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버섯의 생활사 및 생리


가. 버섯의 생활사 핵심 단계

  • 이배체핵 (2n, Diploid) 형성 시기: 담자기 (Basidium)

    • 두 개의 반수체(n) 핵이 융합(핵융합)하여 2배체(2n)를 형성하는 단계입니다.

  • 양송이 및 풀버섯 생활사 순서: 포자 → 1차 균사 → 2차 균사 → 자실체 → 담자기

  • 꺽쇠 (Clamp Connection) 미관찰 버섯: 양송이, 신령버섯 등은 꺽쇠 연결체(협구)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나. 균사 생장 조건

  • 느타리버섯 균사 생장 최적 온도: 약 25°C 전후

  • 표고버섯 균사 생장 최적 온도: 약 25°C 내외 (범위 24~27°C)

  • 느타리버섯 고온장애 온도: 36°C 이상에서 생장이 중지됩니다.

  • 표고 자실체 발육 적합 공중 습도: 80~90%



2. 종균 배지 제조 및 살균


가. 배지 재료 및 조성

  • 감자추출배지 (PDA) 조성: 물 1L 기준으로 감자 약 200g, 한천 20g, 포도당 20g이 들어갑니다.

  • 느타리버섯 원균 증식 적합 배지: 감자배지 (PDA)가 가장 적합합니다.

  • 양송이 종균 배지 재료: 밀, 탄산칼슘, 석고의 조합이 알맞습니다.

  • 곡립종균 부적합 재료 특징: 찰기가 많은 것은 부적당하며, 찰기가 적은 것이 좋습니다.

  • 표고버섯 톱밥배지 적정 수분함량: 60~65%가 적합합니다.

  • 털목이버섯 톱밥배지 미강 첨가량: 15~20%가 적당합니다.


나. 살균 및 오염 관리

  • 톱밥배지 상압 살균 온도: 약 100°C 내외 (5~6시간을 표준)

  • 곡립종균 살균 시간 결정 요인: 종균 병의 크기, 배지의 수분함량 및 밀도, 살균기의 크기 등 (보일러 재질은 관계 없음)

  • 솜마개 사용 요령: 길게 하여 깊이 틀어막으면 통기가 원활하지 않아 균사 생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길게 하여 깊이 틀어막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 오염 종균 특징 (불량 종균): 종균 표면에 푸른색 또는 붉은색이 보이는 것, 병 속에 갈색 물이 고인 것, 쉰 듯한 냄새 등이 있습니다. 종균병 속의 표면이 흰색으로 만연된 것은 정상적인 균사 생장입니다.

  • 곡립종균 균덩이 형성 원인 (아닌 것): 흔들기 작업 지연, 배지 산도 높음, 수분함량 높음, 퇴화된 접종원 사용 등이며, 곡립배지의 수분함량이 적을 때는 균덩이 형성 원인이 아닙니다.



3. 균주 관리 및 보존


가. 종균 품질 및 취급

  • 우량 접종원의 특징: 품종 고유의 특징을 가진 단일색이며, 줄무늬 또는 경계선이 없고, 종균 상부에 자실체가 형성되지 않은 것입니다.

  • 접종실 필수 시설: 무균실 (클린 벤치 등)

  • 균사 배양 기기 중 화염 살균하는 것: 백금이 (Loop)

  • 탈병 시기 (느타리 종균): 종균 재식 당일에 탈병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나. 장기 보존

  • 장기 보존 보조제: 글리세린 또는 포도당 (액체질소 보존 시 사용)

  • 단기간 냉장 보관 온도 (포자 낙하): 1~5°C 정도 (약 4°C 냉장)

  • 4°C 보존 적합 균사 생장률: 배지에 균사가 약 70% 정도 생장한 것이 좋습니다.

  • 종균의 저장 온도가 가장 높은 버섯: 영지버섯 (약 10°C)



4. 버섯별 재배 기술


가. 느타리버섯

  • 관수량을 가장 많이 해야 할 시기: 갓 직경이 40mm일 때입니다.

  • 환기 불량 증상: 대가 길어지고, 갓 발달이 부진하며, 수확이 지연됩니다. (갓이 잉크색으로 변하는 것은 해당하지 않음)

  • 볏짚단 야외 발효: 볏짚더미 상부가 60°C일 때 뒤집기를 하여 호기성 발효를 유도합니다.


나. 양송이버섯

  • 재배에 주로 사용되는 종균: 곡립종균

  • 복토의 적정 산도: pH 7.5 내외

  • 탄산가스 축적 주원인: 퇴비에서 발생

  • 느타리 vs 양송이 재배사 차이점: 양송이는 광도의 영향이 적어 채광 시설이 필요 없습니다.


다. 표고버섯

  • 눕히기 작업: 골목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주기적으로 뒤집기 작업이 필요합니다.

  • 눕히는 장소 광도: 2,000~3,000 lux


라. 팽이버섯

  • 광도 영향: 자실체 생육 시 광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어두운 상태도 됩니다.

  • 재배 과정 중 온도를 가장 낮게 유지하는 시기: 억제 작업 시 (3~4°C)



5. 병해충 및 품질 관리


가. 해충 및 병

  • 표고 원목을 가해하는 해충 (당년 산란): 털두꺼비하늘소

  • 느타리버섯파리 중 거미줄 같은 실 분비하며 가해하는 유충: 마이세토필 (Mycetophilidae)

  • 주로 양송이에 발병하는 병균: 마이코곤병균


나. 약제 및 방제

  • 소독약제 알코올 농도: 70%

  • 돌연변이 균주 선별에 적합한 배지: 버섯최소배지 (최소한의 영양분만 제공하여 특정 영양요구 변이체 선별에 용이)

  • 우수농산물관리제도 (GAP) 유의 방제법: 화학적 방제법 (농약 사용 최소화 지향)


다. 기타 상식

  • 천마 (Gastrodia elata): 난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엽록소가 없어 뽕나무버섯균과 공생하여 생육합니다.

  • 분류학적 분류: 불로초(영지), 목질진흙버섯(상황)은 민주름버섯목으로 분류됩니다.

  • 버섯의 형태: 송이버섯, 양송이, 표고는 주름살이 있는 형태이며, 싸리버섯은 산호 모양입니다.


라. 계산 문제 (농약 희석)

  • 1,000배 희석액 제조: 물 20L에 들어가는 농약의 양은?

    • 1,000배액은 물 1L당 농약 1g이 필요합니다.

    • 물 20L × 1g/L = 20g



6. 법규 및 분쟁

  • 종자/묘 분쟁 발생 시 시험 분석 신청 기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