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필기시험 4회 2과목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물류관리사 필기시험 4회 2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운송 시장의 환경 변화 및 특성


1.1 운송 시장의 변화 (핵심 정리)

  • 강화되는 규제: 물류 보안 및 환경 관련 규제는 완화되는 것이 아니라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예: 탄소 배출 규제, 국제 보안 기준 강화)

  • 운송 환경 변화: 정보화 사회의 진전, 글로벌 아웃소싱 시장의 확대, 전자상거래 증가, 화주 요구의 고도화 및 다품종 소량화가 특징입니다.


1.2 운송 수단의 선택 기준

  • 운송 수단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화물 종류, 화물량, 운송 경로, 운송 거리, 운송 일수, 운송 비용, 납기, 기후 환경 등

  • 주의: '종업원 수'는 운송 수단 선택 기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1.3 운송 비용의 분류

  • 운송 비용은 고정비와 변동비로 나뉩니다.

    • 고정비 (Fixed Cost): 운송량 및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 (예: 감가상각비, 보험료, 제세공과금, 인건비)

    • 변동비 (Variable Cost): 운송량, 운송 거리 등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 (예: 연료비, 수리비, 통행료)



2. 컨테이너 및 화물 자동차 운송


2.1 컨테이너의 특징

  • 컨테이너는 육상, 해상, 항공을 통한 모든 운송 수단에서 일관운송할 수 있도록 고안된 혁신적인 운송 용기입니다.

  • 오답 주의: 컨테이너는 '해상 운송 방식에만' 사용되도록 고안된 것이 아닙니다.


2.2 화물 자동차 운송의 특징

  • 장점: 근거리 운송 적합, 문전일관운송(Door-to-Door) 가능, 비교적 간단한 포장.

  • 단점: 대량 화물 운송에 부적합합니다. 소량/근거리 운송에서 유리합니다.


2.3 화물 운송 운임 결정 요인

  • 운송 운임 결정 요인으로는 운송 거리, 화물의 크기(Volume), 밀도(Density), 적재성(Stowability) 등이 있습니다.

  • 주의: 차량의 '축간거리(Wheel Base)'는 운임 결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2.4 특수 화물 운송 장비

  • 덤프트럭 (Dump Truck): 화물대를 기울여 적재물을 중력으로 내리는 구조의 전용 특장차입니다.

  • 하이드로 크레인 (Hydro Crane): 중단거리 이동이 가능한 트럭 위에 탑재시킨 유압식 크레인 장비입니다.



3. 수 · 배송 시스템 및 경로 설정


3.1 세이빙 (Saving) 기법을 이용한 배송 절약 시간

  • 세이빙 기법은 순회 배송을 통해 절약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기법입니다.

  • 공식: 절약 시간 = (유통센터 -> A 배송시간 + 유통센터 -> B 배송시간) - (A -> B 배송시간)

  • 예시 (Q57): (45분 + 55분) - 25분 = 75분 (1시간 15분)


3.2 수 · 배송 시스템 설계 시 고려 요소

  • 고려 사항: 리드타임, 적재율, 차량 회전율, 차량 운행 대수 등

  • 주의: '안전 수요량'은 수 · 배송 시스템 설계 요소가 아닙니다.


3.3 배송 시스템 및 기법

  • Hub & Spoke 시스템: 중앙 집중식 물류 거점(Hub)을 중심으로 간선 운송과 지역별 집배송(Spoke)을 연결하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방식입니다. (택배 운송에 적합)

  • TSP (Travelling Salesman Problem): 차량이 배송센터를 출발하여 모든 배송처를 들른 후 되돌아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또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단 경로 기법입니다.

  • 고정 다이어그램: 과거 경험에 의존하여 배송 경로와 시각을 정해두는 시스템입니다.

  • 변동 다이어그램: 물동량, 가용 차량 수 등의 정보를 감안하여 컴퓨터로 가장 경제적인 배송 경로를 도출하는 시스템입니다.



4. 해상 및 항공 운송


4.1 해상 운송 (정기선 vs. 부정기선) - 핵심 비교

해상 운송은 운항 형태에 따라 정기선 운송과 부정기선 운송으로 나뉘며,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송 화물:

    • 정기선: 컨테이너 화물, 일반 잡화 등 (규격화된 소량 화물)

    • 부정기선: 벌크 화물 (석탄, 곡물, 광석 등, 비규격화된 대량 화물)

  • 운임 결정 방식:

    • 정기선: 공표 운임 (Tariff)에 의해 결정

    • 부정기선: 수요와 공급에 의한 시장 가격으로 결정

  • 계약 서류:

    • 정기선: 선하증권 (Bill of Lading, B/L)을 사용

    • 부정기선: 용선 계약서 (Charter Party)를 사용

  • 하역비 부담 조건:

    • 정기선: Berth term (선주 부담)

    • 부정기선: FI, FO, FIO 등 (용선자/화주 부담)

  • 재화중량톤수 (Dead Weight Tonnage, DWT):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으로, 용선료의 기준이 되는 톤수입니다.


4.2 해상 운송 운임 및 할증료

  • 부적 운임: 선적 계약했던 화물량보다 실제 선적량이 부족한 경우, 용선자(화주)가 그 부족분에 대해서도 지불하는 운임입니다.

  • 체화료 (Demurrage Charge): 무료 장치 기간(Free Time) 이내에 화물을 CY에서 반출하지 않을 경우 부과하는 요금입니다.

  • 지체료 (Detention Charge): 화주가 허용된 시간 이내에 반출해 간 컨테이너를 지정된 선사의 CY로 반환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4.3 항공 운송

  • 생산 탄력성: 항공 운송 사업은 운항 횟수가 정해져 있어 생산 탄력성이 매우 낮습니다.

  • 항공기의 중량: 착륙 중량은 이륙 중량에서 비행 중에 소비된 연료 중량을 뺀 나머지 중량입니다.

  • 항공 운임 계산 (중량 단계별 할인): 화물량이 특정 중량 단계(예: 500kg)에 미달하더라도, 다음 단계의 할인된 요율을 적용했을 때 총 운임이 더 저렴해진다면 그 요율(500kg 이상 요율)을 적용합니다.

    • 예시 : 450kg 화물 운송 시 500kg 이상 요율을 적용하여 500kg × 요율로 계산합니다.


4.4 항공 화물 운송장 (AWB)

  • 기능: 화물 수령증, 운송 계약 체결의 증거증권, 세관 통관 자료, 운임 및 요금 계산 근거, 운송 지침 제공.

  • 주의: AWB는 송화인과 운송인 간 운송 계약 체결을 나타내는 증거 서류입니다.



5. 철도 및 복합 운송


5.1 철도 운송의 특징

  • 장점: 대량 화물 원거리 수송에 저렴하고 경제적, 안전도가 높고 친환경적, 계획 운송 가능.

  • 단점: 문전에서 문전까지 일관 운송 서비스(완결성) 제공이 어렵습니다. 화차 소재 관리가 어렵습니다.


5.2 철도 운송 서비스 형태

  • Block Train: 스위칭 야드(Switching Yard)를 이용하지 않고 터미널 간을 직행 운행하는 방식입니다.

  • Train Ferry (열차 페리): 해상 운송의 저렴성과 철도 운송의 대량성을 접목시킨 복합 일괄 운송 방식입니다.


5.3 화물 정보망의 역할

  • 화물 정보망은 GPS 등을 이용해 운송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 주요 역할: 공차율 감소, 운송 시장의 투명성 제공, 운송 효율의 제고.

    • 비 관련 사항: 공산품 생산 감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6. 운송 정책 및 법규


6.1 해운 정책

  • 카보타지 (Cabotage): 국가 내 운송 권리를 외국 선박에 주지 않고 자국 선박이 독점하는 국제 관례입니다. 이는 해운 보호주의 정책의 한 형태입니다.

  • 해운 자유화: 국적에 상관없이 해상 운송의 자유 및 공정한 경쟁 원칙을 적용하는 정책입니다.


6.2 국제 택배 및 운송 관련 법규

  • 상업 서류 송달업: 「항공사업법」상 수출입 등에 관한 서류와 그에 딸린 견본품을 항공기로 송달하는 사업입니다.

  • 관세 면제 기준 (견품): 관세 법령상 과세 가격이 미화 250달러 이하인 견품은 관세가 면제됩니다.

  • 택배 표준 약관 (수탁 거절 사유):

    • 운송에 적합한 포장이 되지 않은 경우

    • 운송물 종류와 수량이 운송장에 기재된 것과 다른 경우

    • 운송물 1포장의 가액이 3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 운송물의 인도 예정일(시)에 운송이 불가능한 경우



7. 국제 물류 주선업자 (포워더)의 기능

  • 주요 업무: 복합 운송 주선, 수출입 항공 화물 유치 및 계약 체결, 내륙 운송 주선, 수출입 통관 절차 대행, 항공 화물 부보(보험) 업무.

  • 주의: '선박의 감항능력 유지'나 '항공 운항 스케줄 관리'는 운송인(선사/항공사)의 고유 업무이며, 국제 물류 주선업자의 업무가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