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류관리사 필기시험 2회 1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물류의 기본 개념 및 활동
물류의 정의와 원칙
물류의 정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물적인 흐름이며, 원료, 반제품, 완제품을 출발지에서 소비지까지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 계획, 실현, 통제 활동입니다. 장소 및 시간의 효용을 창출합니다.
7R 원칙 (Right Principles) - 필수 암기:
적절한 상품 (Commodity)
적절한 품질 (Quality)
적절한 수량 (Quantity)
적절한 시기 (Time)
적절한 장소 (Place)
적절한 인상 (Impression)
적절한 가격 (Price)
3S 1L 원칙: 신속성 (Speedy), 안전성 (Safely), 확실성 (Surely), 경제성 (Low Cost).
물류의 5대 기능 (활동별 분류)
보관물류: 재화와 용역의 시간적 간격을 해소하여 생산과 소비를 연결합니다.
수배송물류: 재화와 용역을 효용가치가 낮은 장소로부터 높은 장소로 이동시켜 장소 효용을 증대합니다.
하역물류: 물자를 취급하고 이동하며, 상차·하차하는 행위 등 주로 선적 및 하역 행위입니다.
포장물류 (유통가공 포함): 물자의 수배송, 보관, 거래 등에 있어 적절한 재료와 용기 등을 이용하여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정보물류: 물류활동과 관련된 정보 내용을 제공하여 물류관리 기능을 연결, 효율화를 추구합니다.
물류 환경의 변화
생산 중심의 변화: 제조업 중심의 생산자 물류 -> 고객 중심의 소비자 물류로 전환됩니다.
생산 형태의 변화: 소품종 대량생산 -> 다품종 소량생산이 중요시됩니다.
물적유통(PD)과 로지스틱스(Logistics)
로지스틱스는 물적유통의 광의 개념이며, 원료준비부터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효율적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로지스틱스는 기업 내 정보시스템 통합을 추구합니다.
2. 물류 전략 및 조직
물류관리 전략 추진 단계
구조적 (Structure)
전략적 (Strategic)
기능적 (Functional)
실행 (Implementation)
제품 수명주기별 물류 전략 (도입기)
도입기: 판매망이 소수의 지점에 집중됩니다. 소수의 지점에 집중된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높은 수준의 재고 가용성 및 유연성 확보에 초점을 맞춥니다.
성장기: 광범위한 유통지역을 관리하며, 다수의 물류센터를 구축합니다.
쇠퇴기: 물류센터 통폐합을 통해 소수의 재고 보유 거점을 확보합니다.
물류 거점 집약화 (통합) 효과
물류 거점 통합은 재고집약 효과와 **리스크 풀링 (Risk Pooling)**을 발생시켜, 총 안전재고를 감소시키고 재고의 편재 해소 및 과부족 발생 가능성을 낮춥니다.
통합 안전재고 계산 공식 (동일 조건 n개 센터 통합 시): 통합재고 = (기존 분산재고의 총합) / (루트 n) (예: 4개 센터 통합 시, 총합을 2로 나누어 계산)
물류 조직 및 아웃소싱
사업부형 물류조직: 독립적인 분권 조직이며, 전체적으로 수직적(종적) 조직이므로 사업부 간 횡적 교류가 쉽지 않습니다.
4PL (Fourth Party Logistics): 네트워크형 물류조직이 대표적이며, 대규모 아웃소싱을 통해 외부 자원의 효과적 활용을 추구합니다.
3. 물류 비용 및 SCM
물류비 회계 기준
물류비의 분류: 영역별로 조달, 생산, 사내, 판매, 리버스(반품/회수/폐기) 활동으로 구분된 비용이 포함됩니다.
산정 방식: 현금 유출입보다는 기업회계기준 및 원가계산준칙을 적용해야 하며, 관리회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파악에 용이합니다.
영역별 물류비 예시
조달물류비: 원재료의 운송, 하역, 창고 입고를 위한 검수 비용 등 생산 공정 투입 전까지의 물류비입니다.
역물류비 구성
반품물류비: 반품 과정의 운송, 검수, 분류, 보관, 하역 등은 포함되나, 반품 자체에 따른 환불 및 위약금은 물류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회수물류비: 판매 물류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빈 물류 용기 (파렛트, 컨테이너, 포장용기)**의 회수 및 재사용에 들어가는 비용입니다.
공급자 재고관리 (VMI)
VMI (Vendor Managed Inventory): 유통업체에서 판매 정보를 제공하면, 공급업체(Vendor)가 주도적으로 재고를 관리하고 자율적으로 공급 스케줄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주의: 생산자와 부품 공급자의 신제품 공동 개발은 VMI의 직접적인 활동이 아닙니다.
4. 유통 경로 및 표준화
수직적 유통경로 시스템 (VMS)
기업형 VMS: 통합 또는 통제 정도가 가장 강한 시스템 (법적 소유/관리).
관리형 VMS: 통합 또는 통제 정도가 가장 약한 시스템 (규모나 파워에 의한 통제).
계약형 VMS: 경로 구성원들이 계약에 의해 유통 기능을 합의하여 공식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시스템 (프랜차이즈 조직, 소매상 협동조합 등).
도매 물류 사업의 기능
제조업자(생산자)를 위한 기능: 주문 처리, 물류의 대형 집약화 센터 설립, 시장 동향 정보 파악 (생산 조절).
소매상을 위한 기능: 구색 편의 기능 (다양한 상품을 한곳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함).
물류 표준화 및 공동화
표준 파렛트 규격:
T-11형: 1,100mm x 1,100mm
T-12형: 1,000mm x 1,200mm
공동 수·배송 효과: 운송 차량의 공차율 감소, 공간 활용 증대, 교통 혼잡 완화, 환경 문제 개선.
5. 물류 정보 기술 및 보안
물류 정보 기술 개요
EAN-13형 바코드: 국가식별 코드(3) + 제조업체 코드(6) + 상품 품목 코드(3) + 체크 디지트(1)로 구성되며 공급업체 코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QR 코드: 2차원 바코드로 많은 정보를 수용하며, 오류 복원 기능이 높아 정보가 훼손되어도 상당 부분 복구가 가능합니다.
VAN (Value Added Network): 제3자(데이터 통신업자)를 매개로 하여 기업 간 자료를 교환하는 부가 가치 통신망입니다.
IoT (Internet of Things):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활용되게 하는 사물 인터넷 기술입니다.
블록체인: 분산형 정보 기술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참여자가 제한되어 허가받은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퍼블릭은 누구나 접근 가능)
물류 보안 제도
C-TPAT (Customs 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주도하며, 공급사슬의 대테러 보안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민관 파트너십 제도입니다.
AEO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성실 무역 업체 공인 제도 (국제 표준).
PORT-MIS: 항만 운영 관리 시스템 (해양수산부 개발/운영).
녹색 물류 추진 방향
지양해야 할 것: 소량 다빈도 수송 (운송 효율을 저해하고 환경 부담을 증가시킴).
추진 방향: 공동 수·배송, 모달 쉬프트 (Modal Shift), 회수 물류 활성화, 저공해 운송수단 도입.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