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안전관리자2급 필기시험 5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소방안전관리자2급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소방 관련 법규 및 제도


소방안전관리 업무 대행 기준

소방안전관리 업무는 특정 대상물에 대해 대행이 불가하거나 제한됩니다.

  •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업무 대행 불가.

  •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원칙적으로 대행 가능하나, 다음의 특정 대상물은 제외됩니다.

    • 연면적 15,000 제곱미터 (m²)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 아파트.

    • 다만, 지상층의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은 (아파트 및 연면적 15,000 m² 이상 대상물 제외) 업무 대행이 가능합니다.

  • 2급 및 3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대상물 전체가 업무 대행 가능.


과태료 및 벌칙 기준

특정 소방 활동 방해 행위에 대한 과태료 기준을 숙지해야 합니다.

  •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소방자동차 전용구역에 주차하거나 전용구역 진입을 가로막는 방해행위.

  •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소방활동구역 출입, 소방자동차 출동 지장 행위 등.


소방대 조직 및 조치 명령

  • 소방대의 조직체: 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 (청원소방원 제외)

  • 화재안전조사 결과 조치 명령 종류 (예시): 개수 명령, 이전 명령, 제거 명령, 사용 금지 또는 제한, 사용 폐쇄, 공사 정지 또는 중지 등. (신축 명령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건축허가 등의 취소 통보: 허가기관에서 건축허가 취소 시 7일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2. 화재 및 연소 이론


가연성 물질의 조건

연소가 잘 일어나는 가연성 물질의 구비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활성화 에너지 값: 작아야 합니다. (반응 속도가 빨라짐)

  • 열전도 값: 작아야 합니다. (열의 축적이 용이함)

  • 표면적: 산소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커야 합니다.

  • 산화 반응: 산소와 결합할 때 발열량이 많아야 합니다.


연소와 점화원

연소와 관련된 주요 온도의 정의와 순서입니다.

  • 인화점 (Flash Point): 외부 점화원에 의해 불이 붙는 최저 온도.

  • 연소점 (Fire Point): 외부 점화원에 의해 발화한 후 연소를 지속시킬 수 있는 최저 온도.

  • 발화점 (Ignition Point): 외부 점화원 없이 주위 열에 의해 스스로 점화되는 최저 온도.

  • 온도의 크기 순서 (낮은 → 높은):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연소 범위와 화재 분류

가연성 가스 중 연소 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아세틸렌 (2.5 퍼센트~81 퍼센트)입니다.

  • 화재의 분류 (급수):

    • 일반화재: A급

    • 유류화재: B급

    • 전기화재: C급

    • 금속화재: D급

    • 주방화재: K급


소화 방법 및 건물 화재 단계

  • 제거 소화: 가연물을 연소 영역에서 제거하여 소화하는 방법 (예: 산불 시 나무 베기).

  • 건물 화재 성상 단계: 초기 성장기 최성기 감쇠기.



3. 소화 및 경보 설비


소방시설의 5가지 종류

소방시설은 총 다섯 가지로 분류됩니다.

  1. 소화설비

  2. 경보설비

  3. 피난구조설비

  4. 소화활동설비

  5. 소화용수설비


소화기 및 옥내/옥외소화전

  • 대형 소화기의 능력 단위:

    • A급 (일반화재): 10단위 이상

    • B급 (유류화재): 20단위 이상

  • 축압식 소화기의 정상 압력 범위: 0.7 ~ 0.98 MPa (메가파스칼).

  • 옥외소화전 설치 기준: 소방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 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는 40 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펌프 성능 및 가스계 소화설비

  • 체절 운전 시 순환 배관의 역할: 릴리프 밸브를 통해 과압을 방출하여 펌프의 수온 상승을 방지합니다. 릴리프 밸브는 정격토출압력의 140 퍼센트 미만에서 개방되도록 조정합니다.

  • 가스 누설 경보기 설치 위치:

    • 액화천연가스 (LNG, 증기비중 1 미만): 가스 연소기로부터 수평거리 8 m 이내 (천장 부근).

    • 액화석유가스 (LPG, 증기비중 1 초과): 가스 연소기로부터 수평거리 4 m 이내 (바닥 부근).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유도등

  • 경계 구역 면적 및 길이:

    • 면적은 600 m² 이하 (내부 전체가 보일 경우 1,000 m² 이하)

    • 한 변의 길이는 50 m 이하

    • 2개 층 면적 합계가 500 m² 이하인 경우에만 2개 층을 1개의 경계 구역으로 설정 가능.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리크 구멍 역할: 공기실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균형을 유지하여 감지기 오동작을 방지합니다.

  • 객석 유도등 설치 개수 공식 (텍스트 기반):

    설치 개수 = (객석 통로의 직선 부분 길이 (m) / 4) - 1

    예시: 길이 15 m 인 경우: (15 / 4) - 1 = 2.75. 소수점 이하는 절상하여 3개를 설치합니다.



4. 소방계획 및 훈련, 응급처치


소방계획의 수립 절차

소방계획은 다음의 4단계로 수립 및 유지 관리됩니다.

  1. 사전 기획

  2. 위험 환경 분석 (식별, 분석/평가, 경감 대책 수립)

  3. 설계 및 개발

  4. 시행 및 유지 관리


자위소방대의 조직 편성

  • Type III (3형) 편성 기준:

    • 소방안전관리대상물: 2급 (스프링클러설비 설치대상) 또는 3급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대상).

    • 현장대응팀: 10인 미만으로 구성.


응급처치 및 인명구조

  • 출혈 시 증상: 혈압 저하, 피부 창백, 체온 저하, 호흡 곤란, 호흡과 맥박이 빠르고 약함.

  • 인명구조기구 종류: 방열복, 인공소생기, 공기호흡기, 방화복. (구급차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