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타워크레인의 안전 장치 및 설치 기준

타워크레인의 안전을 보장하는 핵심 장치들과 설치 시 준수해야 할 기준들입니다.


1-1. 주요 안전 장치 및 기능

  • 리밋 스위치 (Limit Switch): 로프의 권과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횡행, 주행 등 운동에 대한 과도한 진행을 막습니다.

  • 과부하 방지 장치 (Overload Limiter): 크레인으로 화물을 들어 올릴 때 최대 허용 하중 (정격 하중의 110% 이내)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운반 작업을 중단시켜 과적재 사고를 예방하는 방호 장치입니다.

    • 구비 조건: 정격 하중의 1.1배 권상 시 경보와 함께 권상, 횡행, 주행 동작이 불가능한 구조여야 합니다. 임의로 조정할 수 없도록 봉인되어 있어야 합니다.

    • 전자식 방식: 스트레인 게이지(로드 셀)의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며, 하중 방향에 따라 인장 로드 셀 방식과 압축 로드 셀 방식이 있습니다.

  • 훅 해지 장치 (Hook Latch): 훅에 걸린 와이어로프, 슬링 등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안전장치입니다.

  • 선회 브레이크 풀림 장치: 타워크레인의 지브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본체를 보호하는 방호 장치입니다.


1-2. 설치 및 규정

  • 기초 앵커 설치: 앵커 시공 시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게 정밀하게 시공해야 합니다. (앵커 세팅 수평도는 5mm 이내 규정은 틀린 설명입니다.)

  • 타워크레인 상호 이격 거리: 현장에 타워크레인이 두 대 이상 중첩되는 경우의 최소 안전 이격 거리는 2m입니다.

  • 항공 장애등 설치: 옥외에 지상 60m 이상 높이로 설치되는 크레인에는 항공법에 따른 항공 장애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 강풍 시 조치: 옥외 크레인 사용 시 순간 풍속 30m/s를 초과하는 바람이 불어올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이탈 방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이탈 방지 조치를 해야 합니다.

  • 취업 제한 대상 제외: 조종석이 설치되지 않은 정격 하중 5ton 미만의 무인 타워크레인은 타워 크레인 조종 업무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전기 및 동력 장치와 역학 원리

타워크레인 작동의 기초가 되는 전기, 유압 원리와 하중 계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2-1. 전기 이론 및 안전 수치

  • 변압기의 원리: 전자 유도 작용을 이용한 전기 장치입니다.

  • 절연 저항 측정 기준: 400V 전압에서 절연 저항은 최소 0.4MΩ (메가옴) 이상이 나와야 합니다.

  • 과전류 차단기 성능: 전동기의 시동 전류와 같이 단시간 동안의 약간의 과전류에서는 동작하지 않아야 하며, 큰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는 순간적으로 동작해야 합니다.

  • 줄(Joule)의 법칙: 전류에 의해 발생된 열은 도체의 저항과 전류의 제곱 및 흐르는 시간에 비례합니다 (Q = 0.24 * I² * R * T).


2-2. 동력 및 기계 구조

  • 유압 펌프: 오일 탱크에서 기름을 흡입하여, 유압 밸브에서 소요되는 압력과 유량을 공급합니다.

  • 힘의 3요소: 힘의 크기, 힘의 작용점, 힘의 작용 방향입니다. 속도는 힘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L형 (경사 지브형) 타워크레인의 기복: 크레인의 지브가 수직면에서 지브 각의 변화를 말합니다.

  • 주행 구동 장치: 전동기, 감속기,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됩니다. 미끄럼 방지 고정 장치는 방호 장치입니다.

  • 하중의 종류: 하중이 걸리는 속도에 따라 정하중(사하중 등)과 동하중(되풀이, 교번, 충격 하중)으로 분류됩니다.


2-3. 안전율 및 모멘트 계산

  • 안전율 계산 공식: 안전율 = (와이어로프의 절단하중 * 로프의 줄 수) / 권상하중

    • 예: 절단하중 1,200kgf, 2줄걸이, 권상하중 600kgf일 때 안전율은 (1,200 * 2) / 600 = 4입니다.

  • 힘의 모멘트 계산: 힘의 모멘트 (M) = 힘 (P) * 길이 (L)

    • 예: 지브 길이 20m, 화물 10ton일 때 모멘트는 20m * 10ton = 200ton.m입니다.



3. 줄걸이 및 와이어로프 관리

안전한 인양을 위한 줄걸이 작업 기준과 와이어로프의 관리 수칙입니다.


  • 줄걸이 각도와 장력: 줄걸이 로프에 가장 장력이 작게 걸리는 각도30도입니다. 각도가 커질수록 장력이 커지므로, 90도 (1.414배), 120도 (2.000배) 등으로 장력이 증가합니다.

  • 엮어넣기 적정 길이 (Splice): 로프 지름의 30 ~ 40배가 적정합니다.

  • 도르래 홈 마모 한도: 시브(도르래) 홈의 마모 한도는 와이어로프 지름의 20% 이하입니다.

  • 드럼 최소 권수: 달기구 및 지브의 위치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할 때 드럼에 2 ~ 3회 이상 감겨 있을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 와이어로프 수명 연장: 과하중에 의해 운전 횟수가 줄어든 것보다 적정 하중으로 사용하여 운전 횟수를 증가하는 것이 수명 연장에 유리합니다.

  • 줄걸이 주의 사항: 큰 짐 위에 작은 짐을 얹어서 매달면 떨어지기 쉬우므로, 작은 짐이 떨어지지 않도록 별도로 매어두거나 방지 조치해야 합니다.



4. 운전 및 작업 현장 안전 수칙

운전자가 준수해야 할 기본적인 안전 수칙과 비상 상황 대처 요령입니다.


4-1. 운전 및 조작 주의 사항

  • 화물 인양: 화물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순간의 권상은 천천히 해야 합니다. 화물을 지면에서 이격한 후 안전이 확인되면 고속으로 인양해도 됩니다.

  • 운전 중 금지: 화물을 권상한 채로 운전석을 이탈하지 않습니다.

  • 신호 준수: 신호수가 아닌 사람이라도 위험 상황 발생 시 정지 신호를 보내면 무조건 정지시키고 난 후 확인합니다. 신호 불량이나 줄걸이 불량을 확인한 경우에는 즉시 운전을 멈춥니다.

  • 중량물 운반: 짐의 중량을 어림짐작하여 작업하지 않고, 정격 하중을 넘지 않도록 정확히 확인합니다. 흔들리는 중량물은 사람이 붙잡아서 이동시키지 않고 운전을 금지합니다.

  • 운전 종료 후: 수평 지브 타입(T형) 타워크레인의 트롤리는 최소 작업 반경에 위치시키고, 원칙적으로 줄걸이 용구는 분리해둡니다.


4-2. 마스트 연장 (텔레스코핑) 작업 안전

  • 텔레스코핑 원칙: 반드시 제조자 및 설치 업체에서 작성한 표준 작업 절차에 의해 작업해야 합니다.

  • 유압 실린더 위치: 유압 실린더와 카운터 지브가 동일한 방향에 놓이도록 합니다.

  • 안전핀: 텔레스코핑 시에만 사용하고, 작업 완료 후에는 즉시 정상 핀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안전핀을 생략하고 권상 작업을 하는 것은 절대 금지됩니다.



5. 일반 안전 및 공구 사용법


5-1. 공구 및 작업 안전

  • 고장력 볼트 관리: 볼트, 너트의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 점검을 합니다. 한 번 사용했던 볼트는 재사용해서는 안 되며, 공회전이 발생한 경우 새것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 복스 렌치 권장 이유: 볼트와 너트 주위를 완전히 감싸게 되어있어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아 안전합니다.

  • 토크 렌치 사용법: 오른손은 렌치 끝을 잡고 돌리며 왼손은 지지점을 누르고 눈은 게이지 눈금을 확인합니다.

  • 수공구 관리: 공구는 사용 후 녹슬지 않도록 오일을 바르고, 사용 전에 이상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며 목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보호구: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5-2. 화재 및 위험물 관리

  • 엔진 화재 진압: 엔진 시동스위치를 끄고, ABC 소화기(일반, 유류, 전기 화재 모두 대응 가능)를 사용합니다.

  • 아세틸렌 가스 용기 취급: 용기의 온도는 40도 이하로 유지하며 반드시 세워서 보관하고 전도 방지 조치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