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4회 5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및 비율 (핵심 기준)
건설 공사 금액에 따른 안전 관리비 계상 기준 중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일반건설공사(갑) 기준 (대상액 5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
비율 (A): 1.86%
기초액 (B): 5,349,000 원
참고 (비교 기준)
일반건설공사(을): 1.99%, 5,499,000 원
중건설공사: 2.35%, 5,400,000 원
2. 흙막이 및 굴착 작업 안전
2.1. 흙막이 공법 선정 시 핵심 고려 사항
흙막이 공법은 지반 안전에 직결되므로 다음의 원칙을 따릅니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공법 선택.
차수성이 높은 공법 선택 (지하수 유입 방지).
지반 성상에 적합한 공법 선택.
흙막이 해체를 고려.
2.2. 옹벽 축조를 위한 굴착 작업 유의 사항
지반 응력 불균형 방지를 위한 굴착 원칙을 숙지해야 합니다.
분단 시공 원칙: 수평 방향으로 연속 시공하는 것을 금지하며, 블록으로 나누어 단위 시공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분단 시공을 실시합니다.
작업 완료: 하나의 구간을 굴착하면 방치하지 않고 기초 및 본체 구조물 축조를 마무리합니다.
안전 확보: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작업 위치 좌우에 대피 통로를 확보합니다.
2.3. 채석 작업 계획 포함 사항
채석 작업 전 안전을 위해 반드시 계획에 포함해야 할 항목들입니다.
발파 방법
암석의 분할 방법
암석의 가공 장소
굴착면의 높이와 기울기
표토 또는 용수의 처리 방법
3. 가설 구조물 및 비계 안전 기준
3.1. 가설 통로 구조 기준
가설 통로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경사: 30도 이하로 할 것.
미끄럼 방지: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로 할 것.
계단참: 수직갱 통로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추락 방지: 추락 위험 장소에는 안전 난간을 설치할 것.
3.2. 단관 비계의 벽 이음 간격
비계의 도괴(무너짐) 또는 전도 방지를 위한 필수 규정입니다.
수직 방향: 5 m 이하
수평 방향: 5 m 이하
3.3. 비계의 부재 중 기둥 연결 부재
비계의 기둥(수직재)을 연결시키고 지지하는 주요 수평 및 대각 부재입니다.
연결 부재: 띠장, 장선, 가새
4. 추락 및 낙하물 방지 기준
4.1. 추락 방지망 지지점 최소 강도
지지점의 강도는 간격에 비례하여 계산됩니다.
지지점의 최소 강도 (kg) = 200 (kg) X 지지점의 간격 (m)
예시 (간격 1.5 m): 200 X 1.5 = 300 kg
4.2. 낙하물 방지망 설치 기준
낙하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내민 길이: 벽면으로부터 2 m 이상
수평면과의 각도: 20도 이상 30도 이하
설치 높이 간격: 높이 10 m 이내마다 설치할 것
5. 콘크리트 및 거푸집 안전
5.1. 콘크리트 타설 시 안전 사항
낙하 높이 제한: 콘크리트의 품질 및 안전을 위해 자유 낙하 거리는 보통 1.5 m, 최대 2 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높은 곳에서 타설하는 것은 틀린 설명)
거푸집 확인: 타설 도중 거푸집, 동바리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5.2. 거푸집 해체 작업 시 유의 사항
해체 순서: 연직부재의 거푸집은 수평부재의 거푸집보다 빨리 떼어냅니다. (수평부재는 콘크리트 강도 확보 후 해체)
못 제거: 해체된 거푸집 등의 못 또는 날카로운 돌출물은 즉시 제거해야 합니다.
5.3. 말뚝 절단 시 내부 응력
말뚝을 절단할 때 내부 응력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말뚝은 PC말뚝 (Prestressed Concrete 말뚝)입니다.
6. 중량물 운반 및 장비 안전
6.1. 중량물 운반 시 바른 자세
허리 자세: 허리를 곧은 자세로 하여 들어 올립니다.
운반 거리: 물건은 최대한 몸에 가까이 하여 들어 올립니다.
적정 중량: 보통 **체중의 40%**가 적당합니다.
긴 물건: 길이가 긴 물건은 앞쪽을 높게 하여 운반합니다.
6.2. 차량계 하역 운반 기계 적재 준수 사항
하중 균형: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적재할 것.
안전 조치: 화물의 붕괴 또는 낙하에 대비하여 로프를 거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시야 확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적재할 것.
적재량: 최대 적재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6.3. 크레인 작업 시 준수 사항
하물 조작 금지: 인양할 하물을 바닥에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 것.
출입 통제: 인양 중인 하물이 작업자의 머리 위로 통과하지 않도록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할 것.
신호 확인: 하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신호하는 사람에 의해서만 작업을 진행할 것.
7. 건설공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HWPP)
계획서 제출 시 공통적으로 제출해야 할 첨부 서류들입니다.
공사 개요서
전체 공정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계획서
안전 관리 조직표
공사 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매설물 현황 포함)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 방법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