
증발 속도가 빠른 시너를 사용한다.
도료의 토출량을 적게 한다.
3. 도막 결함의 원인 및 대책
도막 결함은 현장 작업 시 가장 자주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원인을 정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벗겨짐 (Peeling): 구도막 표면의 연마 불량, 소재 전처리 불량, 실리콘 등 오염물질 잔류, 상하도 및 구도막 간 밀착 불량, 희석제 용해력이 약하거나 증발 속도가 빠른 경우에 발생합니다.
흐름 현상 (Sagging): 한 번에 두껍게 도장했거나, 도료 점도가 너무 낮을 때, 증발 속도가 늦은 지건 시너를 과다 사용했을 때, 또는 스프레이건 거리가 가깝고 속도가 느린 경우에 나타납니다.
핀 홀 (Pin Hole): 두껍게 도장했거나, 세팅 타임을 적절히 주지 않고 급격히 온도를 올린 경우, 속건 시너 사용, 점도가 높은 도료를 사용했을 때, 또는 하도나 중도에 기공이 잔재해 있을 경우에 발생합니다.
용제 퍼핑 (Solvent Pop): 상도나 프라이머-서페이서에 함유된 용제가 건조 과정에서 갇혀 발생한 거품 형태의 결함입니다.
4. 광택 작업 및 후처리 공정
도장의 마무리 단계인 광택 작업은 도막의 최종 외관 품질을 결정합니다.
4.1 광택 작업 순서 및 목적
광택 공정 순서: 칼라 샌딩 → 콤파운딩 → 폴리싱 공정 순으로 진행됩니다.
칼라 샌딩 공정 목적: 오렌지 필 제거, 흐름 제거, 먼지 결함 제거를 주로 합니다. 스월 마크 제거는 주로 폴리싱 공정에서 처리합니다.
콤파운딩 공정 목적: 칼라 샌딩 연마 자국 제거가 주된 목적입니다.
주의 사항: 한 곳에 집중적으로 힘을 가해 작업하면 도장면에 열과 홀로그램이 발생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4.2 광택 장비 및 관리
광택 장비: 폴리셔, 버프 및 패드가 주요 장비입니다. 핸드블록은 연마 작업용 공구로 광택 장비가 아닙니다.
버프 세척: 세척력이 강한 세제보다는 미지근한 물에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택제 보관 온도: 일반적인 광택제의 보관 온도는 20 ºC가 적당합니다.
전동식 광택 공구: 공기 공급식(에어식)에 비해 무겁고 비싸지만, 부하 시에도 회전이 안정적입니다. (에어식은 부하 시 회전이 급격히 저하됩니다.)
5. 안전 및 환경 관리
도장 작업의 유해성으로부터 작업자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수칙입니다.
휘발성 용제 위험성: 인화점, 발화점, 연소범위는 위험성과 관련이 깊으며, 비열은 상대적으로 거리가 멉니다.
분진 흡입 저감 대책: 방진 마스크 착용이 필수이며, 샌더에 흡진 기능을 장착하거나 집진기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작업 공정마다 에어블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은 분진 비산을 유발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방독 마스크 관리: 사용 후에는 분진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에어 트랜스포머 설치 목적: 압축 공기 중의 수분과 오일 성분을 여과하고, 압력을 조정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