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차체 및 프레임 구조의 이해

자동차 차체는 방청성, 낮은 진동 및 소음, 우수한 강도와 강성 등을 갖추어야 하며, 프레임과 차체가 반드시 일체 구조일 필요는 없습니다.


프레임의 종류 및 특징

  • 일반적인 프레임 종류: 사다리형 프레임 (H형 프레임), 페리미터(Perimeter)형 프레임, 플랫폼(Platform)형 프레임, 스페이스형 프레임, X형 프레임 등이 있습니다.

  • H형 프레임 (사다리형): 2개의 사이드 멤버와 여러 개의 크로스 멤버를 결합하여 사다리 모양으로 제작한 프레임입니다.

  • 플랫폼형 프레임: 프레임과 보디 바닥면을 일체로 하여 제작된 형식입니다.

  • X형 프레임: 중앙부가 X자로 교차하는 프레임입니다. (회전(Rotary)형 프레임은 일반적인 자동차 프레임 종류가 아닙니다.)


차체 형식 분류

  • 모노코크 (Monocoque): 프레임과 차체(Body)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대표적인 차체 형식입니다.

  • 리무진 (Limousine): 외관은 세단과 유사하나 운전석과 객실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보조 좌석을 갖춘 7~8인승 고급 차량입니다.

  • 캡오버 (Cap-over)형: 엔진이 운전석 아래에 설치된 형식으로, 주로 버스나 트럭에 적용됩니다.

  • 해치백 세단 (Hatchback Sedan): 일명 2박스카로 불리며, 뒷좌석과 트렁크 공간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후면의 큰 문(해치)이 위로 열리는 구조입니다. 뒷좌석을 접어 화물실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차체 변형 및 패널

  • 모노코크 충돌 변형: 센터라인상의 좌우 변형된 상태를 **사이드웨이(Sideway)**라고 합니다.

  • 후방 충돌 변형 패널: 휠 하우스, 트렁크 플로어, 리어쿼터 패널 등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 프레임 보강판: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판이나 덧대기 판 양 끝 면의 단면을 점차 좁게 만듭니다.

  • 트렁크 도어 개폐 균형: **토션 바(Torsion Bar)**를 사용하여 트렁크 도어 개폐 시 균형을 잡습니다.

  • 차체 치수도 구성: 언더 보디, 사이드 보디, 엔진룸이 포함되며, 윈도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2. 금속 재료 및 기계적 성질


재료의 성질

  • 기계적 성질: 외부로부터 힘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 전성 (展性, Malleability): 금속 재료에 외력을 가했을 때 펴지거나 넓게 늘어나는 성질입니다.

  • 탄소강: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소는 **탄소(C)**입니다.

  • 재료 선택 시 우선 고려사항: 차체 부품 제작 시 강판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강판의 재질입니다.


알루미늄 합금

  • 두랄루민 (Duralumin): 알루미늄 + 구리 + 마그네슘 + 망간의 합금으로, 비중에 비해 강도가 커서 항공기나 자동차 재료로 활용됩니다.

  • 열팽창계수: 알루미늄 합금 중에서 열팽창계수가 가장 작은 것은 실루민입니다.


열처리

  • 저온 뜨임 (Tempering): 저온 뜨임을 할 때의 적정 온도는 150°C입니다.



3. 용접 및 판금


용접 일반

  • TIG 용접: 전극봉의 원뿔 각도가 작으면 용입은 증가합니다. (반대로 각도가 크면 용입은 감소)

  • 점용접 (Spot Welding): 접합면의 일부가 녹아 바둑알 모양의 단면으로 된 부분을 **너깃(Nugget)**이라고 합니다.

  • 스폿 용접 타점 간격: 1mm 판일 때 강도상 필요한 최저 간격은 20~25mm가 적당합니다.

  • 스터드 용접: 볼트나 환봉 등을 강판에 직접 용접하는 방법으로, 순간적으로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합니다.

  • 산소 충전 조건: 산소는 산소병에 35°C에서 150기압으로 충전합니다.


판금 수리 작업

  • 판금 작업의 기본: 변형된 패널을 원상 복구할 때, 패널 뒷면에 **돌리(Dolly)**를 대고 앞면에 **해머(Hammer)**로 칩니다.

  • 차체 수리용 판금 잭 (포토파워): 밀고, 당기고, 늘리고, 조르는 등 여러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변형된 차체를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4. 도장 및 도료


도료의 구성

  • 도료 구성 요소: 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 등이 있습니다. (유지는 구성 성분이 아닙니다.)

  • 수지 (Resin): 도막을 형성하는 주 요소로 아크릴, 우레탄, 에폭시 등으로 구성되며, 도료의 특성과 성능을 결정합니다.

  • 탑코트 (Topcoat): 색상, 광택, 부드러움 등 외관 향상을 위해 최종적으로 도장되는 도료입니다.

  • 래커 프라이머 (Lacquer Primer): 나이트로셀룰로스와 알키드 수지가 주성분으로, 빨리 마르는 성질을 가집니다.


도장 결함

  • 핀 홀 (Pin Hole): 두꺼운 도막을 급격히 가열했을 때 도장 건조 후 바늘로 찌른 듯한 구멍이 생기는 결함입니다.


수지의 특성

  • 엘라민 수지: 착색이 용이하고 무색 투명하며, 표면이 강하나 내습성이 취약한 수지입니다.



5. 안전 및 작업 환경


안전 수칙

  • 스패너 작업 안전: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서 작업하는 것은 안전 수칙에 어긋납니다 (힘의 집중으로 인한 파손 및 미끄러짐 위험).

  • 운반 작업 안전: 화물 적재 시 될 수 있는 대로 중심고를 낮게 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가스 용접 안전: 압력 용기의 나사가 풀리지 않을 때 충격을 가해서는 안 됩니다.

  • 화재 소화 작업: 유류 화재(B급 화재) 시 표면에 물을 부으면 연소면이 확대되므로 절대로 물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작업장 환경 및 표시

  • 환기법 종류: 자연 환기법, 국부 환기법, 전체 환기법이 있으며, 부분 환기법은 일반적인 분류가 아닙니다.

  • 안전·보건표지 (경고표지): 노란색 바탕에 검정색 테두리와 그림이 사용됩니다.

  • 안전표시 색채: 보라색은 주로 방사능 표시 용도에 사용됩니다.


연료 탱크 수리 안전

  • 자동차 연료탱크의 작은 구멍을 수리할 때 올바르고 안전한 작업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탱크 내의 가솔린 증기를 완전히 없애고

    2. 탱크 내에 물을 채우고

    3. 납땜을 이용하여 용접합니다.

    4. 주입구를 밀폐시키지 않아야 안전합니다.



6. 측정 및 기타 시스템


측정 기기

  • 프레임 점검 측정 기기: **트램 트랙킹 게이지 (Tram Tracking Gauge)**가 가장 정확하며, 센터라인 게이지는 센터 핀을 구성 요소로 사용합니다.

  • 다이얼 게이지: 스핀들에 주유하거나 그리스를 발라서 보관하면 오히려 먼지가 붙어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피해야 합니다.


제동 장치 및 타이어

  • 페이드 (Fade) 현상: 긴 내리막길 주행 시 계속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드럼과 슈가 과열되어 브레이크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입니다.

  • 스탠딩 웨이브 (Standing Wave) 현상: 고속 주행 중 타이어의 접지부가 후방에서 물결 모양으로 떠는 현상입니다.


자동차 전기

  •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 색상: 적색

  • 제동등 (Stop Lamp): 브레이크가 작동되었음을 알리는 등입니다.

  • 다이오드 (Diode): 전기 회로에서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도면 해독

  • 단면도 (Sectional View): 물체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가상의 절단면으로 잘라서 표시한 도면입니다.

  • 링 끝 절개부 표시: 링 끝이 절개된 부분은 치수 기입의 명확성을 위해 수평 중심선 (top/side) 등에 나타나도록 그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초 과학

  • 힘과 일: 뉴턴의 제2법칙 (힘 = 질량 × 가속도)이 작용합니다. 일의 정의는 일 = 힘 × 거리입니다.

  • 열량 및 에너지 단위: 열량 및 에너지 단위 (Btu, erg, kJ)는 kcal로 환산이 가능하지만, **Pa (파스칼)**은 압력 단위이므로 kcal로 환산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