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4회 1과목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4회 1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재해 코스트 및 통계


1.1 하인리히의 재해 코스트 (Heinrich's Cost Evaluation)

재해 코스트는 직접비와 간접비로 구분됩니다.

  • 직접비 (Direct Cost): 사고 피해자에게 직접 지급되는 비용.

    • 산재보상비, 치료비, 간호비.

  • 간접비 (Indirect Cost): 생산 활동에 영향을 주어 발생하는 손실 비용.

    • 생산 손실, 물적 손실, 임금 손실, 대체인력 교육 비용 등.

    • 하인리히의 코스트 비율은 보통 1(직접비) 대 4(간접비)로 알려져 있습니다.


1.2 재해율 계산 공식 (강도율)

재해의 경중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강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강도율 공식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연 근로시간수) × 1000

예시 문제

  • 근로손실일수: 219일

  • 상시 근로자: 50명

  • 연 근로시간수: 50명 곱하기 8시간 곱하기 365일 = 146,000 시간

  • 강도율 = (219 / 146,000) × 1000 = 1.50


1.3 산업재해의 분류

  • 니어 액시던트 (Near Accident): 인명이나 물적 피해가 없는 사고. (아차사고)



2. 안전관리 조직 및 교육


2.1 안전관리 조직의 종류별 특징

라인형 조직 (Line Type)

  • 특징: 안전에 관한 지시나 조치가 신속하다.

  • 단점: 안전에 관한 기술 축적이 어렵고, 최고 경영자의 안전 의식이 중요하다.

스태프형 조직 (Staff Type)

  • 특징: 안전에 관한 기술 축적이 용이하다.

  • 단점: 권한 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 수속이 복잡하고 시간 소모가 크다.


2.2 안전교육 방법

  • 롤 플레잉 (Role Playing): 참가자에게 일정한 역할을 주어 연기를 통해 역할을 확실히 인식시키는 체험 학습법.

  • TBM (Tool Box Meeting): 즉시즉응법. 작업원 전원의 상호대화로 스스로 생각하고 납득하는 작업장 안전 회의.

  • OJT (On the Job Training): 직속 상사에 의한 직장 내 훈련. 직장 실정에 맞는 훈련이 가능하나,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은 어렵다.

  • Off-JT (Off the Job Training): 직무 외 훈련.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TBM 활동 5단계 순서

도입 → 점검 정비 → 작업 지시 → 위험 예지 훈련 → 확인


2.3 사례 연구법의 장점과 단점

  • 장점: 흥미 유발, 현실적인 문제 학습, 관찰력 및 분석력 향상.

  • 단점: 원칙과 규정의 체계적 습득이 곤란함.



3. 산업 심리 및 행동


3.1 동기부여 이론 (K. Davis)

데이비스의 동기부여 이론 등식입니다.

  1. 지식 곱하기 기능 = 능력

  2. 상황 곱하기 태도 = 동기유발 (주의: 상황 곱하기 능력 = 동기유발은 틀린 관계임)

  3. 능력 곱하기 동기유발 = 인간의 성과

  4. 인간의 성과 곱하기 물질의 성과 = 경영의 성과


3.2 산업 심리의 5대 요소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요소 5가지입니다.

  • 동기

  • 기질

  • 감정

  • 습성

  • 습관 (지능은 포함되지 않음)


3.3 비통제의 집단행동

  • 모브 (Mob): 비통제의 집단행동 중 폭동과 같은 것. 군중보다 합의성이 없고 감정에 의해서만 행동하는 특성.

  • 패닉 (Panic): 공포감에 의한 무질서한 도피.


3.4 헤드십 (Headship)의 특징

  • 권한의 부여는 조직으로부터 위임받는다.

  • 권한 귀속은 공식화된 규정에 의한다.

  • 지휘 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 구성원과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 (리더십은 간격이 좁다.)


3.5 안전관리 시책 (대책)

  • 적극적 대책: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조치. (위험공정 배제, 위험물질 격리/대체, 위험성 평가를 통한 환경 개선)

  • 소극적 대책: 위험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는 조치. (보호구의 사용)



4. 안전 보건 법규 및 보호구


4.1 안전검사 대상 유해·위험 기계 등 (일부)

  • 곤돌라

  • 산업용 원심기 (산업용만 해당)

  • 고소작업대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

  • 이동식 국소배기장치는 안전검사 대상에서 제외됨.


4.2 방독마스크 정화통 색상

  • 유기화합물용: 갈색

  • 할로겐용, 황화수소용, 사이안화수소용: 회색

  • 아황산용: 노란색

  • 암모니아용: 녹색


4.3 내전압용 절연장갑의 등급별 색상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최대 사용전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00등급: 최대 사용전압 500V, 색상 갈색

  • 0등급: 최대 사용전압 1,000V, 색상 빨간색

  • 1등급: 최대 사용전압 7,500V, 색상 흰색

  • 2등급: 최대 사용전압 17,000V, 색상 노란색


4.4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내용 (채용 시)

채용 시 교육은 기초적인 내용에 해당합니다.

  • 사고 발생 시 긴급 조치에 관한 사항

  • 산업 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기계 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은 채용 시 교육 내용이 아님)


4.5 안전·보건 표지의 기본모형 색상

  • 빨간색 (금지/경고): 화기 금지, 탑승 금지, 산화성 물질 경고 등

  • 노란색 (경고): 고온 경고, 폭발성 물질 경고 등 (경고는 노란색 바탕이 기본)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