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3회 2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인간공학 및 표시/조종장치
1.1 표시장치 (Display) 선정 기준
✅ 시각적 표시장치 사용이 유리한 경우
메시지가 후에 참고되어야 할 때
메시지가 길고 복잡할 때
메시지가 시간적인 사건을 다룰 때
수신 장소가 시끄럽지 않을 때
✅ 청각적 표시장치 사용이 유리한 경우
메시지가 공간적인 위치를 다룰 때 (예: 소리의 방향)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
수신자가 자주 움직여야 할 때
사람의 일이 연속적인 움직임을 요구할 때
1.2 조종장치 (Control) 형상 암호화
단회전용 조종장치: 한 바퀴 미만의 회전으로 조작이 완료되는 형태 (예: 노브, 손가락 조종장치).
다회전용 조종장치: 여러 바퀴를 회전해야 조작이 완료되는 형태 (예: 둥근 핸들, 손바퀴).
이산 멈춤위치용 조종장치: 특정 위치에서만 멈추도록 설계된 조종장치.
1.3 통제표시비 (C/R Ratio) 계산
조종장치의 조작 거리(C)와 표시장치의 반응 거리(R)의 비율입니다.
C/R비 = (조종장치 이동거리) / (표시장치 이동거리)
원형 조종장치의 경우 (Plain Text 수식): C/R비 = [(이동각도 / 360도) x 2 x 3.14 x 반경] / (표시장치의 이동거리)
1.4 작업대 및 수공구 설계
착석식 작업대 높이 설계 시 고려사항:
의자의 높이 (높이 조절식 선호)
대퇴여유 (큰 사람이 움직일 공간 확보)
작업의 성격 (정밀 작업은 약간 높게, 거친 작업은 약간 낮게)
고려사항이 아닌 것: 작업대의 형태
인간공학적 수공구 설계 원칙:
수공구 사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도록 설계합니다.
정밀 작업용 수공구 손잡이 직경: 0.75 ~ 1.5 cm
힘을 요하는 수공구 손잡이 직경: 2.5 ~ 4 cm
2. 작업 환경 및 생리학
2.1 근섬유의 종류
Type S 근섬유 (Type I, 지근섬유):
직경이 작아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함.
장시간 지속 가능하며 피로가 쉽게 발생하지 않음 (지구력 운동에 유리).
Type F 근섬유 (Type II, 속근섬유):
직경이 커서 큰 힘을 발휘함.
단시간 지속하며 피로가 쉽게 발생함 (순발력 운동에 유리).
2.2 신체 부위의 운동 용어
굴곡 (Flexion): 부위 간의 각도가 감소하는 움직임 (예: 팔꿈치를 굽히기).
신전 (Extension): 부위 간의 각도가 증가하는 움직임 (예: 팔꿈치를 펴기).
외전 (Abduction): 신체 중심선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움직임.
내전 (Adduction): 신체 중심선으로 가까이 이동하는 움직임.
외선 (External Rotation) / 내선 (Internal Rotation): 신체의 회전 움직임.
2.3 소음과 조도 기준
소음성 난청 주파수: 소음 작업 환경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청력 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주파수는 4,000 Hz 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면 조도 기준 (최소):
초정밀작업: 750 lx 이상
정밀작업: 300 lx 이상
보통작업: 150 lx 이상
그 밖의 작업: 75 lx 이상
3. 시스템 안전 및 위험 분석
3.1 위험 및 운전성 검토 (HAZOP) 전제조건
HAZOP 분석은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장치 자체는 설계 및 제작 사양에 맞게 제작된 것으로 간주한다.
안전장치는 필요할 때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틀린 전제: 안전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조작자는 위험 상황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인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두 개 이상의 기기 고장이나 사고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
3.2 휴먼에러 분류 (Swain의 심리적 독립행동)
Swain은 휴먼 에러를 심리적 독립 행동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했습니다.
누락 오류 (Omission Error)
작위 오류 (Commission Error)
이질적 오류 (Extraneous Error)
시간 오류 (Time Error)
순서 오류 (Sequential Error)
해당하지 않는 것: Command Error
3.3 신뢰성 및 보전성
욕조 곡선 (Bathtub Curve)의 고장 형태:
초기 고장 구간 (감소하는 고장률)
우발 고장 구간: 일정한 형태의 고장률이 나타나는 구간 (Chance Failure)
마모 고장 구간 (증가하는 고장률)
보전 기록 자료 (신뢰성/보전성 개선):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 분석표
설비 이력 카드
고장 원인 대책표
거리가 먼 것: 자재 관리표
3.4 시스템 신뢰도 계산 (Plain Text 수식)
직렬 시스템 신뢰도: R_S = R1 x R2 x ... x Rn
병렬 시스템 신뢰도: R_P = 1 - (1 - R1) x (1 - R2) x ... x (1 - Rn)
혼합 시스템 : R_시스템 = R_A x [1 - (1 - (R_B x R_D)) x (1 - R_F) x (1 - (R_C x R_E))] x R_G
3.5 위험 분석 기법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고장 형태 및 영향 분석):
서브시스템, 구성 요소, 기능 등의 잠재적 고장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위험을 파악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고장 모드(Failure Mode)와 그 영향(Effect)을 분석합니다.
FTA (Fault Tree Analysis, 결함 수목 분석):
Minimal Cut Set (최소 절단 집합): 정상 사상 (Top Event)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기본 사상 집합입니다. 이는 사고에 대한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합니다.
Path Set (경로 집합):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사상의 집합입니다.
FTA 게이트 기호:
우선적 AND 게이트: 입력 사상이 정해진 순서대로 발생했을 때 출력 사상이 발생하는 게이트.
3.6 기타 안전 관리
인간공학적 평가 척도 요건:
적절성 · 타당성 (Validity)
무오염성 (Uncontaminated)
신뢰성 (Reliability)
요건이 아닌 것: 주관성
시스템 안전 업무 수행 요건:
안전 활동의 계획 및 관리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람의 동일성 식별
시스템 안전에 대한 프로그램 해석 및 평가
다른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과의 조정 (분리 및 배제가 아님)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