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컨테이너크레인 구조 및 안전장치


크레인의 계류 및 방지 장치

크레인의 주요 계류 및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으며, 기능과 작동 방식을 정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 앵커(Anchor) / 레일 클램프

    • 기능: 폭주 방지 장치 (구름 방지)

    • 작동 방식: 잠김은 스프링의 힘으로, 풀림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합니다.

  • 타이다운(Tie Down)

    • 기능: 전도 방지 장치로, 턴버클로 조정하여 강풍 시 크레인을 지면에 단단히 고정합니다.

  • 버퍼(Buffer)

    • 기능: 충격 완화 장치로,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물을 보호합니다.

  • 로프 텐셔너 (Rope Tensioner)

    • 기능: 트롤리용 와이어로프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을 원활하게 합니다.


스프레더 및 운전 관련 장치

  • 텔레스코픽(Telescopic): 컨테이너 길이에 따라 스프레더 길이를 조정하는 기능입니다 (20, 40, 45피트 등).

  • 틸팅 디바이스(Tilting Device): 선박 위에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진 컨테이너와 동일하게 스프레더를 기울이거나 비틀게 하여 똑바로 들어 올리는 장치입니다.

  • 붐 래치 확인 장치: 훅의 걸림, 상승, 하강 등을 확인하는 리밋스위치를 사용하며, 훅에 로프가 벗어난 것을 확인하는 기능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운전실 구비조건: 운전실은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야를 확보해야 합니다. 운전실과 스프레더 사이의 간격이 시야 확보를 위해 수직선상에 놓여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 동시 운전 제한: 운전실 조작반에서 **권하 동작(호이스트 다운)과 주행 동작(갠트리)**은 동시에 운전할 수 없습니다.


와이어로프의 특징 및 교환 시점

  • 와이어로프의 꼬임 종류와 특성

    • 보통 꼬임(Ordinary Lay): 스트랜드 꼬임과 로프 꼬임이 반대 방향이며, 외부 소선의 접촉 길이가 짧아 마모가 쉽습니다.

    • 랭 꼬임(Lang's Lay): 스트랜드 꼬임과 로프 꼬임이 동일 방향이며, 마모에 대한 내구성은 좋으나 킹크(Kink)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유연성: 같은 굵기에서 소선이 가늘고 수가 많으면 유연성이 좋습니다.

  • 교환 시점: 와이어로프의 직경이 10% 감소했을 때 또는 소선이 10% 이상 절단되었을 때 교환합니다.

  • 안전 계수: 선박안전법에서 규정한 양화장구용 와이어로프의 파괴강도에 대한 안전계수는 5 이상입니다.



2. 유압 및 전기 제어 장치


유압 작동유 및 펌프

  • 유압 작동유의 오염 제거: 기기 속에 혼입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스트레이너를 사용합니다.

  • 점도의 영향: 작동유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내부 마찰이 증가하고 온도가 상승하며, 동력 손실 증가, 유압기기 작동 불활발 등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 작동유 구비 조건: 점도 지수가 높을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비압축성일 것, 인화점이 높을 것, 내마모성 및 방청성이 클 것이 요구됩니다.

  • 기어식 유압 펌프: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유의 오염에 강하지만, 누설 방지가 어려워 효율이 떨어지고 가변 용량형 펌프로 제작하기 어렵습니다.


유압 밸브 및 현상

  • 방향 전환 밸브 (유로 개폐): 원통형 슬리브 면에 내접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유로를 개폐하는 형식은 스풀 형식입니다.

  • 압력 제어 밸브가 아닌 것: 서보밸브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입력신호로 압력 또는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릴리프 밸브, 감압 밸브, 시퀀스 밸브는 압력 제어 밸브에 해당합니다.)

  • 방향 제어 밸브가 아닌 것: **교축 밸브(스로틀 밸브)**는 유량 제어 밸브입니다. (셔틀 밸브, 체크 밸브, 방향 변환 밸브는 방향 제어 밸브입니다.)

  • 숨돌리기 현상: 유압 실린더에 공기가 혼입되어 작동 지연, 피스톤 동작 정지, 작동 불안정 등을 초래하는 현상입니다. 오일 공급 과대와는 관계없습니다.


전기 제어 및 회로

  • 차단기 종류: 배선용 차단기(NFB), 기중 차단기(ACB), 진공 차단기(VCB), 가스 차단기 등이 있으며 저항 차단기는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배선용 차단기 기능: 과부하 및 단락 발생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합니다.

  • 비상 정지 스위치: 기기의 이상 시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하며, 메인 전원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됩니다.

  • 접점 종류

    • a접점: 평상시 열려 있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닫히는 접점.

    • b접점: 평상시 닫혀 있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열리는 접점.

  • 인터록 회로: 2개의 입력 중 먼저 동작한 쪽이 우선이고 다른 쪽의 동작을 금지하는 회로입니다.

  • 인크리멘탈 엔코더 파형: 트롤리 등에 사용되며 회전각의 변화에 따라 펄스 파형이 출력됩니다.

  • 전자석 전압 강하: 브레이크용 전자석에서 전압 강하가 많으면 과열이 발생합니다.

  • 전위차(전압): 두 점 사이의 전기적 위치 에너지 차이를 의미합니다.



3. 컨테이너 및 하역 관련 지식


컨테이너 마킹 및 중량

  • 컨테이너 넘버: 영문 4자리는 소유자 표시, 숫자 6자리는 일련번호 (첫 번째 자리는 소유자의 고유 약자), 마지막 11번째 숫자는 오류 유무를 검사하는 체크 디지트입니다.

  • 최대하중 (Payload):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 화물의 중량입니다. Payload는 Gross Mass (총 중량)에서 Tare (자중)을 뺀 값입니다.


컨테이너 선박 및 Lashing

  • 건현: 선박이 물에 떠 있을 때 물에 잠기지 않는 선체의 높이, 즉 수면과 갑판 상면과의 거리입니다.

  • 래싱 작업: 컨테이너 하역 안전사고의 약 **40%**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인원이 투입되는 작업입니다.

  • 브리지 피팅(Bridge Fitting): 갑판적 컨테이너의 가장 상단에 적재한 컨테이너끼리 단단히 체결하여 상호 결박하는 방법입니다.

  • 선박 출입 장치: 현문 사다리, 갱웨이(Gangway), 이동 사다리 등을 사용하며, 불웍 사다리는 갱웨이 등에 이어져 선박 측 안쪽에 설치된 작은 사다리입니다.


터미널 장비 및 시설

  • 컨테이너 터미널: 해상 및 육상 운송의 접점인 부두에 위치하며 양·적화 작업, 컨테이너 저장 및 취급을 수행하는 장소입니다.

  • ICD(Inland Container Depot): 항만이 아닌 내륙에 위치하여 화물의 저장, 취급, 통관 업무가 이루어지는 곳을 말하며, 터미널과는 구별됩니다.

  • 야드 크레인(트랜스퍼 크레인): 야드 내에서 트레일러나 섀시 등의 상하차 작업을 하며, 컨테이너를 본선 크레인까지 운송하는 역할은 주로 야드 트레일러(Y/T)가 수행합니다.

  • 트랜스퍼 크레인 (RTGC vs RMGC):

    • RTGC (Rubber Tyred Gantry Crane): 고무 타이어로 주행합니다.

    • 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 레일 위를 주행하며, 자동화, 유지보수비 절감, 7단 이상의 고단적 적재에 RTGC보다 유리합니다.

  • 게이트: 터미널을 출입하는 화물이나 빈 컨테이너 등이 통과하는 출입구를 말합니다.



4. 안전 및 작업 관리


안전 운전 및 수칙

  • 안전운전 금지 조치: 트롤리나 호이스트의 연장 목적으로 리밋스위치를 임의로 이동시키는 행위는 절대 금지입니다.

  • 안전 보호구: 안전모, 안전화, 방수복, 방풍복, 안전장갑, 마스크, 보호안경, 귀마개 등이 포함되며, 라디오는 안전 보호구가 아닙니다.

  • CY 작업 상부 접근: 2단 컨테이너 위에 올라갈 때 A형 안전 사다리는 안전도가 가장 낮은 방법이며, 이동용 플랫폼, 사이먼 호이스트 등이 더 안전합니다.

  • 가동 전 점검 사항: 윤활 상태, 와이어로프 상태, 각종 스위치 점검 및 시운전이 포함되며, 크레인 주요 부위의 비파괴 검사는 정기 점검 사항에 해당합니다.


터미널 안전 규칙

  • 야드 내 안전 규칙: 타이어가 설치된 장비는 코너에서 서행해야 하며, 정속 운전은 안전 규칙에 위배됩니다. 교통 규칙 준수, 운전자 외 탑승 금지, 날씨 상태 주시 등이 요구됩니다.

  • CFS 화물 취급: 화물 취급자는 자기 체중의 1/2 이상 되는 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운반할 때는 반드시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1/10이 아닙니다).

  • 사고 손실 (개인 vs 터미널):

    • 개인적 손실: 소득의 손실, 신체의 상해, 사기 저하 등.

    • 터미널 손실: 작업 지연, 행정 업무 증가, 수리 비용 증가, 보험 비용의 증가 등이 포함됩니다 (작업 단계 감소는 손실이 아닙니다).

  • 비상 훈련: 응급처치 상황 훈련은 다양한 부상 정도를 포함한 사고의 모의 훈련을 실시해야 합니다 (서류 소각 등은 옳지 않은 조치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