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승강기 안전장치 및 규격
안전장치와 정의
슬랙 로프 세이프티 (Slack Rope Safety): 소형, 저속 엘리베이터에서 로프 장력 상실(휘어짐) 발생 시 즉시 운전 회로를 차단하고 추락방지안전장치를 작동시켜 과속조절기를 대체하는 장치입니다.
럽처 밸브 (Rupture Valve):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유체 흐름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흐름을 차단하도록 설계된 밸브입니다.
체크 밸브 (Check Valve):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입니다.
문닫힘 안전장치 (Safety Shoe): 카 도어 끝단에 설치되어 이물체 접촉 시 도어의 힘을 중지하고 도어를 반전시키는 접촉식 보호장치입니다.
도어 인터로크 스위치 (Door Interlock Switch): 카가 정지하지 않은 층에서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며, 도어가 닫혀 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하도록 하는 시건 및 스위치 장치입니다. (승객 끼임 방지 감지 장치 아님)
도어 스위치 회로 구성: 모든 도어 스위치 회로는 안전을 위해 직렬 회로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안전 기준 및 치수 (표 대신 목록으로 정리)
매다는 장치 안전율 (체인 구동): 최소 10 이상
기계실 작업 구역 유효 높이: 최소 2.1 m 이상
승강장/카문 틈새 (닫혔을 때): 최대 6 mm 이하 (마모 시 10 mm 허용)
카 바닥 - 승강로 벽 수평거리: 최대 150 mm 이하
소방구조용 E/V 백업 전원: 최대 60 초 이내 자동 발생
소방운전 시 승강장 전기/전자 장치 온도 범위: 0 C ~ 65 C (섭씨)
연속 상하 승강장 문턱 거리 초과 (11 m) 시 비상문 규격: 높이 1.8 m 이상, 폭 0.5 m 이상
주택용 엘리베이터 기준
승강 행정이 12 m 이하이다. (O)
정격 속도가 0.25 m/s 이하이다. (O)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X, 주택용 E/V는 화물용을 포함하지 않음)
2. 구동 및 기계 부품
권상기 및 로프
트랙션비 (마찰비): 카 측 로프 중량과 균형추 측 로프 중량의 비. 트랙션비가 작으면 전동기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습니다.
트랙션 능력 순서: U홈 < 언더컷홈 < V홈 (마찰계수 크기 순)
로프 미끄러짐 방지 방법:
권부각을 크게 한다.
가감 속도를 완만하게 한다.
균형 체인이나 균형 로프(보상 케이블)를 설치한다.
카 중량과 균형추 중량을 같게 한다.
균형추의 무게 결정 요소: 카 자체 하중, 정격 적재 하중, 오버밸런스율. (속도는 관계 없음)
균형추 중량 계산: 균형추 중량 = 카 자체하중 + (정격하중 * 오버밸런스율)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특징 (X):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탄소량을 많게 할 것 (탄소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경도가 높아져 쉽게 깨지거나 부서질 수 있음)
기계 요소
헬리컬 기어 (Helical Gear): 기어의 이(Teeth) 줄이 나선이며, 기어의 두 축이 서로 평행한 원통형 기어입니다.
안장 키 (Saddle Key): 새들 키라고도 하며, 축에는 키 홈 가공을 하지 않고 보스에만 키 홈을 가공한 것입니다.
볼 나사 (Ball Screw): 정밀 기계 이송 나사에 사용되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합니다.
축 설계 시 고려사항 (X): 전기 전도성 (강도, 응력 집중, 열 응력 등을 고려함)
주행 안내 레일 (Guide Rail)
규격 호칭: T형 주행 안내 레일 (13K, 18K 등)은 길이 1 m당 무게를 나타냅니다.
점검 시 틀린 사항: 레일면이 손상되었을 경우 방청 페인트로 표면에 곱게 도장한다. (X, 레일면 손상 시 도장이 아닌 보수 또는 교체 필요)
도어 행거 강도: 도어 무게의 4배에 해당하는 정지 하중을 기울어짐 없이 지탱해야 합니다.
3. 전기 및 제어 (Control)
직류/교류 전동기
3상 유도 전동기 회전 방향 변경: 3상에 연결된 임의의 2선을 바꾸어 결선합니다.
전동기 회전 방향 판별 법칙: 플레밍의 왼손 법칙 (전동기의 원리)
직류 전동기 속도 제어 방식: 전압 제어, 계자 제어, 저항 제어 (전류 제어 아님)
출력 및 전력 계산
전동기 출력 (Pm) 계산식: (단위: kW)
P_m = (L * V * S) / (6,120 * 총합효율) (L: 정격하중, V: 정격속도, S: 1-F (오버밸런스율), 총합효율)
유효 전력 (P) 계산:
P = (P_a^2 - P_r^2)의 제곱근
(
P_a : 피상전력,P_r : 무효전력)
기초 전기 및 논리 회로
옴의 법칙: 전압(V) = 전류(I) * 저항(R)
저항(R)=10 옴(OHM), 전류(I)=5 A일 때,
V = 5 * 10 = 50 V
휘트스톤 브릿지 평형 조건:
R_1 * R_3 = R_2 * R_4 R_1=100 옴,R_2=1,000 옴,R_3=800 옴일 때,100 * 800 = 1,000 * R_4 .R_4 = 80 옴
불 대수식 간소화:
Y = A*B*C + A*C = A*C*(B+1) = A*C 논리식
X = NOT(A) * NOT(B) : 드모르간 법칙에 의해X = NOT(A+B) (NOR Gate)와 동일합니다.
제어 및 계측
되먹임 (Feedback) 제어: 가장 중요한 장치는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입니다.
프로세스 제어 (Process Control): 압력, 유량, 온도, 액위, 농도 등의 상태량 제어를 말합니다. (속도는 속도 제어에 속함)
계통 오차 (Systematic Error): 측정기 자체 결함, 측정 장치나 사용자 환경의 영향 등에 의한 오차입니다.
각도 측정기: 사인 바 (Sine Bar)
4. 에스컬레이터 및 기타
에스컬레이터의 특징 (틀린 것): 전동기 기동 시 대전류에 의한 부하 전류의 변화가 엘리베이터에 비하여 많아 전원 설비 부담이 크다. (X, 에스컬레이터는 수직 운행 E/V에 비해 전원 설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에스컬레이터 구조 기준: 디딤판의 속도와 이동 손잡이의 속도는 0 ~ 2 %의 허용 오차로 같아야 합니다. (반비례하지 않음)
수평 보행기 (Moving Walk) 디딤판 구조: 고무 벨트식과 팰릿식이 있습니다.
대전 상태: 어떤 물질이 전자의 과부족으로 전기를 띠는 상태를 설명합니다.
5. 안전 관리 및 재해
위험 기계 기구 방호 장치 설치 의무자: 기계 기구의 소유자
동력 차단 장치: 동력으로 운전하는 기계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기계마다 설치해야 합니다.
재해 발생 형태:
정지되어 있는 물체에 부딪침: 충돌
안전 사고 발생 요인 (X): 임금 (피로감, 감정, 날씨 등은 요인이 될 수 있음)
인명 사고 발생 시 안전 관리자의 대처 사항 (부적합): 자체 검사에 관한 사항을 숙지하고 기술적인 사고 요인을 검사하여 고장 요인을 제거한다. (X, 이는 사고 발생 전의 의무 사항이며, 사고 발생 후에는 현장 보존 및 구급 조치가 우선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