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토양학 및 비료학 핵심 개념


가. 토양의 물리적 성질과 수분

  • 양이온교환용량 (CEC):

    • 값이 크다는 것은 비료 성분(양이온)을 지니는 힘(보비력)이 큼을 의미합니다.

  • 작물의 수분 흡수 깊이:

    • 수분 함량이 충분한 토양에서 식물의 뿌리가 주로 수분을 흡수하는 깊이는 표토 30cm 이내입니다.

  • 유효 토양 수분 (모관수):

    •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 수분의 형태는 모관수이며, pF 범위는 2.7 ~ 4.5 입니다.

    • pF는 토양 수분 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범위가 작물이 뿌리로 흡수할 수 있는 유효 수분 범위입니다.

  • 토양 공극률 계산:

    • 토양의 공극률 (%)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공극률 (%) = [1 - (용적밀도 / 입자밀도)] x 100

    • (예: 입자밀도 2.65 g/cm3, 용적밀도 1.45 g/cm3 일 때 약 45%)

  • 물에 의한 침식 취약 토양:

    • 팽창성 점토 광물이 많은 토양은 물에 의한 침식을 가장 잘 받습니다.

  • 떼알 구조 (입단 구조):

    • 통기성 및 배수성이 좋아 작물 생육에 유리합니다. 물빠짐이 좋지 않은 토양에서는 잘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나. 토양 분류 및 생성 인자

  • 유기물 퇴적 토양:

    • 유기물이 가장 많이 퇴적되어 생성된 토양은 이탄토(Histosol) 입니다.

  • 토양 생성 인자 5대 요인:

    • 시간 (time), 식생 (organisms), 지형 (topography), 모재 (parent material), 기후 (climate) 입니다. (수질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우리나라 미분포 토양목:

    • 우리나라에 주로 분포하지 않는 토양목은 열대/아열대 기후에서 생성되는 옥시졸 (Oxisol) 입니다.

  • 토양 입자 함량 순서 (점토 기준):

    • 식토 > 식양토 > 평토 > 사양토 > 사토 순으로 점토 함량이 많습니다.


다. 비료 및 필수 영양소

  • 비료의 3요소:

    • 질소 (N), 인 (P), 칼륨 (K) 입니다.

  • 식물의 필수 다량 영양소:

    • 질소 (N), 인 (P), 칼륨 (K), 칼슘 (Ca), 마그네슘 (Mg), 황 (S) 입니다.

    • 망간 (Mn) 은 미량원소에 속합니다.

  • 토양 중 인산의 형태:

    • 토양 pH 5 ~ 6 의 범위에서는 작물 이용률이 가장 높은 H2PO4- 이온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 질소 기아 현상:

    • 탄질률 (C/N율)이 30 이상일 때 토양 미생물과 식물 사이의 질소 경쟁으로 나타납니다.

    • 볏짚과 같이 C/N율이 높은 유기물을 다량 사용할 경우 현상이 심해집니다.

  • 복합 비료 성분 계산:

    • 비료의 질소 함량 (kg) = 총 중량 x (질소 성분 비율 / 100)

    • (예: 25 kg 복합비료에 질소 22% 포함 -> 5.5 kg)



2. 작물 생리 및 재배 기술


가. 작물 생리 및 분류

  • 자연 환경의 3요소:

    • 생물 요소, 토양 요소, 기상 요소입니다. (기술 요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작물의 순화:

    • 작물이 환경에 적응하여 특성이 그 생태 조건에 맞게 변화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요수량 (Water Requirement):

    • 작물의 건물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되는 수분량입니다.

    • 요수량이 가장 큰 작물은 호박입니다.

  • 종자 발아 특성:

    • 혐광성 종자 (어두울 때 발아): 고추, 오이, 가지, 양파, 무 등이 있습니다.

  • 작물의 동사점:

    • 동사점 (추위에 견디는 한계 온도)이 가장 낮은 작물은 겨울철 시금치입니다.

  • 포장동화능력:

    • 포장동화능력 = 총엽면적 x 수광능률 x 평균동화능력


나. 재배 기술 및 종자

  • 가을 보리 춘화 처리:

    • 적합한 시기/온도는 최아 종자0 ~ 3ºC 에 처리하는 것입니다.

  • 벼 종자 소독 (냉수온탕침법):

    • 가장 적절한 온탕의 물 온도는 55ºC 입니다. (주로 50 ~ 55ºC에서 5분간 침지)

  • 벼 직파 재배의 중요 특성:

    • 가장 중요한 품종적 특성은 저온 발아성입니다.

  • 벼 재배 중 물 필요 시기:

    • 가장 많은 물이 필요하고 물 부족에 유의해야 하는 시기는 출수기입니다.

  • 사과 봉지 씌우기 효과:

    • 병해충 방지, 착색 증진, 동록 방지, 숙기 조절, 열과 방지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 녹비 작물 조건:

    • 뿌리는 심근성으로 하층의 양분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천근성으로 상층 양분 이용은 틀림)


다. 작물 및 영양기관 분류

  • 섬유 작물:

    • 모시풀, 아마, 케나프, 닥나무, 목화, 삼 등이 있습니다.

  • 과채류:

    • 토마토, 오이, 수박, 가지 등 열매를 이용하는 채소입니다.

  • 영양기관 종묘 이용:

    • 알줄기 (corm): 토란, 글라디올러스

    • 덩이줄기 (tuber): 감자, 튤립

    • 덩이뿌리 (tuber root): 고구마, 순무



3. 유기 농업 및 환경 관리


가. 유기 농업 원칙

  • 유기농업운동연맹:

    • IFOAM국제 유기농업운동연맹을 뜻합니다.

  • 지력을 토대로 한 농업:

    • 자연의 물질 순환 원리에 따르는 농업은 자연 농업입니다.

  • 잡초 제어 (예방적 방법):

    • 멀칭, 윤작, 두과 작물 재배 등이 해당됩니다.

    • 동물 방목은 이미 자란 잡초를 먹이는 방식으로 예방적 방법이 아닙니다.


나. 병해 및 환경 오염

  • 세균성 식물 병:

    • 감자 무름병, 콩 불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등이 있습니다.

    • 고구마 무름병곰팡이에 의해 발병합니다.

  • 품종의 병 저항성:

    • 작물의 병에 대한 품종의 저항성은 때로는 감수성으로 변합니다.

  • 농업 환경 오염 (집약 축산):

    • 토양 생태계 오염, 메탄가스 발생 오염, 수중 생태계 오염은 문제점입니다.

    • 소의 호흡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CO2) 는 광합성 재료로 순환되므로, 이산화탄소 발생 오염은 가장 거리가 멉니다.

  • 토양 침식 방지 대책:

    • 적합: 등고선 경작, 토양 피복, 초생 재배.

    • 부적합: 청경 재배 (잡초를 완전히 제거하여 토양 노출).

  • 간척지 염해 농도:

    • 벼 재배 시 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염분 (NaCl) 농도의 최저 범위는 0.1% 내외입니다.



4. 유기 축산 및 시설 관리


가. 유기 축산

  • 가축의 임신 기간:

    • 돼지의 평균 임신 기간은 약 114일 (3개월 3주 3일) 전후입니다.

  • 돼지 질병:

    • 입으로 전염되며 패혈증, 설사 (백리변), 독혈증 증상을 보이는 질병은 대장균증입니다.

  • 농후 사료 중심 사육의 문제점:

    • 농후 사료를 급여하면 축산물 품질이 높은 축산물이 생산됩니다. 낮은 품질의 축산물 생산은 문제점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나. 시설 관리

  • 시설 환기 효과:

    • 환기는 온도 조절, 유해 가스 배출 효과가 있습니다.

    • 실내 공중 습도를 낮춰줍니다. (높여준다는 틀림)

  • 객토를 실시하는 이유:

    • 시설 내 염류 집적 제거, 토양 물리성 개선, 미량 원소 공급 등이 있습니다.

    • 토양 침식 효과는 객토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