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양보호사 필기시험 4회 2교시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대상자 신체활동지원 및 돌봄의 원칙
돌봄 원칙: 질병보다 사람을 중심으로 돌봐야 하며, 대상자의 존엄성을 최우선으로 지킵니다.
억제대 사용 금지: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억제대를 강제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신체에 악영향을 줍니다.
이동 원칙: 거동이 불편해도 어깨 관절 탈구 위험이 있으므로 겨드랑이를 잡아 올리지 않습니다.
수면 관리: 수면은 기억 능력 유지에 중요하므로, 요양보호를 위해 정해진 시간에 강제로 기상시키거나 수면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대상자 접촉: 넓은 면적이 닿도록 만져야 압력이 낮아지고 존중하는 느낌을 줍니다. 손끝보다는 손바닥이나 넓은 면적을 이용합니다.
강제 활동 금지: 건강 향상을 위해서라도 대상자를 강제로 움직이게 하지 않습니다.
2. 체위 변경 및 이동 보조
편마비 대상자 옷 입히기 (단추 있는 옷):
입힐 때 순서: 마비된 쪽 → 머리 → 건강한 쪽
벗길 때 순서: 건강한 쪽 → 머리 → 마비된 쪽
둔부 압력 완화 및 관장 자세: 측위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낙상 후 일어나기 (1단계): 옆쪽으로 눕고 위쪽 다리를 구부린 후, 양 팔꿈치나 양손으로 몸을 일으킵니다.
휠체어 다루는 법:
접는 순서: 잠금장치 잠금 → 발 받침대 올림 → 시트 들어 올림 → 팔걸이 접음.
울퉁불퉁한 길 이동: 휠체어 앞바퀴를 들어 올리고 뒤로 젖힌 상태에서 이동합니다.
내리막길 이동: 휠체어를 뒤로 돌려 뒷걸음으로 내려가며, 요양보호사는 고개를 뒤로 돌려 진행 방향을 살펴야 합니다.
지팡이 보행 순서:
계단 오를 때: 지팡이 → 건강한 다리 → 마비된 다리 (오/건/마)
평지/계단 내려갈 때: 지팡이 → 마비된 다리 → 건강한 다리 (지/마/건)
보행기 사용: 대상자의 팔꿈치가 약 30º 구부러지도록 둔부 높이로 조절합니다. 요양보호사는 항상 대상자의 기능이 불안정한 쪽에 서서 돕습니다.
3. 투약 및 응급 상황 대처
경관영양:
영양액 온도: 체온 정도로 준비합니다.
자세: 대상자가 일어나지 못하면 오른쪽으로 눕힙니다.
주입 후: 상체를 높이고 30분 정도 앉아 있도록 돕습니다.
물약 투여 (용량 적을 때): 바늘을 제거한 무침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확한 양을 투여합니다.
안약 투여: 눈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아주고, 아랫눈꺼풀의 중앙이나 외측으로 1~2cm 높이에서 투여합니다.
귀약 투여: 약병을 손으로 따뜻하게 하거나 온수에 담가 체온 정도로 맞춥니다. 귀약을 넣은 후 솜을 15~20분 동안 느슨하게 끼워 놓습니다.
심폐소생술 (CPR):
압박 속도: 100~120회/분, 깊이 약 5cm (성인 기준).
압박 : 이완 비율: 50 : 50이 되도록 합니다. 팔꿈치는 곧게 폅니다.
자동심장충격기 (AED):
패드 부착 위치: 오른쪽 빗장뼈 밑, 왼쪽 중간 겨드랑선.
작동: 충격이 전달된 즉시 가슴압박을 시작하고, 2분 간격으로 심장 리듬 분석을 자동 반복합니다.
4. 위생 및 청결 관리
침구 관리:
선택: 따뜻하고 가볍고 부드러우며 보습성이 있는 것을 선택합니다. 두껍고 무거운 것은 피합니다.
세탁/교체: 담요나 이불 등은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씩 세탁하거나 교체합니다.
건조: 양모, 오리털 등은 그늘에서 말립니다.
침상 배설: 가장 먼저 손 소독 및 일회용 장갑을 착용합니다.
구강 청결:
칫솔질: 치약을 묻힌 칫솔을 45º 각도로 대고 잇몸에서 치아 쪽으로 3분간 닦습니다.
시간: 잠자기 전과 매 식사 후 30분 이내에 3분간 하도록 습관화합니다.
특이사항: 혈액응고장애 대상자는 출혈 가능성 때문에 치실 사용을 금지합니다.
세수: 눈곱이 없는 쪽 눈부터 먼저 닦고, 눈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습니다.
손발 청결: 따뜻한 물에 10~15분간 담가 온기를 느끼게 하고, 손톱은 둥글게, 발톱은 일자로 자릅니다.
면도: 면도날은 얼굴 피부와 45º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며, 귀밑에서 턱쪽으로, 코밑에서 입 주위 순서로 진행합니다.
5. 식사 및 환경 관리
재가 대상자 식사 준비: 멸치와 표고버섯으로 국물을 만들면 장류나 소금의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음식이 뜨거울 때 간을 맞추지 않습니다.
당뇨병 식사: 혈당지수(GI 지수)가 낮은 식품을 선택합니다. (보리밥 등)
고혈압 식사: 눈에 보이는 지방을 제거하고, 식초, 레몬즙 등 신맛 소스를 활용하여 나트륨 섭취를 줄입니다.
낙상 예방 환경 조성:
화장실/욕실: 문턱을 없애고, 문은 깨지지 않는 재질로 합니다. 변기 옆과 욕조 벽에 손잡이를 설치합니다.
조명: 조명을 밝게 하고, 특히 현관의 조명은 발밑을 비추도록 설치합니다.
가구: 현관에 안전하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의자를 놓아 둡니다.
6. 치매 대상자 의사소통 및 대처
공감적 반응: "요즘 많이 힘들고 외로우신가 봐요"처럼 대상자의 감정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대답을 합니다.
반복적인 행동 대처:
행동이 해가 되지 않으면 무리하게 중단시키지 않습니다.
콩 고르기, 나물 다듬기 등 단순한 일거리를 제공하여 관심을 돌립니다.
밤에 배회/수면 장애: 낮에 졸게 되면 밤에 수면장애가 심해지므로, 산책과 같은 야외활동을 통해 숙면을 돕습니다.
의심/망상 대처 (예: 통장 도난): 이야기를 들어 주며 속상하겠다고 다독입니다. (논쟁, 부인, 확인 요청은 피합니다.)
지남력 장애 대처:
실물, 그림판, 문자판 등을 이용하여 이해를 돕습니다.
대상자의 이름과 존칭을 함께 사용하여 일관성 있게 대합니다.
시간, 장소, 사람, 날짜 등을 자주 인식시킵니다.
7. 욕창 초기 대처
욕창 초기 대처법: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찜질하고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냅니다.
주위를 나선형을 그리듯 마사지하고 가볍게 두드려 혈액순환을 촉진합니다.
차갑지 않고 미지근한 바람으로 건조시킵니다.
체위를 더 자주 바꿔줍니다.
8.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 용구
구입 또는 대여 모두 가능한 품목:
욕창예방매트리스
경사로 (실내용, 실외용)
나-전달법 (I-Message):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나의 감정과 그 영향을 주어로 전달합니다. (예: "목욕을 하지 않으면 가려울까 봐 걱정돼요.")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