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농기계 관리 및 보관 원칙

농기계의 수명을 연장하고 효율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관리 및 보관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특히 장기 보관 시의 연료 관리법은 중요합니다.


1.1. 겨울철 장기 보관 시 연료 관리

겨울철에는 연료 탱크 내부에 수분이 응결되어 녹이 슬거나 연료 계통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관리합니다.

  • 디젤 엔진: 연료를 가득 채워서 보관합니다. (수분 응결 방지)

  • 가솔린 엔진: 연료를 모두 배출시켜서 보관합니다. (연료 변질 및 부식 방지)


1.2. 농용 트랙터 일상 보관 수칙

작업 효율과 안전을 위해 일상 보관 시 다음 사항을 지킵니다.

  • 작업기: 반드시 내려놓아 유압 계통의 압력을 해제하고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시동 키: 반드시 분리하여 보관합니다. (도난 및 오작동 방지)

  • 브레이크 페달 연결: 도로 주행 시에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 연결고리를 반드시 연결하고 주행해야 안전합니다.

  • 배터리: 동절기 장기 보관 시에는 분리하여 실내에 보관합니다.


1.3. 예방 정비의 종류

농기계의 효율 향상을 위해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정비의 종류에는 매일정비, 매주정비, 농한기정비 등이 있으며, 고장수리정비는 이미 기기가 고장 난 후 수행하는 정비이므로 예방정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2. 핵심 농작업 기계의 구조와 기능

주요 농작업 기계의 작동 원리와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2.1. 경운 및 파종 기계

  • 로터리: 1차 경운(경기)과 2차 경운(쇄토)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동형 경운 작업기입니다.

    • 경운 날: 동력 경운기에는 작두형 날을, 대형 4륜 트랙터에는 주로 L자형 날을 사용합니다.

  • 몰드보드 플라우: 흙 속으로 파고들어 수평 절단을 하는 부분은 보습입니다.

  • 파종 방법:

    • 줄뿌림 (조파): 벼, 맥류, 채소 등 종자를 일정한 간격의 줄에 따라 연속하여 뿌립니다.

    • 점뿌림: 옥수수, 콩 등 종자를 1개 또는 여러 개씩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합니다.

    • 흩어 뿌림 (산파): 목초, 잔디 등 종자를 지표면에 널리 흩어 뿌립니다.

  • 조파기의 구성: 종자통, 종자배출장치, 종자관, 구절기, 복토기, 진압바퀴 등으로 구성됩니다. 쇄토기는 조파기의 구성 장치가 아닙니다.


2.2. 수확 및 이앙 기계

  • 콤바인: 벼, 보리, 밀 등의 작물을 포장 이동하면서 예취, 탈곡, 선별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종합 수확기입니다.

    • 조향 방식: 브레이크턴 방식, 급선회 방식, 완선회 방식 등이 있으며, 전자조향 방식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경사지 주행: 경사지를 갈 때에는 전진 상승, 후진 하강으로 주행해야 안전합니다.

  • 이앙기: 모가 심어지는 개수(묘취량)를 조절하는 부위는 탑재판의 높낮이입니다.

  • 베일러: 끌어올림 장치로 걷어 올린 건초는 **오거(Auger)**에 의해 베일 체임버로 이송됩니다.


2.3. 방제 및 기타 기계

  • 고속분무기: 분두의 최대 살포 각도는 **180 [도]**입니다.

  • 예취 날: 자갈이 많고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잡초를 예취할 때 적합한 날은 합성수지 날입니다.

  • 관리기: 일반적인 관리기의 부속 작업기에는 중경제초기, 휴립피복기, 제초기, 배토기, 구굴기, 복토기 등이 있습니다.


2.4. 트랙터 조작 시 안전

  • 차동 고정 장치 (Differential Lock): 승용 이앙기나 트랙터가 논이나 진흙에 빠져 한쪽 바퀴에 슬립이 생길 때 차동고정장치 페달을 밟아 차동장치 작동을 못 하게 함으로써 쉽게 빠져나올 수 있게 합니다.

  • 동력 경운기용 트레일러: 내리막길에서는 조향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만으로 조종합니다.



3. 엔진 (기관) 작동 원리 및 특징

내연기관의 작동 행정, 구성 요소, 그리고 노크 방지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3.1. 엔진 기본 원리

  • 2행정 사이클 엔진: 크랭크축이 1회전1회의 동력 행정을 갖습니다.

  • 4행정 사이클 엔진: 크랭크축이 2회전1회의 동력 행정을 갖습니다.

  • 플라이휠 (Flywheel): 폭발 행정 때 얻은 에너지를 저축하였다가 압축, 배기, 흡입 행정 시에 공급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맥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공연비: 이론적으로 완전 연소 가능한 공연비가 최적의 공연비입니다.


3.2. 디젤 기관 (압축 착화 기관)

  • 노크 방지법: 디젤 기관의 노크(Knock)는 착화 지연 기간이 길어 폭발적으로 연소하여 발생합니다. 노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착화 지연 기간을 줄여야 합니다.

    • 적절한 방법: 발화성이 좋은 연료 사용, 압축비를 높여 실린더 내의 온도와 압력 상승, 실린더 내의 온도와 압력 높이기, 착화 지연 기간 중 연료 분사량 조절.

    • 부적절한 방법: 압축비를 낮게 해야 한다. (❌)


3.3. 크랭크축 회전각 계산

크랭크축 회전각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공식은 순수 텍스트로 대체했습니다.)

[크랭크축 회전각 (도)] = (360 / 60) x [회전수 (rpm)] x [연소 지연 시간 (초)]

  • 예시: 1,800 [rpm] 엔진에서 연소 속도가 1/360초일 때 회전각은?

    계산: (360 / 60) x 1,800 x (1 / 360) = 30 [도]


3.4. 4행정 기관 폭발 순서 (행정 관계)

일반적인 4기통 4행정 기관의 폭발 순서는 1-3-4-2이며, 폭발 순서에 따라 각 실린더의 행정이 결정됩니다. 모든 행정은 180도 간격으로 일어납니다.

  • 1번 실린더가 폭발(팽창) 행정일 때:

    • 3번 실린더는 폭발 후 180 [도] 위치에 있습니다.

    • 4번 실린더는 폭발 후 360 [도] 위치에 있습니다.

    • 2번 실린더는 폭발 후 540 [도] 위치에 있습니다.

  • 예시 문제: 폭발 순서가 1-3-4-2인 트랙터에서 1번 실린더가 흡입 행정일 때, 3번 실린더의 행정은?

    • 1번이 흡입일 때, 3번은 180도 이전 행정인 배기 행정입니다. (흡입 -> 압축 -> 팽창 -> 배기 -> 흡입)



4. 농기계 전기 시스템의 이해

전기 장치 및 회로에 대한 기본 지식은 정비 시 필수적입니다.


4.1. 전기 및 전압 관련 공식

  • 옴의 법칙: 저항 R [옴] = 전압 V [V] / 전류 I [A]

    • 예시: 1 [A]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데 2 [V]의 전압이 필요할 때, 저항 R은 2/1 = **2 [옴]**입니다.

  • 전력의 계산식 (P [W]):

    • P = E * I

    • P = E^2 / R

    • P = I^2 * R

    • 관계: I가 일정하면 P는 R에 비례합니다. (P=I^2 * R)


4.2. 점화 장치 및 축전지

  • 축전지 (납축전지):

    • 용량: 극판의 표면적에 비례합니다.

    • 1차 회로 순서: 축전지 -> 스위치 -> 1차 코일 -> 콘덴서 -> 단속기

  • 점화 코일: 일명 유도 코일이라고 하며, 축전지식 점화 장치에서 고전압을 유도하여 불꽃을 발생시킵니다.

  • 콘덴서 (축전기):

    • 구성 요소: 금속박지, 운모, 파라핀 등입니다.

    • 역할: 1차 전류 차단 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흡수·저장하여 접점 사이의 불꽃(아크)을 흡수하여 접점의 소손을 방지하고, 2차 전압을 높여줍니다. 불꽃 방전을 일으키는 것은 점화 플러그입니다.

  • 컷아웃 릴레이: 발전기의 발생 전압이 낮을 때 축전지에서 발전기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4.3. 전동기 및 기타 전기 개념

  • 단상 유도 전동기 종류: 분상기동형, 반발기동형, 셰이딩코일형. 권선형은 3상 유도 전동기의 종류입니다.

  • 동기 속도 (Ns [rpm]):

    [동기 속도 Ns (rpm)] = (120 x [주파수 f (Hz)]) / [극수 P]

  • 예시: 극수가 4개, 주파수가 60 [Hz]일 때 동기 속도

    계산: (120 x 60) / 4 = 1,800 [rpm]

  • 전계: 전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 플레밍의 왼손 법칙:

    • 엄지: 힘의 방향

    • 검지: 자기장의 방향

    • 중지: 전류의 방향

  • 디지털 회로 시험기: 측정 오차가 작고, 측정값이 숫자 값으로 표시됩니다.



5. 농업 안전 및 정비 계산

안전 관리의 기본 개념과 계산 공식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5.1. 안전 관리 및 표지

  • 안전 관리의 목적: 인도주의 바탕의 인간 존중, 경제적 손실 예방, 생산성 향상, 사회 복지 증진 등입니다. 작업 환경 개선은 안전 관리의 목표 중 하나이지만, 직접적인 기본 이념 목적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안전 사고의 정의: 고의성에 의한 사고는 안전 사고의 정의와 거리가 멥니다. 불안전한 행동, 능률 저하, 인명 및 재산 손실을 가져옵니다.

  • 안전 보건 표지의 종류: 금지표지, 경고표지, 지시표지, 안내표지. 예고표지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공장 내 안전표지 부착 이유: 인간 행동의 변화 통제 및 위험 고지 목적입니다.

  • 마스크 종류:

    • 방진 마스크: 분진이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방독 마스크: 유기 용제 등 유해 가스 흡입을 방지합니다.

  • 가스 용접 (산소통): 산소통은 직사광선을 피하여 40 [도] 이하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5.2. 재해율 및 감가상각비 계산

  • 도수율 (Frequency Rate): 연간 총 근로 시간 100만 시간당 재해 발생 건수를 나타냅니다.

    [도수율] = ([재해 발생 건수] / [연 근로 시간 수]) x 1,000,000

  • 직선법 감가상각비: 기계의 가치가 매년 일정하게 감소한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감가상각비 (원/년)] = ([구입 가격] - [폐기 가격]) / [내구 연한]

  • 예시: 구입가 600만원, 폐기가 60만원, 내구연한 10년인 기계의 감가상각비는?

    계산: (6,000,000 [원] - 600,000 [원]) / 10 [년] = 540,000 [원/년]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