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류관리사 필기시험 4회 1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물류의 중요성 및 최신 추세
1-1. 21세기 물류 추세 vs. 전통적 물류
(최신 추세):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벌 물류, 3PL/4PL(3자/4자 물류)로 발전, 고품격 고객 맞춤 서비스 지향, 환경친화 및 안전 지향적 물류 (그린 물류 부상).
(전통적 방식): 자사 화물 중심의 수/배송 물류, (1자 물류 또는 2자 물류)는 3PL/4PL로 대체되는 추세입니다.
1-2. 물류의 중요성 부각 이유
주문 횟수 증가 경향: 전자상거래의 확대로 주문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문 횟수 감소는 중요성 부각 이유로 옳지 않음)
고객 욕구의 다양화/고도화: 맞춤형 서비스 요구 증대.
원가 절감의 한계: 제조 부문의 원가 절감 한계에 따라 물류가 제3의 이익원으로 인식됨.
경쟁력 강화: 물류 부문의 우위 확보가 필수적.
제품 수명주기 단축: 제품의 수명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차별화된 제품 생산 요구가 증대됩니다.
1-3. 물류의 기본 기능 및 효용
물류는 재화의 시간적/장소적 효용 가치를 창출합니다.
기본적 기능: 장소적 조정, 시간적 조정, 수량적 조정, 가격적 조정, 품질적 기능, 인격적 기능.
물류와 효용의 관계:
형태 효용: 생산
소유 효용: 마케팅
시간/장소 효용: 물류관리
2. 물류비 관리 및 계산
2-1. 물류비의 분류
기능별 물류비: 운송비, 보관비, 포장비, 하역비, 물류정보/관리비.
세목별 물류비: 노무비, 재료비, 감가상각비 등. (노무비는 기능별 물류비에 해당하지 않음)
2-2. 물류비 비목별 계산과정 (5단계)
계산목표 확인: 계산목표 확인, 계산대상 결정, 계산범위 설정
자료 식별: 계산 대상별 자료 식별, 회계 자료 수집
배부 기준 결정: 배부 기준 결정, 물류비 배부 방법 선택
집계: 영역별, 기능별, 지급 형태별 집계
활용 및 피드백: 보고서 작성, 문제점과 대책 제시, 물류비 정보의 활용 및 피드백
2-3. 물류비 절감 효과 계산 (레버리지 효과)
운송비 배부 기준: (거리) X (중량)을 주로 사용합니다.
매출액 증가액 계산 공식: 매출액 증가액 = (물류비 절감액 * 현재 매출액) / 현재 이익액
(예시): 매출액 200억, 이익률 2%(4억), 물류비 9%(18억)일 때, 물류비 10%(1.8억) 절감의 효과는? 매출액 증가액 = (1.8억 * 200억) / 4억 = 90억
3. 공급사슬관리 (SCM) 및 전략
3-1. 공급사슬의 특성 및 전략
효율적 공급사슬 (Efficient SC): 가장 낮은 가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전략. 예측 가능한 수요, 재고 회전율/활용도 중시. (비용 절감 지향)
반응적 공급사슬 (Responsive SC): 고객 주문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
3-2. SCM 달성 방법 및 취약성
유연성/신속성 달성 방법: 직접 주문 방식 도입, 전략적 지연(Postponement), 파트너십 구축, 모듈러 디자인. (비용 절감은 SCM의 초기 목표였으나 최근에는 신속성/유연성이 강조됨)
공급사슬 취약성 증가 요인: 글로벌 소싱 확대, 단일 소싱 확대, 리드 타임 증가. (협력 체계 구축은 최적화 요인)
3-3. SCM 주요 기법
크로스도킹 (Cross Docking): 재고 보관 없이 입고된 제품을 바로 분류/환적하여 출고하는 방식. (미국 Wal-Mart에서 최초 도입)
채찍효과 (Bullwhip Effect): 공급사슬 내 주체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이 채찍 효과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단순 계약 관계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공급자와 구매 기업이 협력하여 계획, 예측, 보충을 공동으로 수행.
전략적 지연 (Postponement): 제품의 완성을 시장 가까이로 지연시켜 다양한 고객 수요를 만족시키는 방식.
대량고객화 (Mass Customization): 비용, 효율성, 효과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개별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전략.
SRM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공급자와 장기적인 협업 관계 형성을 목표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것. (CRM이 아님)
3-4. 제품수명주기 단계별 전략
성장기 전략의 특성:
장기 수요 대비 유통망 확대 필요.
제품 가용성을 넓은 지역에 걸쳐 증가시킴.
촉진 비용 증가, 대량 생산 통한 가격 인하로 시장 규모 확대.
성숙기 전략의 특성:
제품의 유통 지역이 가장 광범위하며, 제품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가장 많은 수의 물류 거점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쇠퇴기 전략의 특성:
물류 거점 통폐합 및 비용 절감이 중요해지는 시기입니다.
4. 고객 서비스 및 주문 처리
4-1. 고객 서비스 측정 요소
거래 전 요소: 목표 배송일, 재고 가용성 (Stock Availability)
거래 시 요소: 주문 이행 비율, 정시 배달
거래 후 요소: 고객 불만, 회수 및 클레임
4-2. 주문 주기 시간 (Order Cycle Time)
단축 방안: 재고 정책 개선 활동, 물류 정보 시스템 활용 (초기 투자 비용 증가).
주문 전달: 판매원, 우편, 통신, 전자 송달 등에 사용되는 방법.
주문 처리: 적재 서류 준비, 재고 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 주문 확인 등의 활동. (주문 전달이 아님)
오더 필링 (Order Filling): 재고로부터 주문품 인출, 포장, 혼재 작업. (오류 발생 시 주문 처리 시간 증가)
처리 방식: 병렬 처리 방식이 순차 처리 방식보다 총 주문 처리 시간이 단축됨.
일괄 처리: 주문 처리 비용은 줄일 수 있으나, 주문 처리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5. 물류의 유형 및 공동화/역물류
5-1. 물류의 영역별 분류
조달 물류: 원자재/부품이 자재 창고 -> 생산 공정 투입 전.
생산 물류: 생산업체 생산 제품이 출하 -> 판매 창고 보관될 때까지.
판매 물류: 완제품이 출하 -> 고객에게 인도될 때까지.
회수 물류: 판매 활동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물류 용기의 재사용 관련.
역물류: 반환 제품의 운반, 분류, 정리, 보관. (과잉 재고 반품, 폐기물류, 용기 회수 등)
5-2. 물류 공동화
물류 공동화 전제 조건:
일관 파렛트화, 통일 전표 사용, 표준 물류 심벌 사용 등 표준화 추진.
자사 물류 시스템과 외부 물류 시스템의 연계.
물류 서비스 내용의 명확화 및 표준화.
기대 효과: 차량 적재/운행 효율 향상, 화물 안정적 확보, 주변 교통 혼잡 완화.
자사만의 독자적인 물류비 적용 기준 확립 (물류 공동화 목적에 부적합)
5-3. 역물류 (Reverse Logistics)
관련 요소: 과잉재고 반품, 폐기물류, 회수물류, 운반용기 회수, 재사용, 재활용.
**재주문 (Reorder)**은 정물류(정방향 물류) 활동입니다.
6. 물류 정보 시스템 및 기술
6-1. 물류 정보 시스템의 구성 요소
O: 수/배송 관리 모듈, 창고 관리 모듈, 물류 정보 관리 모듈, 주문 처리 모듈 등.
X: 생산 관리 모듈은 물류 정보 시스템의 직접적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6-2. 바코드 및 POS 시스템
POS (Point of Sales): 바코드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소매 관리 시스템. 인력 절감 효과.
EAN-14: 업체 간 거래 단위인 물류 단위(골판지 박스 등)에 사용되는 국제 표준 물류 바코드.
바코드 보안: 바코드는 결제 시스템에도 사용 가능하며, 보안 취약으로 사용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6-3. 물류 정보 기술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만 가능하고, 인공위성으로 신호를 보낼 수는 없습니다.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기업 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지정한 데이터와 문서의 표준화 시스템.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기업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비즈니스.
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지능형 교통 시스템 (ITS)의 일종으로 운전자에게 교통 정보를 제공.
6-4. 물류 보안 제도
ISO/PAS 28000: 국제 표준화 기구 (ISO)에서 공급사슬 보안 경영 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을 발표. (2005년)
CSI (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미국 CBP의 9.11 테러 이후 반테러 프로그램.
AEO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WCO의 무역 안전 및 원활화 표준 협력.
24시간 전 적하 목록 제출 제도: 운송인이 선적 24시간 전에 화물 적하 목록을 제출하도록 규정한 미국 CBP의 규칙.
7. 물류 계획, 예측 및 혁신
7-1. 수요 예측
정성적 예측 방법: 시장 조사법 (고객의 심리, 선호도, 구매 동기 등을 조사), 델파이 기법, 판매원 의견 종합법 등.
정량적 예측 방법: 시계열 분석법, 회귀 분석법, 인과 모형법, 지수 평활법 등.
7-2. 물류 계획 비교
전략적 계획 (장기):
기간: 장기적
계획 주체: 최고 경영층
의사 결정 환경: 불확실성, 혁신성
관점: 전사적 관점 (기업 전체의 목적/자원)
전술적 계획 (중/단기):
기간: 중/단기적
계획 주체: 중간 관리층
의사 결정 환경: 확실성, 일상성
관점: 부서별 관점 (자원에 관한 구체적 계획)
7-3. 물류 혁신 기법
제약 이론 (TOC, Theory of Constraints):
골드랫 (E. M. Goldratt)이 제안.
제약 (병목)을 찾아 집중적으로 개선하는 경영 이론.
DBR: Drum (제약 공정), Buffer (완충 재고), Rope (출하 통제).
산출 회계 (Throughput Accounting): 재고를 자산으로 평가하지 않음. (현금 창출 공헌 이익, 재고, 운영 비용의 상호 관계 분석)
6-시그마 (6-Sigma):
시그마(Sigma)는 통계학에서 표준 편차.
6-시그마 수준: 제품/프로세스 100만 개 중 3~4개 오류가 나는 수준 (거의 제로 수준). (6회 정도 오류가 나는 수준이 아님).
모토롤라의 해리 (M. Harry) 창안.
DMAIC: Define (정의), Measure (측정), Analyze (분석), Improve (개선), Control (관리).
물류 합리화 유형:
생력형: 인력을 기계로 대체하여 인력 절감.
생지능형 (인공지능형): 인간의 지적 판단에 따라 결정되는 단계로 이행.
7-4. 물류의 원칙
스마이키 (E.W. Smykey)의 7R 원칙:
Right commodity (적절한 상품)
Right quality (적절한 품질)
Right price (적절한 가격)
Right quantity (적절한 양)
Right place (적절한 장소)
Right time (적절한 시간)
Right impression (좋은 인상)
X: Right Safety는 7R 원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7-5. 물류 조직
라인/스태프형 물류 조직: 라인 조직에 스태프 조직이 보좌하는 형태로, 물류 전문 인력 활용 및 전문 부서의 기능을 살리면서 조직 전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조직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