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산림 병해충 및 방제 (Pests, Diseases & Control)
주요 산림 해충의 특징
오리나무잎벌레: 유충과 성충 모두 나무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입니다.
어스랭이나방: 9월~10월에 유아등(등화유살)을 이용하여 방제할 수 있습니다.
솔노랑잎벌: 주로 묵은 잎을 가해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버즘나무방패벌레: 번데기 과정을 거치지 않는 불완전변태를 합니다. (소나무좀, 솔잎혹파리, 오리나무잎벌레는 완전변태)
딱정벌레목: 외골격이 단단하고, 씹는 입틀을 가지며,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종류입니다.
존스톤기관: 곤충의 청각기관이며, 더듬이의 팔굽마디에 존재합니다.
주요 수목 병해 및 원인균
주요 수목 병해는 원인균에 따라 특징과 방제법이 달라집니다.
뽕나무 오갈병은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 발생하며, 마름무늬매미충 등에 의해 매개됩니다.
호두나무 뿌리혹병은 세균성 병해로, 세균성 병해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로 방제 가능합니다.
참나무 시들음병은 곰팡이가 원인이며, 피해목 벌채 후 반드시 약제 훈증처리를 해야 합니다.
향나무 녹병은 담자균이 원인이며 중간 기주가 배나무이므로, 주변에 배나무 식재를 금지해야 합니다.
포플러 잎녹병 역시 담자균이 원인이고 중간 기주가 **일본잎갈나무(낙엽송)**이므로, 중간 기주를 제거하거나 저항성 품종을 식재합니다.
소나무 재선충병은 선충이 원인이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에 의해 전파됩니다. 피해 고사목은 소각해야 하며, 임지 외 반출은 금지됩니다.
농약 및 방제 약제
보르도액: 효력이 오래 지속되는 보호살균제이며, 소나무 묘목 잎마름병, 활엽수 반점병 등에 효과가 좋습니다.
살충제의 제형: 약제의 형태에 따른 분류로, 유제, 수화제, 분제, 입제 등이 있습니다.
제초제의 포장지 색: 황색입니다. (참고: 살균제는 분홍색, 살충제는 녹색입니다.)
2. 조림 및 묘포 작업 (Afforestation & Nursery Work)
종자 및 발아 특성
종자 수득율 (높은 순): 가래나무(50.9%) > 박달나무(23.3%) > 벚나무(18.2%) > 잣나무(12.5%) 순으로 높습니다.
발아율 (낮은 순): 전나무(25% 이상) < 주목 < 비자나무 < 해송(91.7% 이상) 순으로 나타납니다.
종자 성숙 기간:
꽃이 핀 해 가을 성숙 (단기): 사시나무, 버드나무, 미루나무가 해당됩니다.
꽃이 핀 이듬해 가을 성숙 (장기): 소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가 해당됩니다.
발아력 조사 약제: 테트라졸륨 수용액(0.1~1.0%)에 접촉하면 생활력이 있는 조직은 붉은색으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파종 및 묘목 관리
점파 (점뿌림) 적합 수종: 밤나무, 호두나무와 같은 대립종자에 적합하며, 10~20cm 간격으로 1~3립씩 파종합니다.
리기다소나무 1년생 묘목 곤포당 본수: 4,000본입니다.
비료목: 오리나무는 뿌리혹박테리아와의 공생으로 척박한 토양을 개량하여 비료목으로 사용됩니다.
묘목 연령 표기: 뿌리 나이 / 줄기 나이로 표기합니다. (예: 뿌리 2년, 줄기 1년은 2/1묘로 표기)
접목 방법: 대목의 수피에 T자형 칼자국을 내고 접아를 넣어 접목하는 것은 **눈접 (아접)**입니다.
묘포 밭갈이 깊이: 묘목 성장에 적합한 깊이는 20cm~30cm 정도가 적당합니다.
해가림 필요 수종 (음수): 잣나무, 전나무, 낙엽송, 삼나무, 편백 등이 있습니다.
해가림 불필요 수종 (양수):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사시나무 등이 있습니다.
묘목 가식 및 보관
가식 작업 (임시 심기):
장기간 가식 시 묘목을 다발에서 풀어 바로 세워 묻어야 합니다. 다발째 묻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봄에 가식 시 묘목의 끝을 북쪽으로 45° 경사지게 묻습니다. (가을에는 남쪽으로 향하게 합니다.)
3. 무육 및 벌채 작업 (Tending & Harvesting)
무육 작업 (Tending)
제벌 (Cleaning): 조림목이 임관을 형성한 후 간벌 시기가 되기 전에, 침입 수종이나 형질이 불량한 나무를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덩굴류 제거 적기: 덩굴류의 생장이 왕성한 7월경이 적당합니다. (휴지기인 1~2월은 부적합)
칡 제거 약제: 뿌리까지 죽일 수 있는 글라신 액제 등이 사용됩니다.
벌채 및 집재 작업 (Felling & Yarding)
산벌작업 (Shelterwood): 예비벌 → 하종벌 → 후벌의 3단계 갱신 벌채를 실시하는 작업법입니다.
개벌작업 (Clear-cutting): 인공조림으로 갱신할 때 가장 용이한 작업종이며, 양수의 갱신에 적합하나,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왜림 (Coppice Forest): 맹아로 갱신되고, 땔감 생산용으로 알맞으며, 벌기가 짧고 수고가 낮은 특징을 가집니다.
가선집재 (Cable Yarding): 지형 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고, 임지 및 잔존 임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작업원에 대한 기술적 요구도가 높습니다.
측척: 벌채목을 규격재로 자를 때 길이를 표시하는 도구입니다.
걸린 벌채목 처리: 지렛대, 소형견인기 또는 로프를 이용하여 넘겨야 합니다. 걸린 나무를 토막 내어 넘기는 것은 위험하며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와이어로프 고리: 고리 지름은 와이어로프 직경의 20배 이상으로 만들어야 안전합니다.
4. 수목 생리 및 환경 (Physiology & Environment)
광선 요구도: 수종에 따라 광선의 요구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소나무: 양수, 전나무: 음수)
내화성이 약한 수종: 삼나무, 녹나무, 소나무, 편백 등은 불에 약합니다.
내화성이 강한 수종: 은행나무, 굴거리나무, 잎갈나무, 가중나무, 피나무, 황벽나무 등이 해당됩니다.
저온 피해의 종류:
동해 (Frost Damage): 수목 조직 내에 결빙이 일어나 발생하는 피해입니다.
한해 (Winter Drying): 지중 수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입니다.
5. 임업 기계 및 안전 (Machinery & Safety)
기계 사용 및 정비
2행정 내연기관: 외부 공기가 크랭크실로 유입되는 원리는 크랭크실과 외부와의 기압차 때문입니다.
윤활유 점도 (혼합유 제조): 사용 외기온도에 따라 점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여름철(+10℃ ~ +40℃)에는 주로 SAE 30이 사용되고, 겨울철(-10℃ ~ +10℃)에는 SAE 20이 적합합니다. 여기서 SAE는 미국자동차기술협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의 약자이며, W는 'Winter'를 의미합니다.
예불기 기어 케이스 그리스 교환: 20시간 사용 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조림 및 육림용 기계 (아님): 윈치(Winch)는 무거운 물체를 끌어올리거나 옮기는 데 사용되는 장비로, 조림/육림용이 아닌 집재 용도입니다.
안전 수칙
안전사고 예방: 가급적 혼자 작업하지 말 것이 가장 중요하며, 휴식 직후에는 서서히 작업 속도를 높여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