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자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종자 생리 및 품질 관리
종자 수확 및 품질
종자 수확 시기: 적기보다 지나치게 빠를 경우 종자 품질이 나빠집니다.
주요 증상: 저장 과정에서 발아율 감소, 건조 시 종실이 쭈글쭈글해짐, 미숙립 손실 증가.
종피의 구성: 종자의 씨껍질(종피)은 주피가 변화한 것으로, 경층, 팽창층, 색소층 등으로 구성됩니다.
종자의 크기: 식물 종자 중 크기가 가장 큰 것은 일반적으로 야자나무 종자입니다.
종자 검정 시료 명칭:
제출시료 (Submitted Sample): 검정기관에 종자 검사를 위해 제출된 시료.
검사시료 (Working Sample): 분석실에서 제출시료로부터 채취하여 품위 검사에 제공되는 시료.
발아 및 휴면
발아 관련 용어:
발아율: 파종된 총 종자 수에 대한 발아 종자수의 비율입니다.
발아세: 정해진 시일 내의 발아율로, 종자의 활력을 나타냅니다.
발아시: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입니다.
발아기: **전체 종자의 50%**가 발아한 날입니다.
휴면의 정의: 성숙한 종자에 적당한 발아 조건을 주어도 일정 기간 동안 발아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타발적 휴면: 외부 환경 (수분, 온도, 광 등)이 적합하지 않아 발아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경실종자 휴면타파: 씨껍질이 두꺼운 종자의 휴면을 깨는 방법으로는 종피파상법, 농황산처리, 고온처리, 저온처리, 습열처리 등이 있습니다.
종자 저장 및 퇴화
종자 퇴화 증상:
호흡의 저하, 발아율 저하, 효소 활동 저하.
종자 침출물은 증가합니다.
안전 저장 조건:
벼: 온도 15℃ 이하, 상대습도 약 70% 이하.
배추, 무 등 일반 종자: 최대 수분 함량 5~7% 정도. (유지종자는 3~5% 정도)
종자 저장 시 건조제: 습도를 낮추기 위해 염화칼슘, 실리카겔, 생석회 등이 사용됩니다.
2. 유전 및 육종 (Breeding and Genetics)
작물의 생식 특성
자웅동주 (Monoecious): 암꽃과 수꽃이 같은 한 그루에서 피는 식물입니다.
자웅이주 (Dioecious): 암꽃과 수꽃이 완전히 다른 그루에 피는 식물입니다.
자가수정 촉진 특성: 꽃이 피지 않고도 수분과 수정이 완료되는 폐화수정이 대표적입니다.
타가수분 작물 (타식성): 옥수수, 호밀, 메밀, 사탕무, 고추, 시금치, 양파 등이 대표적입니다.
유전자의 작용
멘델의 분리의 법칙: 잡종 2세대(F2)에서 우성과 열성의 두 형질이 3 : 1 비율로 분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유전자 상호작용 (비대립유전자 상호작용):
보족유전자: 9 : 7
중복유전자: 15 : 1
억제유전자: 13 : 3
복수유전자: 9 : 6 : 1
치사유전자는 비대립유전자 상호작용에 속하지 않습니다.
다면적 발현 (Pleiotropy): 1개의 유전자가 2개 이상의 형질 발현에 관여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F1 배우자형 종류 수: 대립유전자 n쌍일 경우
2의 n승 가지 입니다. 5쌍일 경우2⁵ = 32 가지입니다.
육종의 목표 및 방법
육종의 성과 (긍정적): 품질 개선, 재배 한계 확대, 작황의 안정성 증대 (내냉성, 병해충 저항성 향상).
재래종 감소 및 품종 획일화는 육종의 부정적 성과로 간주됩니다.
형질의 구분:
양적 형질: 연속 변이를 하며, 간장, 초장, 수량 등이며 여러 개의 미동유전자가 관여합니다.
질적 형질: 소수의 주동유전자에 의해 나타납니다.
신품종 특성 유지 방법 (원원종포):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계통 재배를 통해 품종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은 계통집단선발법입니다.
씨 없는 수박의 생산: 유전적으로 3배체의 배수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종간/속간 잡종교잡: 후대의 유전 양상이 단순하지 않고 복잡하며, 잡종 종자를 얻기 힘들고 생육 및 임실이 불량합니다.
재래종: 오래전부터 특정한 지방에서 계속 재배되고 있는 토착 품종을 말합니다.
3. 작물 재배 환경 및 기술
재배 환경
산성 토양 적응성:
극히 강한 작물: 벼, 호밀, 귀리, 땅콩, 감자.
가장 약한 작물: 알팔파, 자운영, 콩, 시금치, 양파.
산성 토양과 양분: 토양이 강산성화되면 인산(P), 칼슘(Ca), 마그네슘(Mg), 붕소(B) 등의 이용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건조지대 재배 작물: 고구마, 옥수수, 땅콩, 담배 등이 건조에 강하여 적합합니다.
적산온도: 농작물이 싹이 터서 여울 때까지의 매일 일 평균 기온을 합산한 값을 말합니다.
바람의 영향: 연한 바람은 증산을 촉진하고 양분 흡수를 도와 생육을 건실하게 합니다.
생장 조절 물질 및 생력 재배
발근 촉진 호르몬: 식물의 발근 촉진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옥신입니다.
감자 휴면타파: 감자의 휴면을 깨는 데 적당한 생장 조절 물질은 지베렐린입니다.
춘화 처리 (Vernalization):
저온 처리: 가을보리를 봄에 파종하려면 저온 처리를 하여 출수를 유도해야 합니다.
녹식물 춘화형: 생육 중의 녹식물 상태에서 저온에 감응하는 작물은 당근, 양배추, 양파 등입니다. (벼, 배추, 무, 순무 등은 종자춘화형)
벼의 생력화 재배 요건: 제초제 이용, 공동 작업, 농기계 활용 등이 해당되며, 고품질 품종 개발은 직접적인 요건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작물의 수량 결정 3요소: 품종(유전성), 환경조건, 재배기술입니다.
특수 재배 관리
고구마 큐어링: 수확 시 상처와 병반부를 아물게 하고 당분을 증가시켜 저장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30℃, 습도 90~95%에서 3~4일간 처리합니다.
볍씨 뿌리기 준비 과정: 씨가리기 → 종자 소독 → 씨 담그기 → 싹 틔우기 순으로 진행됩니다.
멀칭 재료 선택:
여름철 지온 상승 억제: 볏짚 (혹은 백색 필름)
잡초 방제: 흑색 플라스틱 필름
봄철 파종기 지온 상승: 투명 플라스틱 필름
과일 착색 촉진: 알루미늄을 입힌 필름
4. 병충해 및 종자 위생
병해충 및 매개충
벼의 주요 해충:
이화명나방: 유충이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6월과 8월 연 2회 발생합니다.
애멸구: 벼의 줄무늬잎마름병 등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입니다.
저장 해충: 쌀바구미는 쌀, 보리, 밀 등의 곡류를 가해하는 대표적인 저장 해충입니다.
병해충 방제:
물리적 방제: 논과 밭 주변 둑을 태우거나 포살, 등화유살, 온도/습도 조절 등을 이용한 방제.
종자전염병 수확 전 방제: 이병된 식물체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종자 위생 및 순도 유지
종자 병해 검정: 세균과 바이러스를 신속히 검정하는 데 주로 이용하는 것은 혈청학적 검정법입니다.
이형주 (Off-type): 잡초, 이종 및 동종의 다른 품종, 품종 내의 유전적 변이체를 말합니다.
인공 교배 시 봉지 씌우기: 다른 꽃가루가 섞이는 것을 막아 자연 교잡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