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운송종사자격 필기시험 2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화물운송종사자격 필기시험 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제1과목. 교통 및 화물자동차 운수사업 관련 법규


1.1. 도로교통 안전 및 법규 핵심 정리

  • 안전표지의 구분

    • 주의표지: 도로 상태가 위험하거나 부근에 위험물이 있을 때 도로 사용자에게 안전조치를 알리는 표지입니다.

  • 운전자의 일시정지 의무 (보행자 보호)

    •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은 어린이, 도로 횡단시설 이용이 어려운 지체장애인, 흰색 지팡이 시각장애인 등에게는 반드시 일시정지 해야 합니다. (말을 하지 못하는 사람은 해당하지 않음)

  • 고속도로 차로 통행 기준

    • 대형 승합/화물/특수차: 편도 3차로 이상 고속도로에서는 **오른쪽 차로(가장 하위 차로)**로 주행해야 합니다.

  • 고속도로 최고 속도 제한

    • 1.5톤 초과 화물자동차, 특수차: 최고 속도는 80km/h이며, 최저 속도는 50km/h입니다. (일반 승용차 최고 속도는 100km/h)

  • 야간 운행 시 등화

    • 승용자동차는 전조등, 차폭등, 미등, 번호등을 켜야 합니다. 실내조명등승합자동차와 여객자동차운송사업용 승용자동차만 해당됩니다.

  • 좌석 안전띠 착용 의무

    • 긴급자동차가 그 본래의 용도(예: 출동 중)로 운행될 때를 제외하고는 모든 탑승자가 착용해야 합니다.

  • 운전면허 취소(필수)

    • 교통단속 임무를 수행하는 경찰공무원을 폭행한 경우는 반드시 운전면허가 취소됩니다.

  • 운전면허 결격 기간

    •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사상한 후 사고 후 미조치(뺑소니) 규정에 위반한 경우, 위반한 날부터 5년이 지나야 면허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고속도로 정차 및 주차 예외

    • 경찰용 긴급자동차가 휴식이나 식사를 위해 정차/주차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며, 경찰 임무 수행 시에만 가능합니다.

  • 운전 금지 기준

    •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은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인 경우입니다.

  • 교통사고처리 특례의 배제 (12대 중과실)

    •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 사고는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더라도 공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특례 미적용)

  •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목적

    • 업무상 과실 등으로 인한 피해의 신속한 회복을 촉진하고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1.2. 화물자동차 운수사업 법규 핵심 정리

  • 전용차로 설치 권한

    • 시장 등이 시·도 경찰청장이나 경찰서장과 협의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화물 운전자 자격 요건

    • 만 20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 운전경력 2년 이상 (사업용 자동차 운전 경력이 있는 경우 1년 이상)

  •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허가

    • 운송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운임 및 요금제도

    • 구난형 특수자동차를 사용하는 운송사업자의 운임 및 요금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는 신고제로 운영됩니다.

  • 운송주선사업자 의무사항

    • 화물운송질서 확립 등을 위해 지켜야 할 사항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합니다.

  • 용어 정의

    • 공영차고지: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등이 설치한 차고지를 말합니다. 주/정차 시설 및 사무소 등이 갖추어진 장소는 사업장에 대한 설명입니다.

  • 도로법상 타공작물

    • 도로와 그 효용을 함께하는 둑, 호안, 교량, 횡단도로 등입니다. 도로 원표도로 부속물에 해당합니다.

  • 고속국도 파손 벌칙

    • 고속국도를 파손하여 교통을 방해하거나 위험을 발생하게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 자동차 등록증 발급

    • 시·도지사는 신규 등록 신청을 받으면 자동차 등록 원부에 필요한 사항을 적고 자동차 등록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2. 제2과목. 화물취급요령


2.1. 운송장 및 포장/적재 요령

  • 운송장 기재 사항

    • 화물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므로, 눈대중이 아닌 정확한 중량을 기록해야 합니다.

  • 스티커형 운송장

    • 라벨 프린터기, 자체 정보 시스템, 출하 정보 전송 시스템 등 별도의 EDI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 나무 상자의 특성

    • 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어 외부 환경에 의해 변화를 받기 쉽지 않으며, 골판지가 시간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변화를 받기 쉽습니다.

  • 창고 내 작업 요령

    • 화물더미의 상층과 하층에서 동시에 작업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운송 시 유의 사항

    • 긴 물건을 어깨에 메고 운반할 때에는 앞부분의 끝을 운반자 신장보다 약간 높게 하여 모서리 등과의 충돌을 피해야 합니다.

  • 독극물 취급

    • 취급불명의 독극물은 즉시 폐기하지 않고, 취급 방법을 확인한 후 다루어야 합니다.

  • 화물 붕괴 방지

    • 포장과 포장 사이에 미끄럼을 막는 시트를 넣는 방식은 슬립 멈추기 시트 삽입 방식입니다.

  • 상차 후 작업 지침

    • 운송 면장상의 중량과 실제 중량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반드시 관련 부서에 연락하여 운송 여부를 통보 받아야 합니다.

  • 화물 인수 요령

    • 두 개 이상의 화물을 밴딩 처리한 경우, 파손 가능성을 설명하고 별도로 포장하여 각각 운송장을 부착해 집하해야 합니다.

  • 고객 유의사항 (면책 대상)

    •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물품으로 위험 부담률이 극히 높고 할증료를 징수하지 않은 물품은 고객 유의사항 사용 범위에 해당합니다.

  • 수출용 컨테이너 화물 선사의 업무

    • 선사의 업무는 화물 인수, 컨테이너 준비, 선적 서류 작성 및 송부 등이며, 컨테이너의 적재CY(Container Yard) 오퍼레이터의 업무입니다.

  • 풀 트레일러 연결 차량

    • 트랙터 한 대에 트레일러 두 세대를 달아 운전자의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특장차 종류

    • 적재함 높이를 경사지게 하여 적재물을 쏟아 내리는 특장차는 주로 흙이나 모래를 수송하는 덤프트럭입니다.


2.2. 이사화물 표준약관

  • 고객의 책임 있는 사유로 인한 해제

    • 고객이 약정된 이사화물의 인수일 1일 전까지 해제를 통지한 경우 손해배상액은 계약금입니다.

  • 사업자 면책 사항

    • 이사화물의 결함, 자연적 소모, 발화/폭발/부패 등 성질에 의한 손상,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적인 사유 등은 면책 대상이나, 이사화물의 경미한 훼손은 면책사항이 아닙니다.



3. 제3과목. 안전운행


3.1. 운전 환경 및 위험 상황

  • 노면별 사고율

    • 사고율이 가장 낮은 노면은 건조 노면이며, 사고율은 결빙 노면 > 눈 덮인 노면 > 습윤 노면 > 건조 노면 순입니다.

  • 운전자의 착각

    • 운전 중 발생하는 착각에는 크기의 착각, 경사의 착각, 속도의 착각, 원근의 착각, 상반의 착각 등이 있습니다. 시간의 착각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어린이 교통 안전 지도

    • 어린이와 함께 보행할 때에는 보호자차도 쪽으로 걷고, 어린이는 도로의 안쪽(길 가장자리 쪽)으로 걷도록 해야 합니다.

  • 수막 현상 예방 대책

    • 타이어의 공기압은 조금 높게 하여 지면과 닿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수막 현상을 방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 자동차 점검 사항

    • 운전석에서는 클러치/브레이크, 속도계, 주차 제동 레버 등을 점검합니다. 배터리 전해액의 양과 비중엔진 룸 점검 사항입니다.

  • 커브 지점 사고 유형

    • 주로 정면충돌 사고가 많으며, 이는 중앙선 침범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3.2. 도로 구조 및 주행 요령

  • 중앙분리대 안전성

    • 중앙분리대의 폭이 넓을수록 분리대를 넘어가는 횡단 사고가 적고, 전체 사고에 대한 정면충돌 사고의 비율도 낮습니다.

  • 커브길 위험성

    • 커브길은 직선도로보다 교통사고 위험이 큽니다.

  • 차로폭 기준

    • 차로폭은 3.0~3.5m를 기준으로 하며, 교량 위, 터널 내 등 부득이한 경우 2.75m로 할 수 있습니다.

  • 앞지르기의 위험성

    • 앞지르기는 진로 변경을 필연적으로 수반하며, 진로 변경은 동일한 차로 진행에 비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습니다.

  • 고속도로 통행 방법

    • 앞지르기 등 부득이한 경우 외에는 주행차선으로 통행해야 하며, 승용차라도 앞지르기 차선으로 계속 통행할 수 없습니다.

  • 차로 폭에 따른 사고 위험

    • 차로 폭이 좁은 도로는 보·차도 분리 시설이 미흡하고 무질서하게 혼재하는 경우가 많아 사고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3.3. 계절별/특수 상황 안전 운전

  • 철길 건널목 안전 운전

    • 일시정지 후 좌우 안전을 확인하고 통과해야 하며, 통과 중에는 기어 변속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 야간 운전 요령

    • 자동차 교행 시 조명장치를 하향 조정해야 하며, 문제가 발생하여 정차 시에는 안전 조치를 취하고 소등해서는 안 됩니다.

  • 여름철 안전 운전 (시동 꺼짐)

    • 주행 중 시동이 꺼졌을 때는 길 가장자리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곳으로 옮겨 보닛을 열고 열을 식힌 후 재시동해야 합니다.

  • 가을철 자동차 관리

    • 가을철 관리는 서리 제거용 열선 점검, 장거리 운행 전 점검, 세차 및 차체 점검 등이며, 부동액 점검겨울철 관리 사항입니다.

  • 가을철 안전 운전 (경운기)

    • 경운기 옆을 지나갈 때는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경적을 울려 자동차가 가까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 탱크 차량 운행 방법

    • 차량 수리 시에는 통풍이 양호한 장소에서 실시해야 하며, 밀폐된 장소에서는 수리하면 안 됩니다.

  • 위험물 운반 방법

    • 지정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운반할 때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의 보기 쉬운 곳에 표지를 게시해야 합니다. (절대로 운반하지 않을 것은 틀린 설명)



4. 제4과목. 운송서비스


4.1. 물류 관리 및 비용

  • 물류비 산정 목적

    • 물류 합리화에 의한 원가 절감이나 서비스 개선에 대한 관리 지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물류비의 종류

    • 사내 물류비: 완제품을 포장하여 판매상에게 인도하기 이전까지의 비용입니다.

    • 조달 물류비: 원재료가 조달선으로부터 제조업자에게 도달되기까지의 물류비입니다.

    • 판매 물류비: 고객에게 판매가 확정된 후 고객에게 인도하는 시점까지의 물류비입니다.

  • 물류 표준화의 필요성

    • 물류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물동량 흐름의 일관성/경제성을 확보하며, 궁극적으로 물류비를 절감하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 종합적 물류비 분석

    • 각 비용의 부분적인 절감이 아닌, 비용의 총액을 절감할 것인가를 목적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은 **토탈 코스트 어프로치(Total Cost Approach)**입니다.


4.2. 물류 시스템 및 전략

  • SCM (Supply Chain Management)

    • 기본 개념: 기능 간/기업 간의 프로세스 통합, 물자/정보/자금의 동시화, 기업 간 협력입니다. 제로섬(Zero-Sum) 게임에 기반하지 않습니다.

  • 통합 물류 관리 목표

    • 소비자 및 공급망 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의 최적화, 전체적인 서비스 향상과 재고 비용의 감소를 목표로 합니다. 물류 기능의 세분화 및 책임/권한 분산은 아닙니다.

  • 마케팅과 물류

    • 물류는 마케팅의 4P 중 **'Place(유통)'**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로지스틱스 수준에서도 마케팅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 ECR (Efficient Consumer Response) 조건

    • ECR을 이루기 위한 조건에는 Cross-Docking 시스템, 유연생산 시스템(FMS), 자동발주 시스템(CAO), 활동 기준 원가 계산(ABC) 등이 있으며, Quick Response(QR)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PDS (Plan-Do-See) 활동

    • Plan (계획): 물류 서비스 수준 결정

    • Do (실시): 보관 활동, 재고 관리

    • See (평가): 효율 평가

  • 제3자 물류 (TPL)

    • 예상 효과: 운영비/인력/자본비용 감소, 서비스 개선, 핵심 역량에 대한 집중 등입니다. 핵심 역량 집중력 약화는 틀린 설명입니다.

    • 수행 기능: 고객을 위한 조달, 배송, 재고 관리, 정보 관리 등이며, 금융 조달 기능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 물류 시스템 5S 목표

    • Scales(규모), Speed(신속), Stock Control(재고), Space Saving(공간), Service(서비스)이며, Sales(판매)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4.3. 물류 정보 시스템 용어

  • POS (Point of Sales): 상품을 판매하는 시점에서 상품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재고 관리 등에 필요한 시점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기업 간에 교환되는 서식을 전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컴퓨터와 컴퓨터 간에 교환되는 전자문서 교환 시스템입니다.

  • CAO (Computer Assisted Ordering):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합, 분석하여 주문서를 작성하는 자동발주 시스템입니다. (ECR은 광범위한 소비자 대응 전략)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