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4회 5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전기 안전 관리 핵심 사항
1. 정전작업 및 전선 연결 안전 수칙
정전 작업은 반드시 철저한 통제하에 진행되어야 하며, 단시간 작업이라도 작업원의 개인 판단에 의존하여 작업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감독자 배치: 스위치 조작을 통제하고 작업 상황을 관리합니다.
퓨즈 제거: 개폐기에 퓨즈가 있다면 반드시 제거합니다.
작업 내용 주지: 정전 작업 전에 작업 내용과 절차를 모든 작업원에게 충분히 교육합니다.
전선 연결 순서: 전선을 연결할 때 다른 전선을 먼저 연결한 후에 전원 쪽을 나중에 연결합니다.
2. 감전 위험 인자 및 에너지 계산
인체에 미치는 전격의 위험도는 통전전류의 크기, 통전시간, 통전경로, 전원의 종류(교류/직류)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중 통전시간이 전원의 종류보다 더 위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입니다.
교류 vs. 직류: 전원의 크기가 같을 경우 교류가 직류보다 인체에 더욱 위험합니다.
심실세동 위험 한계 에너지 (J) 계산: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전류(I)에서의 위험 한계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인체 저항을 R [Ohm], 통전시간을 T [s]라 할 때,
E = I² * R * T
(참고: 심실세동 전류 I는 약 165 / √T [mA] 일 때, R=1,000 [Ohm], T=1 [s] 이면 약 27.2 [J]입니다.)
3. 누전 및 접지 관리
누전차단기 (ELCB) 설치 기준:
분기 회로마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합니다.
정격 감도 전류는 30 [mA] 이하, 동작 시간은 0.03 [s] 이내이어야 합니다.
누전차단기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접속하여 설치합니다.
임시배선 안전 대책: 지상 등에서 금속관으로 전선을 방호할 때는 반드시 그 금속관을 접지해야 합니다.
피전점 (皮電點): 전기 저항이 낮아지는 피부의 민감한 부분으로, 주로 손등에 존재합니다.
4. 전선 약어 정리
DV: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IV: 600 [V] 비닐절연전선
OW: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RB: 600 [V] 고무절연전선
II. 화재 및 폭발 안전 관리 핵심 사항
1. 방폭 구조와 기호
내압 방폭구조: d
유입 방폭구조: o
압력 방폭구조: p
본질안전 방폭구조: ia 또는 ib
2. 정전기 재해 방지를 위한 배관 내 액체의 유속 제한 기준
저항률 10^10 [Ohm*cm] 미만의 도전성 위험물: 유속 7 [m/s] 이하
저항률 10^10 [Ohm*cm] 이상의 비도전성 위험물: 유속 2.5 [m/s] 이하 (배관 내경 4인치 기준)
유동대전이 심한 위험물 (에테르, 이황화탄소 등): 유속 1 [m/s] 이하
물이나 기체를 혼합하는 비수용성 위험물: 유속 1 [m/s] 이하
3. 연소 및 폭발 특성
가연성 물질과 산화성 고체 혼합 시:
착화온도(발화점)가 낮아집니다.
최소점화에너지가 감소하며, 폭발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연소 속도가 빨라지고 화염온도가 상승합니다.
분진 폭발 가능성이 낮은 물질: 질석가루 (일반적으로 무기물은 폭발성이 낮음)
4. 폭발하한계 (LEL) 및 최소산소농도 (MOC) 계산
혼합가스 폭발하한계 (LEL_mix) (르 샤틀리에의 법칙):
여러 가스의 농도(Vi)와 각각의 폭발하한계(LELi)를 알 때, 다음 식을 통해 구합니다.
LEL_mix = 100 / ( (V1/LEL1) + (V2/LEL2) + ... )
최소산소농도 (MOC):
MOC = LEL * (연소반응에 필요한 산소의 몰수)
(예: C4H10 + 6.5 O2 -> ... 일 때, MOC = LEL * 6.5)
5. 위험 장소 분류 및 건조 설비 안전
제0종 위험 장소: 인화성 액체 탱크 내 액면 상부 공간부와 같이 항상 위험 분위기가 존재하는 장소.
건조 설비 안전:
위험물 건조 설비를 사용하여 가열 건조하는 건조물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사용 전 내부 청소 및 환기, 냉각 후 격납 등의 조치를 준수합니다.
III. 시스템 및 화학 물질 안전
1. 자동제어시스템 작동 순서
일반적인 자동제어시스템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정 상황 -> 검출 -> 조절계 -> 밸브(조절)
2. 특수화학설비 계측장치
내부 이상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해 설치하는 계측장치: 압력계, 유량계, 온도계가 해당합니다.
비중계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3. 관리대상 유해물질 운반 및 저장
저장 장소: 일정한 장소를 지정하여 저장하고, 관계 근로자 외 출입을 금지합니다.
증기 배출: 저장 장소에서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증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4. 크롬 (Cr) 특성
유해성: 3가와 6가 화합물이 사용되며, 6가 크롬 화합물이 특히 인체에 유해하고 발암성이 높습니다.
오답 참고: 미나마타병의 원인물질은 수은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