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5회 5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토공사 및 지반 안전 기준
1. 흙의 투수계수 (Permeability Coefficient) 영향 인자
투수계수는 흙 속을 물이 통과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포화도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크다.
공극비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크다.
유체의 점성계수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작다.
유체의 밀도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크다.
2. 표준관입시험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N치 (N-value)**는 63.5[kg]의 추를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 시켜, 지반을 30[cm] 굴진하는데 필요한 타격 횟수를 의미합니다.
주로 사질지반에 적용하며, 점토지반에서는 편차가 커 신뢰성이 낮습니다.
N치가 4~10일 경우 모래의 상대밀도는 느슨한 편으로 분류됩니다.
3. 굴착 저면의 안정 대책
히빙 (Heaving) 현상 방지 대책
굴착 주변을 웰포인트 공법 등과 병행하여 지하수위를 낮춥니다.
시트파일 (Sheet Pile) 등의 근입 심도를 충분히 검토합니다.
굴착 저면에 토사 등 인공중력을 증가시켜 저항력을 높입니다.
굴착 배면의 상재하중을 제거하여 토압을 최대한 낮춥니다.
II. 가설 구조물 및 비계 안전 기준
1. 강관비계 설치 기준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비계기둥 간격은 띠장 방향 1.5[m] 이상 1.8[m] 이하, 장선 방향 1.5[m] 이하로 합니다.
띠장 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합니다.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웁니다.
2. 거푸집 동바리 조립 및 해체 안전 기준
파이프 서포트 사용 기준
파이프 서포트는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 철물을 사용하여 이어야 합니다.
재료, 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이나 달포대 등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3. 추락방호망 설치 기준
망의 처짐은 짧은 변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추락방호망은 수평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건축물 등의 바깥쪽으로 설치하는 경우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3[m] 이상 되도록 합니다.
작업면으로부터 망 설치지점까지의 수직거리는 10[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4. 사다리식 통로 설치 기준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폭은 30[cm]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인 경우에는 5[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합니다.
III. 건설기계 및 양중 작업 안전
1. 달비계 와이어로프 사용 불가 기준 (폐기 기준)
이음매가 있는 것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 것.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2. 매듭 추락방망사의 폐기 시 인장강도 기준
그물코의 크기가 5[cm]인 경우: 60[kg]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경우: 135[kg]
3. 항타기 및 항발기 조립 시 점검사항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쐐기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본체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
권상기의 설치상태의 이상 유무
4. 360° 회전작업 불가능한 건설기계
**삼각데릭 (Stiff Leg Derrick)**은 작업 회전 범위가 약 270° 정도입니다.
IV. 철골 및 콘크리트 작업 안전
1. 철골작업 중지 기준
10분간 평균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인 경우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2. 강풍에 대한 내력 설계 확인 필요 철골 구조물
이음부가 현장 용접인 구조물 또는 건물
높이 20[m] 이상의 구조물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4 이상인 구조물
연면적당 철골량이 50[kg/m²] 이하인 구조물
3.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측압 영향 인자
측압이 커지는 요인: 슬럼프가 클수록,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작아지는 요인: 철근량이 많을수록, 타설 속도가 느릴수록, 콘크리트 온도가 높을수록.
V. 기타 작업 안전
1. 터널 공법 분류
전단면 기계 굴착 공법: TBM (Tunnel Boring Machine)
지반 자체를 주 지보재로 이용: NATM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2. 터널공사 전기발파작업 안전
발파 후 즉시 발파모선을 발파기로부터 분리하고, 그 단부를 절연시켜 재점화를 방지합니다.
점화는 선임된 발파 책임자가 행하고, 발파기 핸들은 점화할 때 이외에는 시건장치를 하거나 모선을 분리하여 엄중 관리해야 합니다.
3. 항만하역작업 선박승강설비 (현문 사다리) 설치 기준
300[ton]급 이상의 선박에서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에 현문 사다리를 설치하고 그 밑에 안전망을 설치해야 합니다.
현문 사다리의 너비는 55[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양측에 82[cm] 이상의 높이로 울타리를 설치해야 합니다.
4. 화물 적재 시 준수사항
건물의 칸막이나 벽 등이 화물의 압력에 견딜 만큼의 강도를 지니지 아니한 경우에는 칸막이나 벽에 기대어 적재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침하 우려가 없는 튼튼한 기반 위에 적재하고,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쌓아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