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자기능사 필기시험 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종자 관리 및 생리
1.1 종자의 형태 및 특성
순정 종자율 계산: 순정 종자율 (%) = (순정 종자 중량 / 전중량) x 100 (예시: 5g 중 순정 종자 4.7g일 경우 94%)
발아율 계산: 발아율 (%) = (정상적으로 발아한 종자 수 / 사용된 종자 수) x 100
종자의 발아 순서: 흡수 -> 효소의 활성 -> 씨눈의 생장개시 -> 종피의 파열 -> 유묘의 출아
종피의 불투과성: 종피가 물을 흡수하지 못하게 하는 물질로는 지질, 타닌, 펙틴 등이 있습니다. 리그닌이나 셀룰로스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암발아 종자: 발아를 위해 빛이 필요하지 않고 어두운 조건에서 더 잘 발아하는 종자입니다. (예시: 호박, 수박, 무)
흙덮기 깊이: 일반적으로 종자 지름의 1배에서 3배 정도로 덮는 것이 적당합니다. (시험 문제에 따라 2-3배가 가장 적절한 답일 수 있음)
1.2 종자의 저장 및 퇴화
종자 저장 중 수분 변화: 저장고의 상대습도가 종자의 평형습도보다 높으면 종자는 수분을 흡수하여 수분함량이 증가합니다.
습윤 저온 층적 저장 (Stratification): 휴면을 타파하기 위해 습한 모래나 톱밥과 종자를 층층이 쌓아 낮은 온도(약 1°C - 10°C)에서 3-4주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종자의 생리적 퇴화: 생산지의 환경, 재배, 저장 조건이 불량하여 종자의 활력이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휴면 타파 방법 (경실 종자): 씨껍질이 두꺼운 종자의 휴면을 깨는 방법으로는 종피파상법, 농황산처리, 고온처리, 저온처리, 습열처리 등이 있습니다. 유황처리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1.3 생장 조절 물질 및 생리
발아 촉진 물질: 가장 많이 이용되는 지베렐린 종류는 GA3입니다.
발아 억제 물질: 감자, 장미, 양상추 등의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은 **ABA (Abscisic Acid)**입니다.
발아 촉진 광 파장: 발아를 가장 촉진시키는 광 파장은 적색광(660-700nm) 부근입니다.
2. 종자 육종 및 유전
2.1 육종의 기본 원리
육종 기술의 3단계:
변이의 탐구와 창성
변이의 선택과 고정
신품종의 증식과 보급
작물 육종의 일반적 과정: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특성의 검정 방법 개발 -> 유전자 탐색 -> 유전자를 기존 품종에 도입
재배형으로의 순화 변화: 야생형이 재배형으로 순화하면서 탈립이 어렵도록 변하며, 종자의 휴면성은 약해지고, 방어적 구조(가시 등)는 퇴화됩니다.
2.2 육종 방법 및 교배 기술
여교잡 육종법 (Backcross Breeding): 특수한 형태적 특성이나 내병성과 같이 목적하는 단일 형질을 기존 품종에 쉽게 도입하고자 할 때 적용하기 적합한 육종법입니다.
분리 육종법: 유전적으로 이형 접합체인 집단에서 순계를 선발하는 방법으로, 집단선발법, 순계도태법, 가계선발법 등이 이에 속합니다. 계통육종법은 교잡 육종법의 한 종류입니다.
배수체 육종: 염색체 수를 인위적으로 배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효과적인 방법은 콜히친 처리입니다. 콜히친은 세포 내 방추사 형성을 저해합니다.
돌연변이 유발원 (물리적): X선, 감마선 (
γ 선), 중성자, 베타입자, 양성자 등입니다. 자외선은 침투력이 약하여 작물 육종에 주로 쓰이는 물리적 유발원이 아닙니다.교배 양식 기호:
단교배: A x B
여교배: (A x B) x A
3원교배: (A x B) x C
복교배: (A x B) x (C x D)
2.3 유전 및 수정
1대잡종 (F1) 품종의 특징:
장점: 생산성이 높고, 품질 및 형질이 균일하며, 내병성이 우수합니다.
단점: 농가에서 종자를 자가생산하기 어렵습니다 (F2에서 형질 분리가 일어나므로).
세포 분열:
간기 (Interphase): 유사분열 과정 중 DNA가 복제되는 시기입니다.
감수 분열: 생식모세포가 연속적으로 2회 분열하며 염색체 수가 2n -> n으로 감소하는 과정입니다.
인공교배와 봉지 씌우기: 꽃에 봉지를 씌우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꽃가루가 섞이는 것, 즉 자연 교배를 막기 위함입니다.
자가불화합성 타파: **뇌수분(꽃망울수분)**은 꽃이 피기 전 꽃망울 시기에 수분하여 자가불화합성을 회피하는 방법입니다.
폐화수정: 꽃이 피지 않은 채로 내부에서 수분과 수정이 완료되는 현상입니다.
3. 작물 재배 및 환경
3.1 재배 기술
경운의 효과: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개선하고, 잡초 씨를 토양에 매몰시켜 잡초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3포식 농업: 중세 유럽에서 사용된 방식으로, 돌려짓기 (윤작) 재배법에 속합니다. (밀/호밀 -> 콩과 식물 -> 휴경)
생력화 재배: 노동력 및 자본 투입을 줄이는 효과를 말하며, 벼 재배 양식 중에서는 건답 직파재배법이 가장 큰 생력화 효과를 가집니다.
육종 방향: 생력-기계화 재배에 맞는 벼 품종은 도복에 강한 직파용 품종이어야 합니다.
고구마 삽식 (싹 심기): 고구마 싹을 심을 때 덩이뿌리가 될 부분이 땅속에 묻히도록 하되, 생장점은 땅속에 묻히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가을뿌림 작물의 춘파: 가을보리나 밀을 봄에 파종하면 이삭이 나오지 않고 영양생장만 계속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3.2 토양 및 양분
산성 토양에 약한 작물: 시금치, 알팔파, 양파, 콩, 팥, 보리 등이 있습니다.
건조지대 재배 작물: 수분 요구도가 낮아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로 고구마, 옥수수, 땅콩, 담배 등이 있습니다.
붕소 결핍 증상: 식물의 분열 조직이 괴사하고, 수정과 결실이 나쁘며, 콩과 작물의 근류 형성이 저해됩니다.
3.3 작물 분류 및 시비
유료 작물: 기름 생산이 주 목적인 작물 (참깨, 들깨, 유채, 콩 등). 모시풀은 섬유 작물입니다.
과(科) 분류: 무, 갓은 **배추과 (십자화과)**에 속합니다.
수수 종류: 이삭을 빗자루로 이용하는 수수는 소경수수입니다.
벼의 시비:
분얼거름 (새끼칠 거름): 모내기 후 약 12-14일 경에 줍니다.
이삭거름: 출수 전 약 25일에 줍니다.
4. 병해충 및 수확 후 관리
4.1 병해충 방제
종자 처리 약제 구비조건: 저장 중인 종자에 처리하는 약제는 약효기간이 길어야 종자 전염성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습니다.
살충제 분류: 살서제는 쥐를 방제하는 약제로, 한국에서는 농약이 아닌 보건약제로 취급하며 살충제에 속하지 않습니다.
종자 전염병의 주요 병원체: 종자에 발생하는 전염병 중 가장 많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은 **진균 (곰팡이)**입니다.
벼 도열병 방제 약제: 키다리병, 도열병, 깨씨무늬병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는 이프코나졸 수화제가 있습니다.
4.2 수확 후 관리
예냉 (Pre-cooling): 수확한 원예산물을 즉시 신속하게 냉각하는 것으로, 저장 및 수송 중 부패를 방지하고 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후숙 (After-ripening): 아직 덜 익은 과실을 수확하여 일정 기간 놓아두면 익게 되는 현상입니다.
큐어링 (Curing): 고구마 수확 직후 상처를 치유하고 부패균 침입을 막기 위해 고온(약 32°C - 33°C) 다습(90% 이상) 환경에 단기간 보관하는 처리입니다. 고구마 저장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CA저장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냉장고를 밀폐하여 온도를 낮추고 산소량을 줄이고 이산화탄소량을 늘려 농산물의 호흡 작용을 억제하여 장기간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