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타워크레인 주요 구조 및 장치

타워크레인은 건설 현장의 안전과 직결되는 장비이므로, 각 구성 요소의 역할과 안전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요 구조부

    • 브레이크, 훅 등의 달기 기구, 윈치, 균형추, 지브 및 타워 등의 구조 부분, 원동기, 와이어로프, 주요 방호장치, 설치기초, 제어반 등이 포함됩니다.

    • 주의: 전선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체는 주요 구조부가 아닙니다.

  • 텔레스코핑 케이지

    • 크레인의 마스트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위해 유압 장치와 실린더가 부착된 마스트 구조를 말합니다.

    • 마스트 상승 작업 시 지브의 균형 유지를 위한 하중(밸런스 웨이트용 마스트, 철근, 카운터 웨이트 등)을 매다는 장치가 아닙니다.

  • 선회 장치

    • T형 타워크레인에서 마스트와 캣 헤드 사이에 연결되어 타워의 최상부, 지브 아래에 부착됩니다.

    • 상 · 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회전 테이블이 위치하여 수평 회전을 담당합니다.

  • 카운터웨이트 및 카운터 지브

    • 카운터웨이트 (균형추): 크레인의 균형 유지를 위해 카운터 지브에 설치되며, 메인 지브의 길이에 따라 균형을 유지하도록 견고히 고정됩니다.

    • 카운터 지브: 균형추와 윈치를 사용한 권상 장치가 설치되는 지브입니다.

  • 캣 헤드 (Cat Head)

    • 메인 지브와 카운터 지브의 타이 바(Tie bar)를 상호 지탱하기 위해 설치되며, 트러스 또는 'A-frame'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주행용 레일 설치 기준

    • 주행 레일에도 반드시 접지(接地)를 설치해야 합니다.

    • 레일 양 끝에는 정지 장치(Buffer Stop)를 설치해야 합니다.

    • 필수 확인: 콘크리트 슬리퍼를 사용한 레일도 반드시 지내력 구조 검토에 따라 시공해야 합니다.

    • 정지 장치 앞에는 전원 차단용 리밋 스위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II. 와이어로프 및 달기 용구

안전한 양중 작업을 위해 와이어로프와 줄걸이 용구의 규격과 사용 한도를 숙지해야 합니다.


  • 와이어로프 심강의 종류: 섬유심, 공심(강심), 와이어심.

  • 와이어로프 인장 강도: 크레인용 일반 와이어로프 소선의 인장 강도는 보통 135kgf/mm2에서 180kgf/mm2 정도입니다.

  • 시징 (Seizing): 와이어로프를 절단하거나 단말 가공할 때 스트랜드나 소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작업입니다.

  • 킹크 (Kink) 현상: 새로운 로프는 유연성이 부족하여 킹크(로프가 꼬이거나 구부러짐)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단말 가공 효율 (높은 순):

    • 소켓 (Socket): 100% (가장 효율적)

    • 심블 (Thimble): 92.5% ~ 95%

    • 웨지 (Wedge): 75% ~ 90%

    • 클립 (Clip): 75% ~ 80%

  • 클립 체결 방법 (와이어로프)

    • 클립의 수는 로프 직경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4개 이상으로 사용을 권장합니다.

    • 클립의 **새들(Saddle, U자형 반대쪽)**은 로프에 힘이 걸리는 쪽에 위치해야 합니다.

    • 클립의 간격은 로프 직경의 6배 이상으로 합니다.

  • 줄걸이 체인 사용 한도:

    • 안전 계수가 5 이상이어야 합니다.

    • 연결된 5개 링크를 측정하여 연신율이 제조 당시 길이의 5% 이하여야 합니다. (습동면 마모량 포함)

    • 지름의 감소가 공칭 직경의 10%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훅 (Hook) 점검 기준 (안전 사항)

    • 단면 지름의 감소가 원래 지름의 5% 이내여야 합니다.

    • 개구부가 원래 간격의 5% 이내여야 합니다.

    • 균열이 없어야 하며, 두부 및 만곡의 내측에 홈이 있는 것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III. 동력, 하중 및 역학

타워크레인 작업 시 하중과 힘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힘의 모멘트 (Moment of Force)

    • 공식: 모멘트 (M) = 힘 (P) x 길이 (L)

    • 예시: 붐 길이 20m 지점에서 10ton 화물 인양 시 모멘트: 10ton x 20m = 200ton·m.

  • 힘의 단위: 1dyn (다인)은 질량 1g의 물체에 1cm/sec2의 가속도가 생기게 하는 힘의 강도입니다.

  • 당기는 힘 (권상력): 하중을 들어 올릴 때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힘.

    • 예시: 240ton 부하물을 4줄 걸이로 인양할 때 당기는 힘: 240ton / 4 = 60ton (마찰 무시).

  • 줄걸이 장력 계산: 로프 한 개로 2줄걸이를 하여 1,000kg 짐을 90도로 걸어 올렸을 때 한 줄에 걸리는 무게는 약 707kgf입니다.

    • 공식: 한 줄에 걸리는 무게 = 하중 / (줄 수) x 조각도 (90도 시 조각도 약 1.414).

  • 정격 하중 (Rated Load)

    • 훅 및 달기 기구의 중량을 제외한 타워크레인이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입니다.

  • 고장력 볼트 규격 (예: 12.9T)

    • 앞 숫자 (12): 인장 강도 (120kgf/mm2 이상을 의미).

    • 뒷 숫자 (.9): 항복 강도가 인장 강도의 90% 이상임을 의미합니다. (전단 강도 아님)

    • 조임 토크 값의 단위는 kgf·m, N·m 등을 사용합니다. (kg/m3 아님)

    • 마스트 조임 시 규정된 토크 렌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 물리적 공식 오류: 원기둥의 부피 (V)는 V = 파이 x r2 x h (높이 h 포함)입니다.



IV. 전기 장치 및 방호 장치

전기 장치의 안전 규격과 방호 장치의 정확한 작동 기준은 인명 사고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 외함 방수/방진 IP 규격: 타워크레인의 전동기, 제어반, 리밋 스위치, 과부하 방지 장치 등의 외함 구조는 옥외 설치 시 IP54 이상이어야 합니다.

  • 전류계 접속: 전류계는 저항 부하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해야 합니다. (병렬 접속 아님)

  • 전기기계기구 외함: 충전부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폐쇄형에 잠금 장치가 있어야 합니다.

  • 접지 저항 (400V 초과): 전압이 400V를 초과할 때 전동기 외함의 접지 저항은 10옴 이하여야 합니다.

  • 전압의 종류 (저압): 직류 750V 이하, 교류 600V 이하 (구 규정 기준).

  • 배선용 차단기 특징: 과전류로 작동(차단)했더라도 원인을 제거하면 반복해서 재투입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 과부하 방지 장치:

    • 각 지브 길이에 따라 정격 하중의 1.05배 이내에서 작동하도록 조정합니다.

    • 작동 시 권상 동작을 정지시키고 경보가 울려야 합니다.

  • 권과 방지 장치 간격: 훅의 달기 기구 상부와 접촉 우려가 있는 도르래와의 간격이 최소 25cm 이상이어야 합니다.

  • T형 (수평 지브형) 타워크레인의 방호 장치: 권과 방지 장치, 과부하 방지 장치, 비상 정지 장치, 선회 브레이크 풀림 장치 등이 있습니다. (붐 전도 방지 장치는 러핑형에 해당)

  • 선회 브레이크 풀림 장치: 타워크레인의 지브가 바람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여 풍압에 의한 본체 손상을 보호하는 방호 장치입니다. (충돌 방지 장치 아님)



V. 타워크레인 운전 및 작업 방법

안전하고 효율적인 타워크레인 운용을 위한 구체적인 작업 수칙들입니다.


  • 기복형 (Luffing) 크레인의 선회 반경: 양중물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선회 반경은 짧아집니다.

  • 텔레스코핑 (마스트 상승) 작업 시

    • 유압 장치의 오일 레벨, 압력, 전동기 회전 방향을 사전에 점검해야 합니다.

    • 오일 양의 상태 점검은 클라이밍 시작 전에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 텔레스코핑 작업 중 에어 벤트 (통풍 벨트)는 열어 둔다. (닫으면 안 됨)

    • 금지 사항: 작업 중 선회 및 트롤리 이동을 금지합니다.

  • 타워크레인 금지 작업:

    • 하중이 지면 위에 있는 상태로 선회하는 동작

    • 하중의 끌어당김 작업

    • 땅속에 박힌 하중의 인양 작업

    • 파괴 목적으로 크레인 사용

  • 중심이 치우친 화물의 줄걸이:

    • 화물의 수평 유지를 위해 주 로프와 보조 로프의 길이를 다르게 해야 합니다.

    • 무게중심 바로 위에 훅이 오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 좌우 로프의 장력 차가 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작업 종료 후 정리정돈:

    • T형 타워크레인의 트롤리는 최소 작업 반경에 위치시켜야 합니다.

    • 운전석을 비울 때는 주전원을 끄고, 타워크레인 지브가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선회 브레이크를 해제해야 합니다.

  • 기복 (Luffing) 크레인의 휴지 시:

    • 제작사의 매뉴얼에 제시된 지브의 각도를 유지하고 선회 브레이크를 개방합니다.

  • 신호 방법 (수신호):

    • 운전자에 대한 신호는 신호의 정확한 전달을 위하여 반드시 정해진 한 사람의 신호수가 해야 합니다.

    • 훅을 아래로 내릴 때: 팔을 아래로 뻗고 2~3회 적게 흔듭니다.

    • 러핑 지브를 위로 올릴 때: 팔을 펴 엄지손가락을 위로 향하게 합니다.



VI. 안전 관리 및 법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법적 기준 및 일반 안전 상식을 정리합니다.


  • 재해 발생 원인: 재해 발생의 가장 높은 비율은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입니다. (불안전 행위 > 불안전 조건 > 불가항력 순)

  • 주행 크레인 주행 가능 풍속: 옥외 설치된 주행 크레인은 16m/s의 풍속을 가진 바람이 불 때에도 주행할 수 있는 출력을 가진 원동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시 추락 방지: 설치 작업 시 상하 이동 중 추락 방지를 위해 전용 안전벨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 보안경 착용: 물체가 날아 흩어질 위험이 있는 작업 (예: 장비의 하체 점검 작업)에 착용해야 합니다.

  • 가스 누설 검사: 비눗물을 발라 거품이 나는지 확인합니다.

  • 수공구 안전: 렌치 사용 시에는 본인의 몸 쪽으로 당기면서 볼트, 너트를 풀거나 조여야 합니다.

  • 타워크레인 운전자 취업 제한 법률: 산업안전보건법의 유해 · 위험 작업의 취업 제한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산업안전보건표지:

    • 지시표지: 안전모 착용, 안전화 착용 등 보호구 착용을 지시합니다.

    • 금지표지: 차량 통행금지, 출입금지 등 위험 행동을 금지합니다.

    • 경고표지: 고온 경고, 위험물 경고 등 위험 상황을 경고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