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종균의 종류 및 올바른 사용법
버섯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종균의 형태가 다릅니다. 이는 잡균 오염을 최소화하고 균사의 활력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톱밥배양종균 (주 사용):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목이버섯 등 대부분의 버섯 재배에 이용됩니다. 주로 참나무 톱밥을 이용합니다.
곡립배양종균 (특수): 양송이버섯 재배에 주로 사용됩니다. 밀과 같은 곡물을 배지로 사용하며, 다른 버섯에는 잘 쓰지 않습니다.
곡립종균의 균덩이 형성 원인:
배양실 온도가 높을 때
곡립배지의 산도가 높을 때 (주의: 산도가 낮을 때가 아님)
수분함량이 높을 때
흔들기 작업 지연
성형종균 (캡슐종균): 톱밥종균을 총알처럼 성형하여 사용하는 종균으로, 주로 표고버섯 재배 시 원목에 접종하기 편리하게 만든 형태입니다.
표고버섯에 부적합한 종균: 일반적으로 곡립종균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2. 배지 제조 및 보존의 핵심 기술
성공적인 종균 생산을 위한 배지의 조성, 살균 조건, 그리고 장기적인 균주 보존법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배지의 수분함량:
표고 및 느타리버섯 톱밥 종균 제조 시 적정 수분함량은 65 ~ 70퍼센트입니다.
느타리 톱밥종균은 특히 65퍼센트 내외를 유지합니다.
살균 조건 (고압증기살균):
병재배용 톱밥배지는 고압증기살균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600g 내외의 톱밥배지 살균 시간은 60 ~ 90분입니다.
액체배지 250~300mL의 살균은 121ºC에서 20분이 가장 적합합니다.
균사 생육 최적 산도 (pH):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pH 5 ~ 6 (약산성)
목이버섯: pH 6.0 ~ 7.0
균주 보존 방법:
단기 보존: 팽이버섯 원균은 약 4ºC에서 냉장 보관하는 것이 최적입니다.
장기 보존 (2년 이상): 액체질소보존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글리세롤 10퍼센트를 동결보호제로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보존법: 계대배양보존법은 균의 생리적 특성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됩니다.
3. 버섯 재배 시 잡균과 병해충 관리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중, 특히 버섯균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요소를 알아야 합니다.
주요 버섯파리 종류: 긴수염버섯파리, 버섯혹파리, 버섯벼룩파리 등이며, 버섯등에파리는 주요 발생 버섯파리가 아닙니다.
버섯파리의 가해 단계: 버섯균에 가장 심하게 피해를 주는 생육단계는 유충입니다.
양송이 마이코곤병: 자실체가 기형화되고 누런 물이 배출되며 악취를 유발하는 심각한 병입니다.
접종 시 잡균 발생 원인: 살균 불완전이나, 배양 중 솜마개로부터의 오염, 흔들기 작업 중 마개의 밀착 이상이 주요 원인입니다.
4. 주요 버섯별 재배 기술
각 버섯 종별로 요구되는 특정한 환경 조건과 재배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육 최적 온도는 15ºC ~ 18ºC 내외입니다.
양송이버섯:
복토의 적정 함수량: 광질토양의 경우 약 65퍼센트입니다.
온도 관리: 종균 재식 7일 후부터 실내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시작합니다.
광도 영향: 버섯 발생 시 광도의 영향이 가장 적은 버섯입니다.
표고버섯 (원목 재배):
가눕히기 (임시 눕혀두기): 장소 선택 시 습도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종균 접종 유의사항: 접종구를 천공한 후에는 곧바로 접종해야 하며, 천공 후 바로 접종하지 않는 것은 틀린 유의사항입니다.
영지버섯: 톱밥 종균 제조 시 참나무 톱밥이 가장 적합합니다.
건조 방법: 열풍건조 시 초기에는 30도 C로 시작하여 서서히 40도 C ~ 50도 C로 상승시킨 후, 마지막에 70ºC ~ 80ºC에서 내부까지 건조시킵니다.
5. 버섯의 생리적 구조 및 법적 기준
버섯의 분류학적 특징과 관련 법규를 이해하는 내용입니다.
분류학적 위치: 대부분의 식용버섯은 담자균류에 속합니다.
2핵 균사 판별: 꺽쇠연결체(클램프 연결체) 유무로 2핵 균사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양송이와 신령버섯은 꺽쇠가 관찰되지 않습니다.
종자관리사 자격: 버섯종균기능사 자격 취득자는 자격 취득 전후 기간을 포함하여 3년 이상 버섯종균업무에 종사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