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 (엔진) 핵심 이론 및 공식
1.1. 엔진 성능 및 계산 공식
평균 주행 속도 계산
평균 속도(km/h) = 총 주행 거리(km) / 총 주행 시간(h)
압축비와 배기량 (행정 체적) 계산
압축비 = (연소실 체적 + 행정 체적) / 연소실 체적
행정 체적 = 연소실 체적 x (압축비 - 1)
기관 마력 (PS) 및 회전력 (토크) 계산
토크를 구하는 핵심 관계식입니다.
기관 마력(PS) = (회전력(m.kgf) x 엔진 RPM) / 716
엔진 종류: 언더 스퀘어 엔진 (장행정 엔진)
정의: 행정 길이가 실린더 내경보다 긴 형태입니다.
행정 / 실린더 내경 > 1
특징: 토크가 좋고, 저속 회전에 유리합니다.
엔진 출력 증대 방법
동일 배기량인 경우, **단위 시간당 폭발 횟수 (RPM)**를 증가시키면 출력이 향상됩니다.
1.2. 기관 정비 및 진단 지식
점화 지연의 3가지 요소
기계적 지연
전기적 지연
화염 전파에 의한 지연
실린더 헤드 볼트 분해/조립 순서
분해 (풀 때):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풀어야 헤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조립 (잠글 때):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조입니다.
실린더 직경 측정
기관의 내경을 측정하는 측정기기는 내측용 마이크로미터 또는 텔레스코핑 게이지를 사용합니다.
실린더 마멸이 가장 큰 위치
실린더의 윗부분 (상부) 마멸이 가장 큽니다.
주요 원인: 피스톤 운동 방향이 바뀌는 부분, 폭발 압력을 직접 받는 부분, 그리고 피스톤 링의 호흡 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밸브 간극 이상 현상
간극이 클 때: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 출력이 저하되고 엔진 부조가 발생합니다.
연료 펌프의 체크 밸브 역할
연료 라인 내의 잔압을 유지하여 재시동성을 향상시킵니다.
기관 고온 시 **베이퍼 록 (증기 폐쇄)**을 방지합니다.
연료의 역류를 방지합니다.
디젤 엔진 정지 장치
인테이크 셔터 (Intake Shutter): 흡입 공기를 차단하여 시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LPI 연료 조성비 결정 요소
연료의 부탄과 프로판의 조성비를 결정하는 입력 요소는 연료 온도 센서와 연료 압력 센서입니다.
엔진 오일 유압이 낮아지는 원인
베어링의 오일 간극이 크다.
유압 조절 밸브의 스프링 장력이 약하다.
윤활유 양이 적거나 공급 라인에 공기가 유입되었다.
인터쿨러 터보 장치 효과
압축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의 밀도를 증가 -> 더 많은 산소 공급으로 출력 향상을 도모합니다.
열선식 흡입 공기량 센서 (MAF)
흡입 공기량으로 인한 열선의 냉각량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전류량을 검측하여 공기량을 측정합니다.
2. 섀시 (동력 전달, 조향, 제동) 핵심 이론
2.1. 동력 전달 장치
수동 변속기 정비 시 주의 사항
로크 너트는 재사용하지 않고 신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싱크로나이저 허브와 슬리브는 마모 시 일체로 교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클러치 페달 작동 시 소음
동력이 차단될 때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면 릴리스 베어링의 마모 또는 손상을 의심합니다.
차동 장치 (디퍼렌셜) 회전수
좌우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수 합은 일정합니다. 한쪽 바퀴가 증가하면, 다른 쪽 바퀴는 그 증가분만큼 감소합니다.
전륜 구동차 (FWD)의 구동 차축
각도 변화에 대하여 회전 속도의 변화가 없는 CV형 자재 이음 (등속도 조인트) 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하이포이드 기어의 장점
구동 피니언과 링 기어 중심의 편심 구조 -> 추진축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차체의 전고를 낮추고 거주성을 향상시킵니다.
2.2. 현가 및 조향 장치
전자 제어 현가 장치 (ECS) 정비 안전
부품의 교환 작업은 반드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수행해야 합니다.
조향 핸들 유격이 크게 되는 원인
볼 이음의 마멸, 조향 너클의 헐거움, 앞바퀴 베어링의 마멸 등 각종 연결부의 마멸 또는 헐거움이 원인입니다.
가변 기어비형 조향 장치
직진 영역: 기어비가 크게 설정되어 직진 안정성이 좋습니다.
선회 영역: 기어비가 작게 설정되어 조작 편의성이 좋습니다.
동력 조향 장치 (PS) 조작이 무거운 원인
오일 탱크 오일 부족, 오일 펌프 결함, 랙 피스톤 손상 등 유압 작동 불량이 주된 원인입니다.
직진 복원성 부여 요소
킹핀 경사각과 함께 앞바퀴에 복원성을 주어 직진 위치로 쉽게 돌아오게 하는 요소는 캐스터입니다.
앞바퀴 정렬 조정
**토인 (Toe In)**은 타이로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조정합니다.
주행/제동 시 핸들 쏠림 원인
좌/우 타이어 공기 압력 불균형, 앞바퀴 정렬 불량, 한쪽 브레이크 라이닝 간격 조정 불량 등 좌우 제동력 편차.
2.3. 제동 및 타이어
유압식 브레이크 정비
브레이크액은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 시 비등점(끓는점)이 하강하여 제동 성능이 저하됩니다.
진공 배력 장치 고장 진단
시동 OFF 상태에서 페달 작동 후 시동을 걸었을 때, 페달이 내려가지 않으면 진공 배력 장치의 문제를 의심합니다.
제동력 저하 현상
페이드 현상: 빈번한 브레이크 조작으로 온도 상승 -> 마찰 계수 저하 -> 제동력 저하.
베이퍼 록: 브레이크액 과열 -> 증기 발생 -> 유압 전달 불량 -> 제동력 상실.
ABS 휠 스피드 센서 역할
휠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ABS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합니다.
타이어 표시 (편평비)
235/55R19에서 55는 타이어 높이와 폭의 비율인 편평비를 나타냅니다.
하이드로 플레이닝 (수막 현상) 방지
저속 운전, 트레드 마모가 적은 타이어 사용,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 수준으로 높임.
튜브리스 타이어 손상 수리
못 등에 의한 작은 구멍은 수리가 용이하나, 유리 조각 등에 의해 찢어지는 손상은 수리가 어렵고 타이어를 교체해야 합니다.
3. 전기 및 전장 핵심 이론
전류의 특성
전류는 저항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I = V/R, 옴의 법칙)
PTC 서미스터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정특성)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축전지의 기능
기관 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며, 발전기 고장 시 일시적으로 전장 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시동 후 주된 전력 공급은 발전기가 담당합니다.
설페이션 (영구 황산납화) 원인
방전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거나, 전해액이 증발하여 극판이 공기에 노출될 때 발생합니다.
축전지 급속 충전 시 주의 사항
발전기 다이오드 보호를 위해 축전지의 (+), (-) 케이블을 자동차에서 분리한 상태로 충전해야 합니다.
자기유도 작용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했을 때 코일 자체에 유도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점화 1차 코일)
교류 발전기 역류 방지
직류 발전기의 컷아웃 릴레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품은 다이오드입니다.
에어백 팽창 가스
일반적으로 에어백 팽창에 사용되는 가스는 질소 (N2) 가스입니다.
IMS (통합 메모리 시스템)
스위치 조작으로 설정해 둔 시트 위치, 아웃사이드 미러 위치, 조향 휠 위치 등을 재생시켜주는 편의 시스템입니다.
4. 안전 및 법규 핵심 정리
배기 장치 분해 작업
엔진을 멈추고 배기 라인의 열기가 충분히 냉각된 후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재해 발생 원인
재해 발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입니다.
정 (Chisel) 작업 시 안전 수칙
금속 깎기를 할 때는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해야 합니다.
정의 날을 몸 바깥쪽으로 하고 해머로 타격합니다.
감전 위험 장소 작업 시 조치
스위치 박스에 통전 장치를 하는 것은 위험하며, 전기 차단 후 안전장치를 하고 통전 금지 사항을 게시해야 합니다.
리벳 이음 작업
간극이 있을 때는 두 일감 사이에 여유 공간을 두지 않고 서로 긴밀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리벳이음을 해야 합니다.
조향륜 윤중 (법규)
조향륜 윤중의 합은 차량 중량 및 차량 총중량의 각각에 대하여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윤중의 정의
자동차 한 대가 아닌, 1개의 바퀴가 수직으로 지면을 누르는 중량입니다.
사이드슬립 시험기 사용 주의
답판 위에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안 됩니다. 시험기에 직각 방향으로 진입시켜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