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4회 2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인간공학 (Human Engineering)
1.1 인간-기계 시스템 평가 및 양립성
인간 기준의 4가지 기본 유형
인간 성능 척도
주관적 반응
생리학적 지표
사고 빈도
(참고: 객관적 반응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양립성 (Compatibility) 원리
공간 양립성 (Spatial Compatibility): 표시장치와 조종장치 간의 위치 또는 배열이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하는 원리입니다.
1.2 작업 환경 관리 (조명, 색채, 온도)
직사 휘광 처리 방법
창문을 높이 설치합니다.
차양이나 발(Blind)을 사용합니다.
옥외 창 위에 드리우개(Overhang)를 설치합니다.
간접 조명 수준을 높여 휘광과의 대비를 줄입니다.
작업장 색채 조절 유의사항
다양하고 현란한 색채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작업의 집중도가 낮아집니다.
추운 환경에 대한 신체 조절 작용
몸이 떨리고 소름이 돋습니다.
피부의 온도가 내려갑니다.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합니다.
(참고: 발한(發汗, 땀 흘림)은 시작되지 않습니다.)
1.3 감각 기관 및 표시장치
감각기관의 반응 속도 (빠른 순서)
청각 (약 0.17초) -> 촉각 (약 0.18초) -> 시각 (약 0.20초) -> 미각 (약 0.29초)
음량 수준 변환 (Phon 에서 Sone 으로)
공식: S (sone) = 2 의 ((P (phon) - 40) / 10) 승
예시: 50 phon 일 때 Sone 값은 2 의 ((50 - 40) / 10) 승으로, 계산하면 2 sone 입니다.
계수형 표시장치 (Digital Display) 부적합 경우
표시장치에 나타나는 값들이 계속 변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며, 이 경우 정목동침형 표시장치(Moving Pointer Fixed Scale)가 적합합니다.
1.4 인간 행동 분류 (Rasmussen의 SRK 모델)
숙련 기반 행동 (Skill-Based Behavior): 자동적,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입니다.
규칙 기반 행동 (Rule-Based Behavior): 정해진 절차나 규칙을 따르는 행동입니다.
지식 기반 행동 (Knowledge-Based Behavior): 새로운 상황이나 문제에 직면했을 때 지식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행동입니다.
(참고: 경험 기반 행동은 해당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2. 시스템 안전 및 신뢰도 공학
2.1 위험 분석 기법
ETA (Event Tree Analysis, 사건수 분석)
사고의 발단이 되는 초기 사상이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이 어떤 결과(정상 또는 고장)로 진전해 가는지를 나뭇가지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귀납적)
FTA (Fault Tree Analysis, 고장수 분석)
특정 정상 사상(Top Event)의 발생 원인을 논리 게이트를 통해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FT도 기호: 조합 게이트
m-out-of-n 게이트: n개의 입력 현상 중 임의의 시간에 m개 이상이 발생하면 출력이 생기는 기호입니다. (예: 3개 중 2개 발생 시 출력 -> 2-out-of-3 조합 AND 게이트)
2.2 위험 (Risk) 및 위험 관리
위험 (Risk)의 기본 3요소 (Triplets)
사고 시나리오
사고 발생 확률
파급 효과 또는 손실
위험 분석 및 평가 시 유의사항
발생의 빈도보다는 손실의 규모에 중점을 둡니다.
한 가지 사고가 여러 가지 손실을 수반하는지 확인합니다.
2.3 신뢰도 (Reliability) 및 고장률
지수분포를 따르는 신뢰도 공식
R(t) = e^(-고장률 * t)
R(t): 시간 t에서의 신뢰도
e: 자연 상수 (약 2.718)
고장률 계산 (신뢰도 이용)
고장률 = -ln(R(t)) / t
예시: R(t)=0.95를 유지하며 8,000시간 사용 시 고장률: 고장률 = -ln(0.95) / 8000 은 약 6.4 * 10^-6 [건/시간] 입니다.
신뢰도 증대 방안 (설계 단계)
병렬 및 대기 리던던시(Redundancy)의 활용
부품과 조립품의 단순화 및 표준화
부품의 작동 조건 경감 (Derating)
(참고: 제조부문과 납품업자에 대한 부품 규격의 명세 제시는 고유 신뢰성이 아닌 '사용 신뢰성' 증대 방안입니다.)
2.4 복합 시스템의 신뢰도 계산
직렬 구조의 신뢰도: R_S = R_1 * R_2 * ... * R_n
병렬 구조의 신뢰도: R_P = 1 - (1-R_1) * (1-R_2) * ... * (1-R_n)
직병렬 혼합 시스템 계산
각 구간을 직렬/병렬 공식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계산한 후, 최종적으로 직렬 구조로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 신뢰도를 계산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