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2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종균 생산 시설 및 종자업 기준


1-1. 종자업 시설 기준 (살균 관련)

  • 최소 살균기 용량: 종자업 등록을 위한 1회 살균 기준, 고압살균기의 최소 용량은 600병 이상이어야 합니다. (압력 1.5~2.0LPS)

  • 살균 조건 (병재배): 일반적인 고압살균 조건은 121°C, 1.1kgf/cm²에서 90분간 실시합니다.


1-2. 종균 생산 환경 관리

  • 소독제: 종균 접종실 및 시험기구 소독에 가장 적절한 알코올 농도는 **70%**입니다.

  • 공기 여과: 종균접종실, 배양실, 냉각실 등은 헤파필터(HEPA filter)와 같은 공기 여과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생육실은 공기 여과 장치가 필수가 아닙니다.

  • 유리 수분 생성 원인 (곡립종균):

    • 곡립 배지의 수분 함량이 높을 때

    • 배양 기간 중 온도 변화가 심할 때 (변온)

    •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될 때

    • 장기간 고온 저장했을 때


1-3. 종자산업법 기준

  • 버섯 종균의 보증 유효기간: 1개월 (채소 2년, 감자/고구마 2개월, 맥류/콩 6개월)

  • 종자업 등록: 종자업을 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갖추어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등록해야 합니다.



2. 버섯 배지 및 영양 조건


2-1. 배지 제조 및 재료

  • 감자한천배지 (PDA) 1L 제조: 물 1L 기준으로 감자 200g, 포도당 20g, 한천 20g이 필요합니다.

  • 느타리버섯 원균 증식 배지: 일반적으로 감자배지가 가장 적당합니다.

  • 양송이 종균 배지 재료: 주로 을 사용하며, 탄산칼슘, 석고 등을 첨가합니다. (벼, 조 등은 부적합)

  • 표고 톱밥 배지 첨가 비율 (예시): 참나무 톱밥(80%), 미강(15%), 면실피(5%), 탄산칼슘(0.5%)


2-2. 느타리 솜(폐면) 배지 살균

  • 살균 조건: 60~65°C에서 6~14시간 (저온 살균)


2-3. 곡립종균 관리

  • 균덩이 형성 방지 대책:

    • 호밀은 박피할 것 (도정하지 말 것)

    • 고온 저장 피하기 (장기간 보관 피하기)

    • 종균 흔들기 (과도하게는 하지 않음)

    • 석고 사용량 조절을 통한 수분 조절



3. 주요 버섯별 재배 특성 및 환경


3-1. 느타리버섯 (Oyster Mushroom)

  • 균사 생장 적온: 25°C 전후.

  • 환기 불량 증상: 대가 길어지고, 갓이 발달되지 않으며, 수확이 지연됩니다.

  • 톱밥종균 수분 함량: 가장 알맞은 수분 함량은 **63~65%**입니다.


3-2. 표고버섯 (Shiitake Mushroom)

  • 균사 생장 온도: 생장 가능 온도 5~32°C, 적온 22~27°C

  • 자실체 발육 적정 공중 습도: 80~90% (생장 시)

  • 원목 접종 최적 시기: 3월~4월 중순 이전 (노지 기준)

  • 수확 후 휴양 기간: 다음 자실체 발생 작업까지 약 30~40일 휴양이 필요합니다.

  • 임내 눕히기 장소: 북서향 산란광이 드는 곳, 통풍이 잘 되는 곳. (직사광선이 드는 곳은 부적당)


3-3. 양송이버섯 (Agaricus Mushroom)

  • 종균 저장 적온: 5~10°C

  • 퇴비 후발효 목적 (중요):

    • 퇴비의 영양분 합성 및 조절

    • 암모니아태 질소 제거

    • 퇴비의 유해물질 (병해충) 사멸

  • 복토 최적 조건: 최적 산도 pH 7.5 내외, 최적 수분 함량 65%


3-4. 팽이버섯 (Enoki Mushroom)

  • 재배사 규모 결정: 신축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1일 입병량입니다.

  • 수확 시 선도 유지: 팽이버섯과 큰느타리버섯은 선도 유지를 위해 배지 일부를 남겨 유통합니다.

  • 포자 색깔: 흰색입니다.


3-5. 기타 버섯

  • 흰목이버섯: Hypoxylon sp. (하이폭실론)이라는 공생균과 같이 생육합니다.

  • 만가닥버섯 배지 재료: 느티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이 적절합니다.



4. 버섯의 생리 및 생장


4-1. 버섯의 일반적 특징

  • 버섯은 곰팡이, 박테리아와 함께 **균계(菌界)**에 속하며 고등생물이 아닙니다.

  • 엽록소가 없으므로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기생 또는 부생 생활을 합니다.

  • 자실체: 버섯의 생식기관으로 포자를 만들며, 종이나 속(屬)에 따라 고유 형태를 가집니다.


4-2. 버섯의 생활사 및 분리

  • 담자균 생활사: 자실체 → 담자포자 → 균사체 → 자실체 (순환)

  • 양송이/느타리 균주 분리 방법: 포자 발아, 균사절편 이식, 조직 분리 등이 있습니다. 세포 융합은 신품종 육성 방법입니다.

  • 균주 분리 최적 부위 (담자균): 잡균 오염이 적고 유전적으로 순수한 균주를 얻을 수 있는 노출되지 않은 내부 조직입니다.

  • 장기 보존: 장기 보존 시 액체 질소 보존법이 가장 좋으며, 이때 보존제로 10% 글리세린이나 포도당을 사용합니다.


4-3. 탄산가스 (CO₂) 농도

  • 재배 단계별 농도 (팽이버섯 예시):

    • 배양실: 3,000~4,000ppm (가장 높음)

    • 발아실 및 억제실: 1,000~1,500ppm

    • 생육실: 2,500~3,000ppm



5. 병해충 및 수확 후 관리


5-1. 주요 병해 및 방제

  • 느타리 푸른곰팡이병: 초기에 식별이 어렵고 급속도로 전파되어 균사를 사멸시킵니다. 방제 약제로는 베노밀 수화제(벤레이트) 등을 사용합니다.

  • 양송이 마이코곤병: 기온이 높은 봄재배 후기/가을재배 초기에 발생하며, 복토 소독을 하지 않을 경우 피해가 심합니다.

  • 양송이 주요 해충: 버섯파리, 응애, 톡토기, 선충 등이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킵니다.


5-2. 수확 후 관리

  • 건조 저장법: 동결건조는 건조 저장법에 해당합니다. (통조림, 레토르트 파우치 등은 가공저장법)

  • 생체 저장법: 저온저장법, CA(Controlled Atmosphere) 저장법, PVC 필름 저장법 등이 있습니다. 상온 저장법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양송이 예랭: 수확 후 1차 예랭(1°C, 1시간) 후 2차 예랭(0°C, 2~4시간)을 실시합니다.

  • 영지버섯 열풍 건조: 초기에는 40~45°C로 시작하여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며, 최종적으로 60~70°C에서 건조를 완료합니다.


5-3. 표준 규격품 표시 사항

  • 버섯 표준규격품 표시 시 의무 표시사항은 품목, 산지, 등급, 내용량, 생산자 명칭 등이며, 재배 방법은 의무 표시사항이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