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5회 2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안전 관리 및 분석 기법
1-1.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결과 구분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적정
부적정
조건부 적정
(주의: 일부 적정, 보류 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1-2. PHA (예비 위험 분석)의 사고 카테고리
시스템의 위험 강도를 4가지 범주로 식별하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범주 I (파국적): 부상 및 시스템의 중대한 손해를 초래하는 상태입니다.
범주 II (위기적): 즉시 수정 조치를 필요로 하며, 작업자의 부상 및 시스템의 중대한 손해를 초래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범주 III (한계적): 중대한 손해 없이 제어(대처) 가능한 상태입니다.
범주 IV (무시): 작업자의 생존 및 시스템 유지가 가능한 상태입니다.
1-3. HAZOP (위험과 운전성 분석) 가이드워드
HAZOP 기법에서 사용되는 주요 가이드워드와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More/Less: 정량적인 증가 또는 감소 (예: 유량 증가/감소)
As Well As: 성질상의 증가 (예: 불순물 추가)
Part Of: 성질상의 감소 (예: 혼합물의 일부 누락)
Other Than: 완전한 대체 (예: 예상치 못한 다른 물질 유입)
1-4. FMEA (고장 형태 및 영향 분석) 특징
장점: 서식이 간단하여 초기 분석에 용이합니다.
단점: 복수의 요소가 동시에 고장 나는 경우의 해석이 어렵습니다. 해석의 초점이 인간보다는 장치에 맞춰져 있습니다.
1-5. FTA (결함 나무 분석) 특징
접근 방식: 시스템 고장을 발생시키는 사상에 대하여 하향식(Top-down) 접근방식으로 재해 경로를 분석하는 정량적 기법입니다.
용도: 고장의 원인을 연역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1-6. 시스템 신뢰도 계산
병렬 시스템의 신뢰도 계산 (OR 게이트):
사상 A의 발생 확률 P(A)는 사상 B1과 B2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을 확률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P(A) = 1 - (1 - P(B1)) * (1 - P(B2))
신뢰도 순서: 부품의 신뢰도가 동일할 경우, 모두 병렬로 구성된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가 가장 높습니다.
2. 인간공학 및 작업 환경 설계
2-1. 작업대 높이 설계 원칙 (입식 작업)
작업대의 높이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식 설계 원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작업 유형별 높이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밀작업: 팔꿈치 높이보다 약간 높게 설정합니다.
경작업: 팔꿈치 높이보다 약간 낮게 설정합니다.
중작업: 경작업의 작업대 높이보다 약간 낮게 설정합니다.
2-2. 표시 장치 선택 기준
청각적 표시장치가 유리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메시지가 간단하고 짧은 경우
정보전달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이는 경우
시각적 표시장치가 유리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메시지가 추후에 재참조되는 경우
메시지가 길고 복잡한 경우
주변 소음이 큰 환경
2-3. 열 축적 (S) 계산 공식
열 축적은 인체가 열 교환을 통해 에너지를 얼마나 저장하는지를 나타내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 = (M - W) + R + C - E
M: 근로자의 대사량
W: 수행한 일 (외적 작업)
R: 복사 열교환량 (열 이득)
C: 대류 열교환량 (열 이득)
E: 증발 열손실
2-4. 감각기관의 반응 속도
사람의 감각기관 중 반응 속도가 가장 느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각 (약 0.29초) > 시각 (약 0.20초) > 촉각 (약 0.18초) > 청각 (약 0.17초)
2-5. 신체 동작 유형
외전: 몸의 중심선으로부터 밖으로 이동하는 동작
내전: 몸의 중심선으로 이동하는 동작
굴곡: 신체 부위 간의 각도가 감소하는 동작
2-6. 휴식 시간 계산
60분간 총 작업 시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 시간 Rt (분)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t = 60 * (E_avg - E_max) / (E_avg - E_rest)
E_avg: 해당 작업의 평균 에너지 소비량
E_max: 작업의 에너지 소비량 상한값 (일반적으로 5 kcal/min)
E_rest: 휴식 중 에너지 소비량
2-7. 정적 자세 유지 시 진전(Tremor) 감소 방법
진전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시각적인 참조가 있도록 합니다.
손이 심장 높이에 있도록 유지합니다.
작업 대상물에 기계적 마찰이 있도록 합니다.
(주의: 손을 떨지 않으려고 힘을 주어 노력하면 오히려 진전이 증대됩니다.)
2-8. Layout (배치)의 원칙
운반 작업을 기계화합니다.
중복 부분을 없앱니다.
인간이나 물건의 이동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기계 배치를 집중화합니다.
2-9. 인간 착오 (Human Error) 요인
인지 과정의 착오 요인: 생리/심리적 능력의 한계, 정보량 저장의 한계, 감각차단현상, 정서불안정.
판단 과정의 착오 요인: 능력 부족, 정보 부족, 자기 합리화 부족, 작업/환경 조건 불량 등.
2-10. 통제표시비 (C/D비) 설계 고려 요소
통제표시비(Control/Display ratio)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주요 요소 5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계기의 크기
공차
목측거리 (목시거리)
조작 시간
방향성
2-11. 인체 계측 자료 주요 변수
인체 계측 자료 분석 시 주로 사용하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평균
5백분위수
95백분위수
2-12. 의자 설계 기준 (등받이 및 요부받침)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 각도는 90도 ~ 105도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등받이 폭은 최소 30.5 cm가 되게 합니다.
요부받침의 적절한 높이는 15.2 ~ 22.9 cm입니다. (폭은 30.5 cm)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