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중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기중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디젤기관 및 일반 정비 (Diesel Engine & Maintenance)


디젤기관의 특징 및 작동

  • 점화 방식의 차이: 디젤기관은 가솔린기관과 달리 전기 점화장치 (배전기, 점화코일, 점화플러그 등)가 없습니다. 대신 압축열을 이용한 압축 착화 방식을 사용합니다.

  • 압축비: 디젤기관은 가솔린기관보다 압축비가 높습니다.

  • 폭발 행정: 압축 말기에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실린더 내로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시키고 동력을 얻는 행정입니다.

  • 시동 전 점검 사항: 엔진오일량, 냉각수량, 연료량이 적정한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합니다.

  • 운전 중 점검 사항: 충전 상태, 냉각수 온도, 유압유의 압력 등을 확인합니다. 엔진오일량은 운전 전에 점검해야 합니다.


기관 출력 및 문제

  • 출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 실린더 내 압력 저하, 노킹 발생, 연료 분사량 부족 등 기관 내부적인 문제.

  • 출력 저하의 간접적인 원인: 클러치 불량은 동력 전달 계통의 문제이므로 기관 출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 흑색 배기가스 원인: 과도한 연료 분사 (분사 펌프 불량), 공기 청정기 막힘, 압축 불량, 노즐 불량 등 연료가 과다하거나 공기가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 프라이밍 펌프의 용도: 연료 계통 내에 발생한 공기 배출(공기 빼기) 작업을 할 때 사용합니다.



2. 냉각 및 윤활장치 (Cooling & Lubrication)


냉각 장치

  • 냉각 방식: 공랭식 (자연통풍식, 강제통풍식)과 수랭식 (자연순환식, 강제순환식/압력순환식)이 있습니다.

  • 방열기 (라디에이터) 냉각수 온도: 냉각수는 위 탱크에서 아래 탱크로 흐르며 냉각되므로, 윗부분의 온도가 아랫부분보다 높습니다.

  • 과열 원인: 실린더 물 재킷에 물때가 끼거나, 팬 벨트의 장력이 약할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윤활 장치

  • 윤활유의 조건: 유막이 끊어지지 않아야 하며, 열화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인화점은 높은 것이 좋습니다. 응고점은 낮은 것이 좋습니다.

  • 오일 여과기 (필터) 교환: 일반적으로 윤활유 1회 교환 시 1회 교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오일의 여과 방식:

    • 전류식 (Full Flow): 오일 펌프에서 나온 윤활유 전부가 필터를 거쳐 윤활부로 공급됩니다.

    • 분류식 (Bypass): 오일 일부만 여과하여 오일 팬으로 공급하고, 남은 오일은 그대로 윤활부에 공급합니다.

  • 혼합 금지: 점도가 다른 오일을 혼합하면 열화 현상을 촉진시킵니다.



3. 전기 장치 (Electrical System)

  • 발전기의 전류: 발전기의 전기자에서 발생되는 전류는 교류이며, 이는 정류자를 거쳐 직류로 변환됩니다.

  • 축전지 종류: 건설기계에 가장 많이 쓰이는 축전지는 납산 축전지입니다.

  • 충전 시 안전: 축전지 충전 시 발생하는 수소 가스는 폭발성 가스이므로 화기를 가까이하면 안 됩니다.

  • 충전 시 주의 사항: 충전 시에는 발생하는 가스 배출을 위해 전해액 주입구 마개 (벤트 플러그)를 모두 열어야 합니다.

  • 시동 전동기 사용: 시동 전동기의 연속 사용 기간은 30초 이내로 제한합니다.



4. 주행 및 작업 장치 (Driving & Working Systems)

  • 케이블 세척: 기중기에 사용되는 케이블 와이어는 엔진오일로 세척합니다.

  • 주행 시 화물 높이: 화물을 적재하고 주행할 때 포크와 지면의 간격은 20cm ~ 30cm가 가장 적당합니다.

  • 트랙 장비 누유: 트랙형 장비의 스프로킷 허브 주위에서 오일이 누설되는 원인은 **듀콘 실 (Duo-Cone Seal)**의 파손입니다.

  • 기중기 작업의 적합성:

    • 파워 셔블: 지면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합합니다.

    • 드래그라인: 굴착력이 약해 주로 연질 지반의 굴착에 사용됩니다.

    • 클램셸: 좁은 면적에서 깊은 굴착이나 높은 위치에서의 적재에 적합합니다.

  • 지브 안전 장치: 기중기의 지브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지브 전도 방지장치입니다.



5. 유압 장치 (Hydraulic System)


유압 원리 및 구성

  • 파스칼의 원리: 밀폐된 용기 내의 액체 일부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 각 부분에 동시에 같은 크기로 전달됩니다.

  • 유압 펌프: 작동유를 압송하여 유압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입니다. 펌프에서 흐름 (Flow, 유량)에 대해 저항이 생기면 압력 형성의 원인이 됩니다.

  • 베인 펌프: 토출 압력의 연동이 적고, 소음 및 맥동이 적으며 수명이 긴 장점이 있습니다.

  • 스트레이너: 펌프의 흡입 측에 붙여 작동유의 오염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필터입니다.

  • 캐비테이션 (Cavitation): 유압 장치 내에 국부적인 높은 압력과 소음,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유압 제어 밸브

  • 압력 제어 밸브 (릴리프 밸브 등):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의 크기를 설정하고 제한하며, 과부하를 방지합니다. 안전 밸브 (릴리프 밸브)는 회로의 최고 압력을 제한합니다.

    • 작동 위치: 주로 펌프와 방향 전환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회로 압력을 조정합니다.

  • 유량 제어 밸브 (Flow Control Valve): 액추에이터의 운동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방향 제어 밸브 (Directional Control Valve): 일의 방향을 제어합니다.



6. 법규 및 안전 관리 (Regulations & Safety)


건설기계 및 도로교통법

  • 건설기계 등록번호판 (관용): 흰색 바탕에 검은색 문자이며, 0001 ~ 0999 번호대를 사용합니다.

  • 매매용 건설기계 운행 허용: 매수인의 요구에 의한 2km 이내 시험 운행, 정기 검사 또는 정비를 받고자 하는 경우 등이 허용됩니다. 일시 대여는 운행 사유가 아닙니다.

  • 앞지르기 금지 장소: 교차로, 터널 안, 다리 위, 도로의 구부러진 곳,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 또는 급경사로의 내리막 등입니다.

  • 비탈진 좁은 도로 통행: 내려오는 차가 올라가는 차보다 우선 통행하며, 승객이나 짐을 실은 차가 빈차보다 우선합니다.

  • 차마의 통행: 마차와 같은 차마는 도로의 중앙 우측 부분을 통행해야 합니다.

  • 건널목 통과: 간수가 진행 신호를 하고 있을 때에는 일시 정지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습니다.


안전 및 재해 예방

  • 안전보건표지 색채:

    • 녹색: 안내 (구급 장소, 비상구 등)

    • 적색: 금지, 경고 (소화 설비 및 방지)

    • 노란색: 경고

    • 파란색: 지시

  • 용접 유해 광선 응급 처치: 냉수로 씻어 낸 다음 치료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 도시가스 배관 작업: 가스 배관 좌우 1m 이내 부분은 굴착 장비 작업을 금하고 반드시 인력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 도시가스 고압 기준: 압축 가스일 경우 1제곱센티미터(1cm2) 당 10kg 이상의 압력을 말합니다.

  • 전력 케이블 매설 깊이 (차도):1m ~ 1.5m 깊이에 매설되어 있습니다.

  • 안전 보호구 선택: 보호구 검정에 합격하고 보호 성능이 보장되며, 착용이 용이하고 작업 행동에 방해되지 않아야 합니다. 반드시 강철로 제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