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3회 4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전기 위험 방지 기술 핵심 정리
1.1 누전 화재의 징후 및 예방 대책
누전 화재는 전기 설비의 절연 불량으로 인해 전기가 새어 나가 발생하는 화재입니다. 화재 발생 전에 나타나는 주요 징후를 숙지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누전 화재 발생 전 징후
인체 감전 현상
전등 밝기의 변화 현상
빈번한 퓨즈 용단 현상 (퓨즈가 자주 끊어짐)
전기 사용 기계장치의 오동작 증가 (오동작 감소는 잘못된 현상)
개폐기로 인한 발화 방지 대책 개폐기(스위치) 발화는 스파크로 인한 가연물 착화가 주원인입니다.
가연성 증기, 분진 등이 있는 곳은 반드시 방폭형 개폐기를 사용합니다.
개폐기는 불연성 상자 안에 수납하여 보호합니다.
포장 퓨즈를 사용해야 합니다. (비포장 퓨즈는 사용 금지)
접속 부분의 나사 풀림이 없도록 확실히 조입니다.
1.2 방폭 구조 및 전기 시설 기준
전폐형 방폭 구조 외부로부터 폭발성 가스나 증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하거나, 내부의 폭발 압력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입니다.
전폐형에 해당하는 구조:
압력 방폭구조
내압 방폭구조
유입 방폭구조
전폐형에 해당하지 않는 구조: 안전증 방폭구조 (안전도 증강에 의해 제작되며, 전폐형으로 볼 수 없습니다.)
저압 옥내 전기설비 시설 기준 (가연성 가스 장소) 가연성 가스가 있는 곳에 금속관 공사를 할 경우, 관 상호간 또는 관과 전기기계기구는 5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접속하여 완벽하게 밀봉해야 합니다.
1.3 접지 공사 및 절연 협조 공식
접지 저항을 결정하는 요소 접지 저항치는 안전한 접지 성능을 보장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접지선 및 접지극의 도체 저항
접지전극 주위의 토양(대지)이 나타내는 저항
접지전극의 표면과 토양 사이의 접촉 저항
접지전극과 주회로 사이의 높은 절연 저항
제2종 접지 저항 계산 및 조건 고압전로에 설치된 전동기용 고압전류 제한 퓨즈의 불용단 전류 조건은 정격전류의 1.3배의 전류로 2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입니다.
제2종 접지 저항 (R2) 계산 공식:
R2 ≤ V0/Ig(ohm) (단,
R2 : 제2종 접지 저항(ohm),V0 : 변압기 저압측 전로의 대지 전압 (V, 일반적으로 300V 적용),Ig : 고압측 전로의 1선 지락 전류(A))예시 (고압전로 자동 차단 장치 설치 시): 고압전로를 1초 이내에 자동 차단하는 장치가 설치된 경우, R2 <= 300 / Ig 를 적용합니다. (문제 예시: 300V / 10A = 30 ohm 기준 적용)
전기 안전 관련 주요 공식
도체구의 전위 (V) 계산 반경이 r인 도체구에 전하량 Q가 대전되어 있을 때의 전위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도체구의 전위 V = Q / (4 * 파이 * 진공의 유전율 * r) (V)
진공의 유전율 (epsilon_0)은 약 8.855 x 10^-12 (F/m) 입니다.
r (반경)은 반드시 m 단위로 환산해야 합니다.
보호 여유도 (절연 협조) 계산 피뢰기의 제한 전압 (V_CV)과 변압기의 기준 충격 절연 강도 (V_BIL)를 이용하여 기기가 피뢰기로부터 얼마나 잘 보호되는지를 나타냅니다.
보호 여유도 (%) = ((V_BIL - V_CV) / V_CV) * 100
2. 화학 설비 위험 방지 기술 핵심 정리
2.1 정전기 발생 및 방지 대책
정전기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물질의 접촉과 분리에 따른 정전기 발생량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표면이 오염될수록 크다. (표면 오염물은 절연체 역할을 하여 전하 축적에 용이합니다.)
분리 속도가 빠를수록 크다.
대전 서열이 서로 멀수록 크다.
접촉과 분리가 반복될수록 정전기 발생량은 적어집니다. (반복될수록 전하가 상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2 연소 및 폭발의 특성
가연성 물질과 산화성 고체의 혼합 가연성 물질이 산화성 고체(산소를 다량 함유한 물질)와 혼합되면 연소의 위험성이 극도로 증가합니다.
착화온도(발화점)가 낮아집니다.
최소 점화에너지가 감소하며,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공기 중에서보다 산화 작용이 강하게 발생하여 화염 온도가 상승하며 연소 속도가 빨라집니다.
가연성 증기의 연소 범위가 넓어집니다.
가스의 폭발 하한계 질량 계산 표준 상태 (0도 C, 1 atm)에서 기체 1 mol의 부피는 22.4 L 또는 0.0224 m³ 입니다.
A 가스의 질량 (g) 계산 공식:
A 가스의 질량 (g) = (전체 부피 (m³) * 폭발 하한계 (vol%) / 100) / 0.0224 (m³/mol) * 분자량 (g/mol)
2.3 소화 및 위험물 관리
소화의 3대 원리
냉각 소화: 연소물의 온도를 발화점 이하로 낮춥니다. (예: 튀김 기름에 야채를 넣어 온도를 낮춤, 물 분사)
질식 소화: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농도를 15 vol% 이하로 낮춥니다. (예: CO2 소화기, 불활성 물질로 덮음)
제거 소화: 가연물을 연소 영역에서 제거합니다. (예: 주 밸브를 닫아 연료 공급 차단, 촛불을 입으로 불어 끔)
물과 반응하여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
인화칼슘 (
Ca3P2 ): 물 또는 약산과 반응하여 유독성 포스핀 가스 (PH3 )를 발생시킵니다.알칼리 금속 (칼륨, 나트륨 등)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며 폭발 위험이 높습니다.
화재 감지 방식 (열감지) 열감지기는 온도의 상승이나 일정 온도 도달 여부를 감지합니다.
차동식 (온도 상승률 감지): 공기관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 공기팽창식, 열기전력식
정온식 (일정 온도 도달 감지): 바이메탈식, 열반도체식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 분류
제2류 위험물 (가연성 고체): 황화린, 유황, 적린 등
제3류 위험물 (자연 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황린, 금속나트륨, 금속칼륨, 알킬알루미늄 등
유해/위험물질 일반적 보관 방법
불활성 가스(주로 질소)와 함께 저장하여 산화 및 폭발 방지
서늘한 장소에 저장 (온도 상승에 따른 위험성 증가 방지)
부식성이 없는 용기에 저장
차광막이 있는 곳에 저장 (직사광선에 의한 변질 및 폭발 방지)
2.4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MSDS에 포함되어야 하는 항목 (참고 사항 제외)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성 및 위험성, 폐기 시 주의사항
구성 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 요령
폭발, 화재 및 누출 사고 시 대처 방법
취급 및 저장 방법
환경에 미치는 영향
운송에 필요한 정보
제외 항목: 제조 일자 및 유효 기간 (이는 MSDS가 아닌 제품 라벨 등에 표기되는 정보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