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도료의 종류 및 건조 원리
1.1 도료의 분류와 특성
신차용 상도 베이스: 주로 아크릴 멜라민 수지가 사용되며, 내후성, 외관, 색상 등에서 우수합니다.
불소 수지: 내열성, 내약품성, 내구성, 내후성이 모두 우수합니다. (내후성이 나쁘다는 설명은 오답입니다.)
고형분 용적비(%): 도료가 건조된 후 도막을 형성하는 성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도료의 기능 부여: 도료에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요소는 용제가 아닌 첨가제입니다.
1.2 용제(시너) 및 건조
용제의 역할: 수지를 용해시켜 유동성을 부여하고 도료의 점도를 조절합니다.
비점에 따른 용제 분류:
저비점 용제: 100℃ 이하에서 사용.
중비점 용제: 100℃ ~ 150℃에서 사용.
고비점 용제: 150℃ 이상에서 사용.
도료의 건조 유형:
용제 증발형: 래커 도료, 아크릴 도료 (용제 증발로 건조)
가교형: 우레탄 도료 (주제와 경화제의 화학 반응으로 건조)
건조 불량: 열처리 후 시너를 묻힌 걸레에 페인트가 묻어나는 현상은 경화제 부족 및 경화 불량이 원인입니다.
2. 하도(Primer) 및 중도(Surfacer) 작업
2.1 프라이머-서페이서
건조 방법: 프라이머-서페이서는 자연건조와 강제건조 두 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2액형은 작업 속도를 위해 강제건조를 합니다.
래커계 프라이머-서페이서: 건조가 빠르고 연마 작업성이 좋으나, 우레탄계보다 내수성과 실(Seal) 효과가 떨어지며 가격이 저렴합니다. 작은 면적 보수에 적합합니다.
2.2 워시 프라이머 및 전처리
워시 프라이머: 아연 도금 패널, 알루미늄, 철판면에 적용하는 하도용 도료입니다.
습도에 약하므로 다습한 날에는 도장을 피해야 합니다.
추천 건조 도막 두께(약 8~10 마이크로미터)를 지켜야 하며, 두껍게 도장 시 부착력이 저하됩니다.
소지 철판 전처리: 도장 전 소지 철판에는 주로 인산아연 피막처리를 합니다.
표면 조정 목적: 도막의 부풀음 방지, 오염물질 제거 및 조도 형성으로 후속 도막의 부착성 향상을 위함입니다. 용제를 절약하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2.3 퍼티 및 연마 작업
가장 일반적인 퍼티: 폴리에스테르 퍼티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래커 퍼티 (레드 퍼티): 중도 연마 후 발생하는 작은 핀 홀(Pin Hole) 등 미세한 상처를 수정하는 데 적합합니다. (0.1~0.5 mm 이하)
퍼티 도포 각도: 주걱(헤라)과 피도면의 각도는 45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두꺼운 퍼티 도포 문제점: 부풀음, 핀 홀, 균열 등이 발생하기 쉬우며, 부착력이 떨어지고 연마 작업성이 나빠집니다.
메탈릭 상도용 연마지: 서페이서 마무리 연마지로는 p400~p600이 가장 적합합니다.
거친 연마지 사용: 블렌딩 도장 시 거친 연마지를 사용하면 도료 용제에 의한 주름 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3. 조색 및 상도(Topcoat) 기술
3.1 조색 및 비색 (색상 비교)
색료 혼합: 보색 관계에 있는 색을 혼합하면 무채색으로 변화합니다.
자주(M) + 노랑(Y) = 빨강(R)
조색 시 주의사항:
먼저 많이 소요되는 색과 밝은 색부터 혼합합니다.
서로 다른 타입의 도료를 혼합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비색 조건:
직사광선 하에서 비색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최소 500 lx 이상에서 비색합니다.
정확성을 위해 비교용 시편은 동일한 광택을 가져야 합니다.
3.2 메탈릭 및 펄 색상
메탈릭 입자: 주로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혼합 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메탈릭 미세 입자: 반짝임이 약하고 은폐력은 우수합니다.
펄 색상: 진주 빛을 내는 인조 진주 안료가 혼합되어 있는 도료입니다. (운모에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철 코팅)
3코트 펄 컬러베이스 도장: 올바른 도장 방법은 날림 도장 - 젖은 도장 - 젖은 도장 순서입니다.
3.3 도장 기술 및 결함
플래시 타임 (Flash Time): 여러 단계로 도장할 때 용제가 증발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합니다.
숨김 도장 (블렌딩): 보수 부위와 차체의 색상 차이가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도록 도장하는 방법입니다.
블렌딩 시 주의사항: 도막을 얇게 형성하기 위해 도료의 분출량을 적게 해야 합니다. (분출량을 많게 하는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스프레이 패턴 결함: 스프레이 패턴이 장구 모양으로 상하부로 치우치는 원인은 도료의 점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스프레이건 토출량 증가: 토출량을 증가하면 도막이 두껍게 올라갑니다.
4. 도막 결함 및 안전/환경
4.1 도막 결함 제거 및 원인
탈지 작업: 상도 작업 전 컴파운드, 왁스, 손의 화장품, 소금기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광택 작업 (컴파운딩) 제거 범위: 클리어(투명)층에 발생한 결함(스크래치, 산화, 산성비 자국) 제거에 사용됩니다. 퍼티의 굴곡은 제거하기 힘듭니다.
오염 물질에 의한 결함: 오염 물질의 영향으로 발생된 분화구형 결함은 **크레터링(Cratering)**입니다.
상도 후 반점: 도장면에 반점이 발생하는 결함은 **워터 스폿(물자국)**입니다.
4.2 플라스틱 도장
플라스틱 특징: 내식성, 방습성이 우수합니다.
PP (폴리프로필렌): 내용제성이 강하지만 도료와의 밀착성이 나쁩니다. 따라서 도장 전 프라이머를 도장해야 합니다. (프라이머 도장 생략 시 도막이 벗겨짐)
가솔린 내용제성 최약: 폴리우레탄 부품이 가솔린에 대한 내용제성이 가장 약합니다.
플라스틱 부품이 아닌 것: 실린더 헤드는 알루미늄 합금 부품입니다.
4.3 안전 및 작업 환경
스프레이 부스 목적: 비산되는 도료 분진 집진, 작업자 보호, 먼지 차단, 도장 품질 향상 등입니다. 색상 식별은 주된 목적이 아닙니다.
마스킹 종이 조건: 도료나 용제의 침투가 쉬우면 안 됩니다. 열에 강하고, 작업이 쉬우며,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작업장 안전: 담배는 작업장 내 보이지 않는 곳이든 보이든 곳이든 피워서는 안 됩니다. (화기 사용 금지)
광택용 동력공구 (공기 공급식): 전동식에 비해 가볍고 싸지만, 부하 시 회전이 불안정합니다. 전압 조정기로 회전수를 조정하는 것은 전기식입니다.
4.4 파장의 길이
빛의 파장 순서 (짧은 것부터): 자외선 (UV) -> 가시광선 -> 적외선 (IR) -> 마이크로파
파장이 가장 짧은 것: 자외선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