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필기시험 3회 2과목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물류관리사 필기시험 3회 2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운송의 기본 개념 및 기능


1.1. 운송의 3대 요소

  • 운송 연결점 (Node): 물류거점, 터미널 등

  • 운송경로 (Link): 도로, 철로, 항로 등

  • 운송수단 (Mode): 트럭, 선박, 항공기 등


1.2. 운송의 효용 및 목표

  • 물류활동 목표: 비용절감과 고객서비스 향상

  • 운송효용 (시간적 효용):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격차 조정 (재고 보관 기능과 연관)

  • 운송수요의 특성: 많은 이질적인 개별 수요로 구성되어 계획적이기보다는 유동적인 특성을 가짐.

  • 운송의 주요 기능: 유통재고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함. (유통재고량을 최대로 유지시키지 않음)


1.3. 수송과 배송의 구분

  • 수송 (간선운송): 철도역, 항만, 공항, 물류터미널 등 물류거점 의 대량운송.

  • 배송 (지선운송): 중소형 트럭을 이용하여 물류거점에서 화주 문전까지 운송하는 활동.



2. 운송수단 선택과 효율화 방안


2.1. 운송수단 선택 시 고려사항

  • 화물의 종류, 중량 및 용적, 고유의 성질, 가치 (운임부담력)

  • 운송거리, 로트의 크기, 납기 (소요시간)

  • 고객의 중요도

  • (주의: 화물 납품처의 매출규모는 직접적인 고려사항이 아님)


2.2. 운송수단별 적합성 (표를 텍스트로 변환)

  • 자동차 운송:

    • 적합 조건: 운송거리가 짧을수록 적합합니다.

    • 부적합 조건: 대량화물 운송이나 장거리 운송에는 불리합니다.

  • 해상 운송:

    • 적합 조건: 운송거리가 길수록 적합하며, 화물가치가 낮고 운임이 저렴한 대량 화물 운송에 유리합니다.

    • 부적합 조건: 단거리 운송에는 비효율적입니다.

  • 항공 운송:

    • 적합 조건: 운임부담능력이 있는 고가화물에 적합하며, 리드타임이 짧아 재고유지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 부적합 조건: 저가 또는 대량 화물 운송에는 부적합합니다.

  • 파이프라인 운송:

    • 적합 조건: 석유류, 가스제품 등 액상 또는 기체 화물 운송에 사용됩니다.


2.3. 국내 화물운송 합리화 방안

  • 운송체계 다변화, 아웃소싱 추진

  • 물류네트워크 (운송경로-물류거점-운송수단) 구축

  • 대량화물을 고속으로 운송하기 위한 블록 트레인 (Block Train) 도입

  • 영차율을 최대화하여 화물 적재효율을 높임.



3. 화물자동차 운송


3.1. 화물자동차 중량 및 운송능력

  • 공차중량: 사람 및 짐이 실리지 않은 상태에서 연료, 냉각수, 오일 등 기본적인 것만 갖추고 측정한 차의 무게.

  • 화물자동차의 단점: 대량화물 운송 불리, 운송단가 높음, 에너지 효율성 낮음, 중량 제한 받음. (장점: 배차의 탄력성이 높음)


3.2. 특장차의 특징

  • 장점: 화물 포장비 절감, 신속한 상/하차로 차량 회전율 향상.

  • 단점: 복화화물 확보가 어렵고 편도 공차 운행 가능성, 특수 설비로 인해 차체의 무게가 무거워짐.


3.3. 운송효율성 지표

  • 영차율: 전체 운행거리 중 실제 화물을 적재하고 운행한 비율 (적재거리/총 운행거리).

  • 복화율: 편도 운송 후 귀로에 화물운송을 수행한 정도.

  • 적재율: 차량의 적재정량 대비 실제 화물을 적재하고 운행한 정도.


3.4. 트레일러의 종류

  • 평상식 트레일러: 일반화물

  • 밴 트레일러: 일반잡화 및 냉동화물 (중량 블록화물에 부적합)

  • 폴 트레일러 트럭 (Pole-trailer Truck): 대형 목재, 대형 파이프, H형강 등 장척화물 운송에 적합.



4. 철도, 해상, 항공 운송 및 택배


4.1. 철도 운송

  • 블록 트레인 (Block Train): 특정 발착역 간을 운송하는 전용 화물 열차.

  • COFC (Container on Flat Car): 컨테이너 자체만 철도화차 (Flat Car)에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방식.


4.2. 택배 표준약관 (손해배상 및 수탁 거절)

  • 인도: 사업자가 고객 (수화인)에게 운송물을 넘겨주는 행위.

  • 손해배상 한도액: 고객이 운송물 가액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 50만원.

  • 수탁 거절 가능 항목:

    • 재생 불가능한 계약서, 원고, 서류 등

    • 살아 있는 동물, 동물 사체 등

    • 운송물 1포장의 가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 화약류, 인화물질 등 위험한 물건


4.3. 해상 운송

  • Bareboat Charter (나용선): 선주가 선박만 제공하고 용선자가 선원의 고용, 선박의 운항/관리를 모두 책임지는 계약 형태.

  • 용선계약 묵시적 확약: 신속한 항해 이행, 부당한 이로 불가, 위험물 미적재, 내항성 있는 선박 제공.

  • 함부르크 규칙 (Hamburg Rules): 운송인의 책임이 강화된 국제규칙.

    • 운송인의 항해과실 면책조항 폐지.

    • 화재면책 폐지 및 운송인 책임한도액 인상.

    • 지연손해에 관한 운송인 책임 명문화.

  • 재화중량톤수 (Dead Weight Tonnage, DWT):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연료, 청수 등의 총 중량.


4.4. 항공 운송

  • 탑재 방식:

    • Bulk Loading: ULD 없이 낱개 화물을 인력으로 적재하는 가장 원시적인 방식.

    • Pallet/Container Loading: 단위탑재용기(ULD)를 사용하여 하역 기계화 및 지상 체류시간 단축에 효율적.

  • Specific Commodity Rate (SCR): 특정 구간/특정 품목에 대해 일반요율(GCR)보다 할인하여 적용하는 요율.



5. 물류 네트워크 및 모형


5.1. 국제물류주선업자 (Freight Forwarder) 서비스

  • Forwarder's Consolidation: 포워더가 다수의 수출 화주로부터 소량 화물 (LCL)을 모아 FCL 단위로 컨테이너에 적입하여 운송하는 서비스. CFS (Container Freight Station)를 이용.


5.2. 교통수요 예측 모형

  • 통행배정모형:

    • 용량비제약모형: 전량배정법 (All-or-Nothing), Dial 모형

    • 용량제약모형: 반복배정법, 분할배정법, 교통망 평형배정모형

  • 화물분포모형: 성장인자법 (평균인자법, 프래타법), 중력모형, 엔트로피 극대화모형.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