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기능사 필기시험 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묘목 및 조림 기술
1.1. 묘목의 나이 표기법 및 정의
2-1-1묘: 파종상에서 2년, 이후 두 번 상체(이식)되어 각 상체상에서 1년을 경과한 총 4년생 묘목을 의미합니다.
1/1묘: 뿌리의 나이가 1년, 줄기의 나이가 1년인 삽목묘목입니다.
1/2묘: 뿌리의 나이가 2년, 줄기의 나이가 1년인 삽목묘목입니다.
1.2. 종자 효율 및 계산 공식
종자의 효율(%)은 종자의 발아 능력과 순도(순량률)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식 (순수 텍스트): 종자의 효율 (%) = (발아율 * 순량률) / 100
1.3. 우량 묘목의 기준
지상부와 지하부(뿌리) 간의 발달이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합니다.
뿌리의 발달이 충실하고 상처가 없어야 합니다.
겨울눈이 충실하고 가지가 도장(웃자람)하지 않아야 합니다.
1.4. 종자 처리 및 저장
파종 방법: 호두나무, 밤나무 등 알이 굵은 대립 종자는 10 ~ 20cm 간격으로 1 ~ 3립씩 심는 **점파(점뿌림)**가 적합합니다.
종자 저장법: 건조저장, 보습저장, 노천매장, 보호저장(건사저장), 냉습적법 등이 사용됩니다. 냉동저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묘포 상면 방향:
평지: 동서 방향으로 만듭니다.
경사지: 등고선에 평행하게 만듭니다.
1.5. 식재 계산 및 방법
식재 본수 계산: 필요한 묘목 수 (본) = (조림 면적 (ha) * 10,000 m²) / (식재 간격 (m) * 식재 간격 (m))
정방형 식재: 묘간거리와 열간거리가 같은 식재 방법으로, 조림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1.6. 묘목 곤포당 본수 (표준)
리기다소나무 1년생 묘목의 표준 곤포당 본수는 2,000본입니다.
리기다소나무 2년생 묘목의 표준 곤포당 본수는 1,000본입니다.
2. 임업 작업종 및 육림
2.1. 주요 갱신 작업종
산벌작업: 갱신벌채를 여러 번에 나누어 시행하며, 예비벌 -> 하종벌 -> 후벌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예비벌: 갱신 준비 및 임지 환경 개선.
하종벌: 치수 발생을 완성시킵니다.
후벌: 발생한 치수의 발육을 촉진합니다.
택벌작업: 벌기, 벌채량, 벌채구역의 제한 없이 성숙한 일부 임목만을 국소적으로 골라 벌채하는 방법입니다.
중림작업: 상층목(용재)과 하층목(땔감)을 동시에 얻기 위해 경영되며, 상층과 하층은 서로 다른 수종으로 혼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2. 가지치기 및 임목 정의
가지치기의 주 목적: 우량 목재의 생산을 위해 계획적으로 가지의 일부분을 잘라내는 작업입니다.
폭목(輻木): 수관의 발달이 지나치게 왕성하고, 넓게 확장하거나 위로 솟아올라 수관이 편평한 나무입니다.
2.3. 천연갱신의 특징
천연갱신지의 치수는 모수(어머니 나무)의 보호를 받아 안정된 생육 환경을 제공받습니다.
인공 조림에서와 같이 수종 선정의 실패 염려가 적습니다.
임지가 나출(흙이 드러남)되는 일이 드물어 지력 유지에 적합합니다.
2.4. 임지 보호 방법
지력 유지 및 증진: 임지 표면의 낙엽과 가지를 보호해야 합니다. 낙엽과 가지를 모두 제거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비료목 식재: 오리나무처럼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여 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종을 식재합니다.
황폐 임지: 등고선 방향으로 수평구를 설치하여 토양 유실을 방지합니다.
3. 병해충 및 방제
3.1. 해충의 특징
유충과 성충 모두 잎을 가해: 오리나무잎벌레.
그을음병과 관계있는 해충: 깍지벌레, 진딧물 등 흡즙성 해충이 배설하는 감로가 원인이 되어 그을음병이 발생합니다.
주요 해충의 월동 형태:
성충 월동: 소나무좀, 오리나무잎벌레.
번데기 월동: 미국흰불나방.
3.2. 수목 병해
바이러스 병해: 모자이크병 (잎에 밝거나 어두운 반점, 줄무늬 발생).
곰팡이(자낭균) 병해: 벚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 병해: 뽕나무 오갈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벚나무 빗자루병은 해당하지 않음).
기주교대 이종기생성 병: 향나무 녹병(배나무의 붉은별무늬병).
잠복기간이 가장 짧은 병: 포플러 잎녹병 (4 ~ 6일).
3.3. 방제 약제 및 성분
발근 촉진제: 인돌부틸산(IBA), 인돌초산(IAA), 나프탈렌초산(NAA).
제초제 성분: 2,4-D (2,4-다이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살충제 형태 및 작용:
훈증제: 메틸브로마이드.
보조제: 유화제, 협력제, 전착제. **유제(EC)**는 농약의 형태 분류입니다.
3.4. 묘목 병해 방제
모잘록병 방제:
토양 및 종자 소독, 돌려짓기, 솎음질.
주의: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안 되고, 인산질 비료와 완숙된 퇴비를 충분히 주어야 합니다.
4. 산림 보호 및 피해
4.1. 비료목 및 공생 관계
비료목으로 적당한 수종: 오리나무 (뿌리혹박테리아 공생으로 질소 고정). 보리수나무 역시 비료목으로 취급되나, 콩과 식물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수목과 균의 공생 관계: 소나무 - 송이균.
4.2. 바람 피해
주풍(계속적인 바람)의 피해: 수형을 불량하게 하고, 임목의 생장량이 감소되며, 침엽수는 상방편심 생장(바람이 부는 반대쪽으로 치우쳐 자람)을 하게 됩니다.
강풍 피해: 풍속 29m/s 이상의 강풍에 의해 기공이 폐쇄되어 광합성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4.3. 내화력이 강한 수종
내화력이 강한 수종(불에 잘 견디는 나무): 사철나무, 피나무, 사시나무, 아까시나무 등이 있습니다.
5. 임업 기계 및 안전
5.1. 임업 기계의 특성
2행정기관: 4행정기관에 비해 배기음이 크고, 휘발유와 오일 소비가 크며, 동일 배기량에 비해 출력이 크고, 저속 운전이 곤란합니다.
윤활유:
필수 성질: 유성이 좋아야 하고, 점도가 적당하며, 부식성이 없어야 합니다.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작아야 합니다.
계절별 점도: 겨울철은 SAE 20W가 적합합니다. 봄/가을은 SAE 30, 여름철은 SAE 40입니다.
1PS (마력): 75kg의 물체를 1초에 1m 들어 올리는 동력 단위입니다 (75 kg * m/s).
5.2. 체인톱 및 예불기 점검
체인톱 일일 점검 사항: 휘발유와 오일의 혼합, 에어필터 청소, 안내판 손질.
체인톱 수명: FAO 규정상 체인톱 몸통의 예상 수명은 약 1,500시간입니다.
예불기 바른 자세: 어깨걸이식 예불기를 멨을 때, 지상으로부터 날까지의 가장 적절한 높이는 10 ~ 20cm 정도입니다.
5.3. 임업 도구 및 치수
도끼날 각도: 가지치기용 도끼날의 각도는 8 ~ 10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도끼자루 길이: 작업자의 팔 길이 정도가 사용하기에 편리합니다.
벌목 도구:
지렛대/목재 돌림대: 벌목 중 나무에 걸린 벌도목의 방향 전환 및 돌리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쐐기: 톱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스웨디쉬 갈고리: 소경재 운반을 위한 갈고리입니다.
조림용 도구:
재래식 괭이: 땅을 파거나 흙덩이를 부수는 데 사용됩니다.
양날괭이: 각식재용으로 땅을 벌리거나 가르는 데 사용됩니다.
가선 집재 기계: 자주식 반송기, 썰매식 집재기, 이동식 타워형 집재기. 하베스터는 벌도, 가지 제거, 절단 작업 등을 연속으로 하는 다공정 처리 기계입니다.
5.4. 안전 및 회계
안전 수칙: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가능한 혼자 작업하지 말아야 합니다.
걸린 벌채목 처리: 기계톱으로 토막 내는 것은 위험하므로, 견인기나 방향 전환 지렛대를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넘기거나 끌어내야 합니다.
감가상각비 (정액법):
구입비 30,000,000원, 잔존가액(10%) 3,000,000원, 상각률 0.2
공식: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액) * 상각률
계산: (30,000,000원 - 3,000,000원) x 0.2 = 5,400,000원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