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조경사 및 정원 양식 핵심 정리
한국의 전통 조경
창경궁 통명전 지당: 장방형의 석지로, 내부에 괴석을 심은 석분 3개와 양련 받침대석 1개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괴석은 2개가 아님에 주의)
조선시대 궁궐 침전 후정: 지형의 경사를 활용한 계단식 노단 형태의 정원이 대표적입니다.
사절우 (四節友): 조선시대 선비들이 즐겨 심은 매화나무, 소나무, 국화, 대나무를 말합니다. 난초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경관석: 자연의 모습을 담은 괴석이 궁궐 후원이나 화계 등에 점경물로 사용되었습니다.
동양 및 서양 정원 양식
일본 침전조양식 (寢殿造樣式): 일본 헤이안시대(9세기 무렵)에 등장한 정원 양식으로, 주 건물(침전) 앞에 연못을 조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도원 정원 (중세 유럽): 원로의 교차점 중앙에 거목이나 수반 등을 설치하는 것을 파라다이소라고 합니다.
이탈리아 조경양식:
주로 구릉지에 위치하며 노단식 정원이 주를 이룹니다.
노단은 계단이나 경사로로 연결됩니다.
축선을 강조하며 교점이나 원점에 분수를 설치합니다.
주의: 베르사유궁전은 프랑스(절대주의) 양식입니다.
스페인 정원 (파티오):
건물로 완전히 둘러싸인 중앙 뜰(파티오) 형태입니다.
중심부에 작은 연못이나 분수를 설치합니다.
난대/열대 수목을 화분에 심어 배치합니다.
웅대한 스케일보다는 단순한 건축미와 정적인 물의 연출이 특징입니다.
2. 설계 및 계획 이론
제도 및 도면
반지름 표시 기호: 원의 반지름(Radius)은 숫자 앞에 R 기호를 사용합니다.
척도 (Scale): '물체의 실제 치수'에 대한 '도면에 표시한 대상물'의 비를 의미합니다.
투시도법 (Perspective Projection): 시점에서 물체를 본 시선과 화면이 만나는 각 점을 연결하여 물체를 그리는 투상법입니다.
색채의 중량감: 고명도일수록 가볍게, 저명도일수록 무겁게 느껴집니다. (크림색 -> 가볍게 느껴짐)
위험 표시 배색: 명시성이 가장 강한 노랑-검정이 위험 표시에 적합합니다.
조경 계획 및 공정
계획 단계 - 기본구상: 수집한 자료를 분석 및 종합하여 개략적인 계획안의 개념을 정립하는 단계입니다.
횡선식 공정표 (Gantt Chart): 장점은 각 공정별 착수 및 종료일이 명시되어 있어 진척도 판단이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시방서 (Specifications): 재료의 종류 및 품질, 시공방법, 검사 등에 대한 세부사항을 명시합니다. 계약서 및 내역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3. 조경 재료 및 시공
토공 및 기초
잡석: 지름 20 - 30 cm 정도의 돌로, 주로 기초용이나 뒤채움용으로 사용됩니다.
복합기초: 2개 이상의 기둥을 합쳐서 하나의 기초로 받치는 구조입니다.
토량 변화 (체적비):
L (Looseness ratio, 흐트러짐):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 자연상태의 토량
C (Compaction ratio, 다짐): 다져진 상태의 토량 / 자연상태의 토량
주의: L값은 모래보다 **경암(단단한 암석)**이 더 큽니다.
콘크리트 및 혼화재
골재 상태 - 표면건조포화상태 (SSD): 골재 표면수는 없고, 골재 내부에 물이 가득 차 있는 상태입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수밀성 향상, 염화물이온 침투 억제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중성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감수제 (Water-reducing agent):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워커빌리티 (시공연도)를 향상시킵니다.
급결제 (Quick-setting agent): 그라우트 지수공법이나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에 사용되며, 조기 강도 증진 효과가 있으나 장기 강도는 떨어집니다.
용적배합: 시멘트, 골재 등의 배합 비율을 1:2:4 와 같이 **부피(L)**로 계량하여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수식 기호 제거)
목재 및 기타 재료
연성 (Ductility):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는 성질로, **금 (Au)**이 가장 큽니다.
강성 (Stiffness): 외력에 대해 변형을 적게 일으키는 성질로, 탄성계수와 관계가 있으며 강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열경화성 수지 (페놀계수지): 강도가 우수하며, 내수성/내약품성이 뛰어나 내수합판 접착제로 사용됩니다. 내알칼리성이 약합니다.
합판의 종류: 용도에 따라 내수합판, 방부합판 등으로 분류됩니다. 섬유판, 조각판 등은 합판의 종류가 아닌 목질판상재입니다.
목재 접합 철물: 리벳은 목재가 아닌 철재끼리 접합할 때 사용됩니다.
포장 및 시설물
포장재료 선정 기준: 표면이 태양 광선의 반사가 적고, 보행 시 미끄러지지 않는 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소형 고압블록 포장: 블록 깔기 후 반드시 진동다짐기를 사용하여 바닥을 고르게 마감해야 합니다.
철재 시설물 점검: 용접부, 비틀림, 부식 등을 점검하며, 침하는 주로 콘크리트 시설물의 점검 항목입니다.
할증률 (Wastage Rate)
3% 할증 재료: 합판 (일반용)
5% 할증 재료: 목재 (각재), 시멘트 벽돌, 원형 철근 등
4. 조경 식물 및 관리
식물학적 특성
은행나무: 분류상 낙엽 침엽 교목입니다. (낙엽 활엽수가 아님)
봄 개화 수종 (녹나무과): 생강나무가 3월에 노란색 꽃을 피우며 가장 먼저 개화합니다.
장미과가 아닌 수종: 아까시나무는 콩과 식물입니다.
곰솔 (해송): 동아(겨울눈)는 붉은색이 아닌 회백색입니다.
꽃눈 분화: 능소화, 무궁화, 배롱나무 등 초여름 이후에 꽃이 피는 수목은 그 해에 자란 가지에서 꽃눈이 분화하여 개화합니다.
식재 및 토양
전건량 기준 함수율 (M) 계산 (단위: %):
M = (건조 전 중량 - 건조 중량) / 건조 중량 * 100
문제 풀이: ((113 kg - 100 kg) / 100 kg) * 100 = 13 %
뿌리분 크기 계산:
뿌리분 직경 = 24 + (N - 3) * d
(N: 근원직경, d: 상수)
토식 (흙죔) 적용 수종: 마른 흙으로 채우고 물집을 만들어 물을 주는 방식으로, 주로 소나무류에 적용합니다. 목련은 수식(물죔)을 적용합니다.
다량/미량 원소:
미량 원소 (Micronutrient): Fe (철), B, Mn, Cu, Zn 등
다량 원소 (Macronutrient): N, P, K, Ca, Mg, S 등
비료 결핍 (질소 N): 아래 잎부터 황화현상이 일어나고, 잎이 작아지며 생육이 위축됩니다.
유지 관리 및 병충해
피소 (Sunscald): 더운 여름 오후에 강한 햇빛으로 인해 수간의 남서쪽 수피가 피해를 입는 현상입니다.
저온해 관리: 강전정과 과다한 시비는 적절하지 않으며, 멀칭, 바람막이, 시들음 방지제 살포 등이 권장됩니다.
수목 외과수술 순서:
(1) 부패부 제거
(2) 동공 가장자리의 형성층 노출
(3) 소독 및 방부 처리
(4) 동공 충전
(5) 방수 처리
(6) 표면경화 처리
(7) 인공수피 처리
뿌리돌림 목적: 이식 후 활착을 돕고 잔뿌리의 신생을 유도하며, 이식력을 높이거나 쇠약목의 세력 회복을 위한 것입니다. 뿌리분을 크게 만드는 것은 목적이 아닙니다.
자동차가스 강한 수종: 화백, 향나무, 비자나무, 편백 등이 있습니다.
그을음병: 진딧물이나 깍지벌레의 분비물(배설물)에 곰팡이가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농약 및 방제
살비제: 응애류에만 효과가 있는 농약입니다.
농도 변환: 1 % = 10,000 ppm. 따라서 1,000 ppm = 0.1 % 입니다.
기계적 방제법: 포살법(손으로 잡기), 진동법(털어내기), 경운법(흙 뒤집기) 등이 있습니다. 온도처리법은 물리적 방제법입니다.
5. 공사 관리 및 견적
공사비 산출
기초 토공사비 공정: 터파기, 되메우기, 잔토처리 등이 포함됩니다. 정원석놓기는 토공사가 아닌 시설물/조경공사 품셈에 속합니다.
느티나무 1주 식재 비용 산출:
수목 비용: 600,000 원 / 10 주 = 60,000 원/주
인건비 (1일 총): (1 인 x 60,000 원) + (2 인 x 40,000 원) = 140,000 원/일
1주당 인건비: 140,000 원 / 10 주 = 14,000 원/주
총 비용: 60,000 원 + 14,000 원 = 74,000 원 (모든 단위 표기 간소화)
입찰 방식
일반 공개 경쟁 입찰: 신문, 게시 등으로 공고하여 다수의 희망자가 경쟁에 참가해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자를 선정하는 방식입니다.
수의계약: 예정가격을 비공개로 하고 단독으로 참가하는 방식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