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차체 구조, 제도 및 측정 기준


1.1 차체 형태 및 부품

  • 노치백 (Notchback) 세단: 차체 후부가 계단 형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차실과 트렁크 공간이 나뉘어 승용차의 표준형으로 분류됩니다.

  • 모노코크 보디 (Monocoque Body) 특징:

    • 단독 프레임이 없어 차량 중량이 가볍습니다.

    • 차실 바닥면을 낮출 수 있어 실내 공간 활용에 유리합니다.

    • 충돌 에너지를 차체 전체 구조로 분산시킵니다.

    • 주행 소음 및 진동 차단에 고도의 설계 기술이 필요합니다.

  • 엔진룸 구성 요소: 라디에이터 서포트 패널, 후드 패널, 프런트 휠 하우스 등입니다. (쿼터 아웃 패널은 후면 측면 패널입니다.)

  • 밸브 개폐 기구 (실린더 헤드): 캠축, 밸브리프트, 로커암 등이 속하며, 스로틀 밸브는 흡기 계통 부품입니다.


1.2 차체 측정 기준

  •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 정면도 (Front View): 차체의 폭과 높이를 나타냅니다.

    • 측면도 (Side View): 차체의 길이와 높이를 나타냅니다.

    • 평면도 (Plan View): 차체의 길이와 폭을 나타냅니다.

  • 데이텀 라인 (Datum Line): 차체의 높이(수직)에 대한 기준선이며, 각 부위 높이의 이상 상태를 점검하는 데 사용됩니다.

  • 레벨 (Level): 차체 각 부분들이 수평한 상태에 있는가를 고려하는 파손 분석의 요소입니다.

  • 트램 트래킹 게이지: 보디의 대각선 측정, 프레임의 일그러짐,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휨 상태 점검에 사용됩니다. (프레임의 센터라인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현척 (Actual Scale): 도면을 실물과 같은 크기(1:1)로 그리는 척도입니다.


1.3 판금 가공 및 보수

  • 크라운 (Crown): 차체의 각종 강판 패널에 일정한 곡률을 주어 성형하는 것을 말합니다.

  • 성형 가공의 종류: 벌징은 원통 용기의 아랫부분을 볼록하게 가공하는 성형 공정에 속합니다. (전단, 펀칭, 블랭킹은 전단 가공입니다.)

  • 드로잉 (Drawing): 평평한 금속판재를 펀치로 다이 공동부(Cavity)에 밀어 넣어 원통형이나 각통형 제품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 스프링 백 (Spring Back):

    • 경도가 높을수록 커집니다.

    • 동일 판재에서 구부림 반지름이 클수록 스프링 백 현상이 커집니다.

  • 도어 단차 조정: 도어 장착 후 단차를 조정하는 주된 부품은 도어 스트라이커입니다.



2. 재료의 성질 및 특성


2.1 철강 및 비철금속

  • 선철 (Pig Iron): 강보다 탄소 함량이 많고, 전성이 작고 취성(깨지는 성질)이 큽니다. 강(Steel)의 재료가 됩니다.

  • 주철 (Cast Iron): 유동성이 좋고, 압축 강도는 크지만 인장 강도가 부족합니다. 내마모성이 크고 녹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 납 (Lead): 전성이 크고 연하며, 인체에 유독한 금속입니다. 공기나 물에는 잘 부식되지 않으나, 알칼리 수용액에 대해서는 철보다 빨리 부식됩니다. (내알칼리성이 아닙니다.)

  • 스테인리스 강판: 내식성,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하며 크롬 산화피막이 표면을 보호합니다. 하지만 염산에는 침식됩니다.


2.2 강판 및 기타 재료

  • 냉간압연강판 (Cold Rolled Steel Sheet):

    • 상온에서 롤러 압연하여 제작합니다.

    • 표면이 매끄럽고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하여 주로 차의 내부 패널용으로 사용됩니다.

    • 800°C 이상의 고온으로 처리하는 것은 열간압연강판의 특징입니다.

  • 열경화성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등이 있으며, 가열하면 화학적 변화로 경화되어 다시 녹지 않습니다. (폴리에틸렌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입니다.)

  • 합성수지 공통 성질: 가볍고, 전기 절연성이 좋으며, 산/알칼리에 강합니다. 단, 열에는 약한 성질이 있습니다.



3. 용접 및 수리 작업


3.1 용접 방식 및 특징

  • 전기 저항 용접:

    • 맞대기 용접: 플래시 용접, 업셋 용접 등

    • 겹치기 용접: 점 용접, 심 용접, 프로젝션 용접

  • 프로젝션 용접: 스터드 볼트 또는 너트를 차체에 용착(용접하여 붙이는)시키는 작업에 적당한 저항 용접입니다.

  • 점 용접의 3대 요소: 용접 전류, 통전 시간, 전극의 가압력입니다. (모재의 두께는 요소가 아닙니다.)

  • 너깃 (Nugget): 전기 저항 스폿 용접 시 접합면의 일부가 녹아 바둑알 모양의 단면으로 변화된 것을 말합니다.

  • 피트 (Pit): 용융 금속이 튀어 용접 부분 바깥면에 나타나는 작고 오목한 구멍을 말합니다.

  • TIG 용접 보호가스 (Ar): 모든 금속에 사용되며, 아크 안정성과 낮은 전류에서 청정 작용이 있어 Al (알루미늄), Cu (구리) 합금 등 활성 금속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 솔리드 와이어 전류 범위: 지름 1.2 mm 솔리드 와이어의 탄산가스 아크용접 전류 범위는 약 80 ~ 350 A 입니다.


3.2 안전 및 작업 유의 사항

  • 해머 잡는 법: 중지와 약지는 보조적인 역할로 가볍게 원을 그리듯이 쥐며, 새끼손가락에 힘을 주어 쥡니다. (손잡이와 어깨의 각도 120°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 슬래그 제거: 슬래그는 반드시 용접 홀더가 아닌 칩 해머 등을 사용하여 작업자 반대쪽을 향하여 제거해야 합니다.

  • 가스 용접 안전: 산소의 연결부 나사는 다른 가스와 혼동되지 않도록 오른나사로 되어 있습니다. (아세틸렌은 왼나사입니다.)

  • 가스 분출구 카본 제거: 동선이나 놋쇠선을 이용하는 것이 옳습니다.

  • 연료탱크 수리 안전: 작은 구멍을 수리할 때는 탱크 내의 가솔린 증기를 완전히 없애고, 탱크 내에 물을 채운 뒤, 납땜을 이용합니다.

  • 알루미늄 용접 주의: 알루미늄 합금 패널의 산화막은 강하므로, 용접 전에 이를 제거해야 합니다. (산화막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설명은 틀립니다.)

  • 냉간압연강판 가공 온도: 800°C 이상의 고온 처리는 열간압연강판의 특징이며, 냉간압연강판은 상온에서 가공합니다.

  • 절단 원리: 산소-아세틸렌 절단 작업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재의 산화 연소하는 온도가 그 금속의 용융점보다 낮아야 합니다.



4. 공구 및 기타 지식

  • 에어 공구: 용접된 철판을 두 개로 분리하는 데 가장 적합한 공구는 **에어 정 (치즐)**입니다.

  • 프레임 수정기: 자동차 조립 라인과 유사하며 계측과 수리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수정 방식은 지그식입니다. 캐스터가 장치되어 있어 이동이 가능하고, 유압 잭과 언더 클램프를 사용하여 수정하는 것은 이동식 보디프레임 수정기입니다.

  • 도수율: 100만 근로시간당 몇 건의 재해가 발생했는가를 산출하는 재해율입니다.

  • 도료 구성: 도료의 목적(색상, 방청 등)을 결정하는 재료는 안료입니다.

  • 연마기: 단 낮추기 등 도장 작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이중 회전운동을 하는 연마기는 더블 액션 샌더입니다.

  • 물리 법칙: 차량이 일정 거리를 움직였다고 볼 경우, 이때 적용될 수 있는 원리는 힘 = 질량 x 가속도 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