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개요 및 학습 목표

본 요약 노트는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실전 테스트 4회차 내용을 기반으로, 크레인의 구조, 전기 장치, 안전 관리 분야의 핵심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를 통해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수치, 안전 규정, 기계적 특성 등을 효과적으로 암기하고 대비할 수 있습니다.



2. 크레인 기계 장치 및 구조 핵심 정리


브레이크 및 제어 장치

  • 속도 제어 제동기: 주로 권하 시에 속도를 제어합니다.

  • 브레이크 라이닝 사용한도: 원 두께의 약 50% 감소 시 새 라이닝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 라이닝 30% 감소 시 조치: 마모 한도(50%) 이내이므로, 스트로크를 조정하여 재사용합니다.

  • 브레이크 드럼 과열: 제동 면이 과열되면 마찰 계수가 감소합니다. (15°C 초과 금지)

  • E.C 브레이크 (Eddy current brake): 구조가 간단하고 마모 부분이 없으며, 정격속도의 1/5의 안정된 저속도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 다이내믹 브레이크: 권하 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크레인을 제어하고 안정된 저속도를 얻습니다.


훅 (Hook) 및 달기 기구

  • 훅의 점검 및 시험 (벌어짐): 훅에 정격하중의 2배를 정하중으로 작용시켜 입구의 벌어짐이 0.25% 이하이어야 합니다.

  • 훅의 파괴하중: 정격하중의 5배 이상인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 10,000kgf 정격 시 50,000kgf 이상)

  • 훅의 마모: 훅에 발생한 홈의 깊이가 2mm 이상이 되면 평편하게 다듬질해야 합니다.

  • 훅의 변형: 훅 본체는 균열 또는 변형이 없어야 합니다.

  • 철판 운반 기종: 마그넷 크레인이 가장 적합합니다.

  • 리프팅 마그네트 흡착력 시험: 정격하중의 2배 이상으로 시험해야 합니다.


와이어로프 및 줄걸이

  • 와이어로프 직경 변화 한도: 직경이 7% 이상 변화하면 교환해야 합니다.

  • 보통 꼬임: 꼬임이 되풀리는 경우가 적고 킹크가 생기는 경향이 적어 취급이 용이합니다.

  • 클립 고정법 간격: 클립 간의 간격은 로프 직경의 6배 이상으로 장착합니다.

  • 줄걸이 로프 장력: 줄걸이 각도가 작아질수록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감소합니다. (30°가 가장 작음)

  • 줄걸이 중심 오류 시: 양중물이 회전하거나 한쪽으로 쏠려 넘어지며, 크레인에 부하가 걸려 영향을 줍니다.


크레인 구조 및 치수

  • 양정: 훅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의 수직거리로,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 거더 종류 (20~50톤 용량): 박스 거더를 주로 사용하며, 큰 하중과 비틀림에 유리합니다.

  • 주행 차륜 마모 한도: 차륜 직경의 마모는 원 치수의 3% 이내여야 합니다.

  • 레일 연결부 간격 계산:

    • (한 개 레일 길이 mm) x (최고/최저 온도차) x (선팽창계수)

    • 예시) 20000 x {38 - (-20)} x 0.000012 ≒ 14mm



3. 크레인 전기 장치 및 제어

  • 전동기 출력 계산:

    출력(kW) = (권상하중(kgf) x 권상속도(m/min)) / (6.12 x 효율)

    • 예시) 50 x 1.5 / (6.12 x 0.7) ≒ 17.5kW

  • 전원 전압: 동력 전원은 주로 440V를 사용하며, 조작 전원은 변압기를 이용하여 110V로 감압시켜 사용합니다.

  • 전동기 회전 방향 변경: 1차측 공급 전원의 3선 중 임의의 2선을 바꾸어 회전 방향을 변경합니다.

  • 2차 저항 제어 방식 전동기: 교류 권선형 유도전동기가 2차 저항을 이용하여 기동 및 속도 제어를 합니다.

  • 2차 저항기의 역할: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회로에 부착되어 저항량을 조정함으로써 속도를 변속하는 역할을 합니다.

  • 제어기 (Controller): 교류 전동기 40kW 이상은 간접 제어기를 사용합니다.

  • 집전 장치 (팬터그래프형): 고속형 천장크레인에 사용됩니다. (저속형은 고정형이 적합)

  • 직류전자 브레이크 방전용 저항: 브레이크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때, 코일에 저장된 자기 에너지가 **역기전력(높은 전압 스파크)**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저항은 에너지를 열로 소모시켜 접점 손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4. 안전 및 점검 사항


점검 및 시험

  • 시험 하중: 크레인 시험은 **정격하중의 110%**로 실시합니다. (수시로 실시하지 않음)

  • 사전 운전 점검 (본 작업 전): 무부하 상태에서 브레이크 기능, 클러치 기능, 와이어로프 감김 상태 등을 점검합니다. 훅 균열 검사는 특수 정비 사항입니다.

  • 일상 점검 (주행/횡행/권상): 무부하 상태로 실시합니다.

  • 운전 개시 전: 앵커 또는 레일 클램프는 반드시 해제된 상태여야 합니다.

  • 비상 조치: 작업 중 운전자 졸도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해당 크레인의 전원을 최대한 빨리 차단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안전 장치 및 방호

  • 안전 장치가 아닌 것: 저항기(Resistor)는 속도 제어 장치입니다. (안전 장치 예시: 퓨즈, NFB, EOCR, 리미트 스위치)

  • 리미트 스위치 (상용): 상용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했을 때 권상 훅의 위치는 크래브 하단과 0.25m 이상의 간격이 되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 중추형 권과 방지 장치: 권상 드럼의 회전수와는 관련이 없으며, 훅이나 달기구가 추를 건드려 작동합니다.

  • 버퍼 스토퍼: 주행이나 횡행 시 충돌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장치로, 단단한 고무나 스프링 또는 유압을 이용합니다.

  • 크레인 작업 종료 시: 크레인은 처음 출발한 지점에 정지시켜 두어야 합니다.


작업 안전 수칙

  • 산업 안전 표지 종류: 금지 표지, 경고 표지, 지시 표지, 안내 표지 (위험 표지는 아님)

  • 강산/알칼리 취급 복장: 고무로 만든 옷이 가장 적합합니다.

  • 보호 안경 착용: 산소 용접, 그라인더 작업, 비산되는 칩이 발생하는 작업 시 착용해야 합니다. (일상 점검 시는 아님)

  • 스패너 작업 금지 사항: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이어서 사용하거나, 너트와 스패너 사이에 쐐기를 넣고 사용하는 것은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금지해야 합니다.

  • 해머 작업 안전: 장갑을 끼지 않고 작업하며, 타격 시 시작은 약하게 해야 합니다.

  • 화재의 분류 (B급): 가연성 액체, 유류 등 연소 후 재가 거의 없는 화재입니다.

  • 장비 승/하차 시: 장비에 장착된 손잡이 및 발판을 사용합니다.

  • 물품 운반: 가벼운 화물이라도 규정보다 많이 적재하면 안 되며, 약하고 가벼운 것을 위에, 무거운 것을 밑에 쌓아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