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도료 및 재료의 특성
1.1. 주요 도료 및 첨가제
리무버 (Remover): 오래된 구도막을 박리하는 데 사용합니다. 작업 시 피부나 눈에 묻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워시 프라이머 (Wash Primer): 철판에 최초로 도장하여 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건조 도막은 내후성 및 내수성이 약하므로 8시간 이내에 후속 도장을 해야 합니다.
프라이머 서페이서 (Primer-Surfacer): 중도용 도료입니다. 도막이 두꺼워지면 핀 홀(Pin Hole)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건조가 불충분할 경우 샌딩 시 묻어나거나 상처가 생길 수 있으며, 우수한 부착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경화제 (Hardener): 우레탄계 도료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므로 뚜껑을 확실히 닫아야 합니다.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하며, 독성이 있어 보호 마스크 및 장갑 착용이 필수입니다.
도장 용제 (Solvent): 수지를 용해시켜 유동성을 부여하고 점도를 조절합니다. 도료의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것은 용제가 아니라 첨가제입니다.
천연 수지: 주로 동식물에서 추출 또는 분해되는 수지를 일컫습니다.
1.2. 안료 및 색상 도료
펄(마이카) 안료 (Pearl/Mica Pigment): 운모에 이산화티탄을 코팅한 것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진주광택이나 미묘한 색상의 빛을 내는 안료입니다.
3코트 펄 도장: 은폐력이 떨어지는 펄 도료를 백색 계통의 솔리드 색상 위에 도장하여 바탕색이 비추어 보이게 하는 효과를 이용한 도장 방식입니다.
2. 도장 공정 및 작업 기술
2.1. 구도막 제거 작업 순서 (매우 중요)
세차 작업
탈지 작업 (유분, 이물질 제거)
손상 부위 점검 및 표시 작업
손상 부위 구도막 제거 작업
단 낮추기 (표면 조정 작업)
탈지 작업 (재탈지)
화성 피막 작업 (워시 프라이머 등)
2.2. 연마 작업 및 연마지 선택
조착 연마: 후속 도장의 도료와 피도면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마하는 작업입니다.
폴리에스테르 퍼티 연마: 동력 공구를 사용할 때 P80 ~ P320 정도의 연마지가 적합합니다.
블렌딩/오렌지필 제거 연마: 오렌지필 현상이 있는 도막을 평활하게 하거나, 베이스 코트 블렌딩 전 최종 연마는 P1000 ~ P1500 또는 P1200 정도의 미세한 연마지를 사용합니다.
페더 에지 (Feather Edge) 작업 불량: 도막 표면에 연마 자국이나 퍼티 자국이 생기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2.3. 도장 기법
숨김 도장 (Blending Coat): 부분 도장 시 분무된 색상과 원래 색상의 차이(이색)를 최소화하여 육안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블렌딩 스프레이 방법: 3~5회로 나누어 실시하며, 도장 횟수에 따라 범위를 넓혀가며 분무합니다.
리버스 마스킹 (Reverse Masking): 블렌딩 작업을 하기 전 손상 부위에 프라이머 서페이서를 도장할 때 적합한 마스킹 방법입니다.
폴리싱 (Polishing): 도막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도장 및 건조 중에 생긴 먼지나 이물질 등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도막 속에 있는 연마 자국을 제거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으며, 이는 재도장으로만 제거 가능합니다.
2.4. 도장 시간 및 용어
세팅 타임 (Setting Time): 열을 주지 않고 용제가 자연 휘발하는 시간입니다.
가사 시간 (Pot Life): 2액형 도료를 혼합했을 때 겔화, 경화 등이 일어나지 않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입니다.
3. 도장 결함 및 원인
크레터링 (Cratering): 탈지 불량 (도장면에 유분이나 오염물이 남아있는 경우)으로 발생합니다.
핀 홀 (Pin Hole): 도막이 두껍게 도장되었을 때, 열처리를 급격하게 했을 때, 플래시 오프 타임이 적을 때, 용제의 증발이 너무 빠를 때 발생합니다.
오렌지 필 (Orange Peel): 상도 도장 후 용제의 증발로 인해 도장 표면에 미세한 굴곡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박리 (Peeling/벗겨짐): 구도막이나 도막면의 연마 부족, 이물질 제거 부족, 경화제 혼합량 부족이 원인이 됩니다.
도막 내 연마/퍼티 자국: 페더 에지 (Feather Edge) 작업 불량이 주요 원인입니다.
3.1. 플라스틱 도장 시 주의 사항
연질 범퍼 도장 시 충격에 의한 균열 방지를 위해 **유연성을 부여하는 첨가제(플라스틱 유연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건조 온도는 플라스틱의 변형을 막기 위해 80℃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4. 색채 이론 및 조색
4.1. 색채의 대비 및 잔상
색상 대비: 빨강과 노랑이 서로의 영향으로 연두색 기미가 많은 빨강이나 노랑으로 변해 보이는 것처럼, 주변 색의 영향으로 본래 색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가산 혼합: 빛의 혼합이며, **빨강(Red)과 초록(Green)을 혼합하면 노랑(Yellow)**이 됩니다.
정의 잔상: 우리 눈에 어떤 자극을 준 뒤 자극을 제거해도 그 흥분이 남아 원자극과 같은 성질의 감각 경험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가장 눈에 잘 띄는 배색: 빨강 - 청록과 같은 보색 대비입니다.
4.2. 색의 속성 및 조색
색채의 중량감: 색의 3속성 중 주로 명도에 의해 좌우됩니다. 검정이 가장 무겁게, 흰색이 가장 가볍게 느껴집니다.
순색: 무채색의 포함량이 가장 적은 색으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입니다.
공간색 (Bulky Color): 유리컵 속 포도주나 얼음덩어리처럼 일정한 공간에 부피감이 있는 것 같이 보이는 색입니다.
솔리드 색상 조색 방법:
밝은 색부터 짙은 색을 혼합합니다. (주 원색은 밝은 색부터 혼합)
견본 색보다 채도는 맑게 맞추도록 합니다.
색상이 탁해지는 색은 나중에 넣습니다.
동일한 색상을 오래 주시하여 발생하는 잔상 현상을 피합니다.
5. 안전 및 보관
5.1. 방독 마스크 보관
사용 후 손질하여 직사광선을 피해 건조된 장소의 상자 속에 보관합니다.
정화통의 상하 마개를 밀폐합니다.
부피를 줄인다고 겹쳐 쌓아 보관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5.2. 유기 용제의 표시 색상
제1종 유기용제: 빨강
제2종 유기용제: 노랑
제3종 유기용제: 파랑
5.3. 도료 보관
도료의 보관 장소에서 우선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환기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