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류관리사 필기시험 4회 3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국제물류와 국내물류 비교 및 환경 변화
국제물류는 국내물류에 비해 **복잡한 서류 절차(대금결제, 통관, 선적)**를 필요로 하며, 운송 과정에서의 위험 요소가 더 크고 (손실 위험 증가), 리드타임이 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1.1 글로벌 물류 정책 및 협력
신북방정책: 한국은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상호협력을 목표로 하며, 특히 국제철도협력기구(OSJD)에 2018년 정회원으로 가입하여 TCR 및 TSR 연결에 필요한 국제적 기반을 확보했습니다.
주요국 정책 사례:
중국: 일대일로 계획 (해상/육상 실크로드)
아랍에미리트: DPW 설립 및 M&A를 통한 글로벌 터미널 운영 전략
싱가포르: PSA를 통한 해외 항만 개발 사업
1.2 최근 국제물류 환경 변화 트렌드
제품 수명주기 단축: 신속한 국제 운송 요구 증가.
환경 규제 강화: 환경친화적 물류관리 요구 증대.
기술 발전: 위치기반기술 발전으로 실시간 화물 추적 및 물류 가시성(Visibility)이 높아짐.
SCM 변화: 다품종, 다빈도, 소량생산으로의 변화 추세 (수평적 분업화).
글로벌 소싱: 정보통신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통관 절차 등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므로 국내 구매와 동일한 절차로 자재를 획득할 수 없습니다.
2. 해상 운송의 특징과 비용 및 서류
2.1 정기선 운송 (Liner) vs 부정기선 운송 (Tramp)
1) 정기선 운송 (Liner)
화물 유형: 소량 화물, 공산품, 컨테이너 화물 (불특정 다수 화주).
운항 방식: 정해진 항로와 스케줄, 운임표(Tariff)에 따라 운영.
특징: 운송비용이 저렴하며 원거리 대량 수송에 적합합니다.
2) 부정기선 운송 (Tramp)
화물 유형: 대량 산화물(곡물, 광석, 석탄 등) (단일 화주).
운항 방식: 화주가 원하는 시기와 항로에 취항하며, 운임은 수요/공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특징: 미사용 선복은 항만 당국으로부터 보상받을 수 없습니다.
2.2 해상 운송 할증료 (Surcharge)
Bunker Adjustment Factor (BAF): 선박 연료(벙커유) 가격 변동 손실 보전.
Currency Adjustment Factor (CAF):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손 보전.
Port Congestion Surcharge (PCS): 양륙항 체선으로 인한 손실 보전.
Bulky/Lengthy Surcharge: 부피가 크거나 길이가 긴 화물에 부과.
2.3 항만 내 화주 부담 비용
항만 내 서비스 대가로 화주가 부담하는 주요 비용에는 부두사용료(Wharfage), 터미널화물처리비(THC), 도착지화물인도비용(DDC), CFS 작업료, 지체료(Detention Charge), 체선료(Demurrage) 등이 있습니다.
2.4 컨테이너 화물 수출 선적 절차 (순서)
Booking Request (선복예약)
CFS/CY Delivery (화물 인도)
Shipper’s Letter of Instruction (선적 지시서 제출)
Dock Receipt (부두 수령증 수령)
Bill of Lading (B/L 발행)
2.5 화물 조기 인수를 위한 서류
선적 서류보다 물품이 먼저 도착하는 경우, 화물을 조기에 인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류는 Sea Waybill과 Surrender B/L (또는 Telex Release B/L)이 있습니다. 이들은 원본 서류의 제시 없이 화물 인수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3. 복합운송 및 터미널 운영
3.1 국제 복합운송
Mini Land Bridge (MLB): 극동지역에서 북미 서안까지 해상 운송 후, 대륙 횡단 철도를 이용하여 북미 연안 (대서양 연안)으로 연결하는 복합 운송 방식입니다.
TSR (Trans-Siberian Railway): **SLB (Siberian Land Bridge)**라고도 불리며, 극동과 유럽 간의 Sea & Rail 복합운송 시스템입니다 (Sea & Air가 아님).
NVOCC (Non-Vessel Operating Common Carrier): 운송 수단을 직접 보유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명의와 책임으로 복합 운송을 수행하는 계약 운송인형 국제 복합운송업자입니다.
3.2 항공 운송
국제 규범: 항공 운송 관련 국제 규범으로는 **몬트리올 협정(Montreal Agreement)**과 과달라하라 협약(Guadalajala Convention) 등이 있습니다.
AWB (항공화물운송장) 기재 항목: B/L(선하증권)과 달리 전면 약관에 운임 적용 화폐단위(Currency), 보험 금액(Amount of Insurance), 운송 신고가격(Declared value for carriage) 등의 기재 항목이 있습니다.
운송 사고: 화물이 하기되어야 할 지점을 지나서 내려진 경우를 **Overcarried (과적운송)**라고 합니다.
3.3 항만 터미널 구성 및 장비
컨테이너 터미널 구성 요소:
안벽(Wharf): 선박이 접안하는 계선 시설.
에이프런(Apron):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안벽 크레인이 주행하는 레일이 설치된 장소.
마샬링 야드(Marshalling Yard): 컨테이너를 선적/양륙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공간 (에이프런 인접).
컨테이너 야드(CY): 수출입 컨테이너의 장치, 보관 장소.
컨테이너 화물 조작장(CFS): LCL 화물의 혼재(Consolidation)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
선박 대형화 영향:
Hub & Spoke 운송 시스템의 증가 (거점항만 집중).
하역 장비의 대형화 및 항만 생산성 제고 압력 증가.
항만 운영 자본 투입 증가.
장비 관련 참고 사항:
갠트리 크레인: 컨테이너의 본선 작업에 사용되며 레일 위를 주행하여 자유로운 이동은 불가능합니다.
스트래들 캐리어: 컨테이너를 양각 사이에 끼우고 운반하며 기동성은 좋으나 완전자동화 터미널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야드 트랙터: 에이프런과 컨테이너 야드 간 컨테이너 이동에 사용됩니다.
4. 무역 서류 및 기타
4.1 국제물류주선업자 (Freight Forwarder)
주요 역할: 운송 수단 수배, 화물 혼재, House B/L 발행, 운송 관계 서류 작성 대행.
제외 역할: 해상보험증명서 발행 (보험사에 의해 발행됨. 주선업자는 보험 계약 체결을 대행함).
4.2 복합운송 증권
FIATA FBL (FIATA 복합운송선하증권)은 국제운송주선업자에 의해 발행될 수 있습니다.
4.3 물류 보안 및 보세 구역
AEO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관세 당국이 인증한 무역 안전 및 법규 준수 우수 업체에 통관 절차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
보세 공장: 외국 물품이나 내국 물품을 원료로 하거나, 그 외국 물품과 내국 물품을 혼합하여 제조·가공하는 장소로, 관세법상 특허 보세 구역에 해당합니다.
혼재(Consolidation): 소량의 LCL 화물을 집화하여 FCL 화물로 만드는 과정.
4.4 해상 보험 및 클레임 해결
ICC (C) 담보 위험: ICC (C)는 가장 제한적인 조건으로, 추락손이나 지진, 화산의 분화, 해수/강물 유입 등은 담보하지 않습니다. 화재, 폭발, 좌초, 교사, 침몰, 육상 운송용구 전복·탈선 등 주요 사고 위험만 담보합니다.
클레임 해결 방법:
조정 (Mediation): 제3자(조정인)가 당사자 간의 합의를 유도하여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
중재 (Arbitration): 당사자가 선정한 중재인(arbitrator)의 판정에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는 방법 (New York Convention의 **'agreement in writing'**은 중재 합의의 요건).
4.5 Incoterms® 2020 (A/B 조항) 핵심 의무
Incoterms® 2020은 매도인(A)과 매수인(B)의 의무를 10가지 항목으로 규정합니다.
A1/B1: General obligations
A2/B2: Taking delivery
A3/B3: Transfer of risks
A9/B9: Allocation of costs (비용 배분)
A10/B10: Notices (통지)
CIP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 · 보험료 지급) 조건은 매도인이 지정된 도착지까지 운송에 필요한 운송비와 최소 보험 범위의 보험료를 지급해야 하는 조건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