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크레인의 정의, 용량 및 시험 기준
정격하중 vs 권상하중:
정격하중: 크레인의 권상하중에서 훅, 크래브, 버킷 등 달기기구의 중량을 뺀 하중입니다.
권상하중: 크레인이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의 하중입니다.
정격속도: 정격하중을 들고 권상, 주행, 횡행할 수 있는 최상의 속도를 의미합니다.
크레인 용량 표시:
천장크레인의 용량은 정격하중, 스팬(span), 그리고 양정으로 표시합니다.
정규 부하시험 속도 허용범위:
권하 속도의 허용범위는 +25%에서 -5% 이내입니다.
운전 중 주행속도 제한:
펜던트 또는 무선 원격제어기를 사용하여 작업바닥면에서 조작하며, 화물과 운전자가 함께 이동하는 경우 주행속도는 매 분당 45m 이하여야 합니다.
2. 제동장치 및 속도 제어 방식
속도 제어용 브레이크:
와류(E.C) 브레이크, 다이나믹 브레이크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제동용 브레이크:
교류전자 브레이크, 유압 압상 브레이크(스러스트 브레이크), 오일디스크 브레이크 등이 있습니다.
스러스트 브레이크 (유압 압상 브레이크):
전기를 투입하여 유압으로 작동하며, 주로 주행/횡행 장치에 사용됩니다.
브레이크 간격 및 관리: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간격은 1mm ~ 1.5mm가 적정합니다.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 등에는 오일이 묻어서는 절대 안 됩니다.
디스크의 마모량은 원 치수의 10% 이내여야 합니다.
전동기 회전속도 제어 (전기적):
2차 저항제어가 대표적인 전기적 제어방식이며, 극수변환제어, 인버터제어 등이 있습니다.
3. 안전 및 방호 장치
권과 방지 장치:
대표적으로 캠식 리미트 스위치가 있으며, 권상 장치의 상한과 하한을 제한합니다.
크레인 방호 장치 (종류):
과부하 방지장치, 권과 방지장치, 훅 해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비상정지장치 규격:
버튼은 적색으로 머리 부분이 돌출되어야 하며, 반드시 수동 복귀되는 형식이어야 합니다.
돌발 강풍 조치:
순간 풍속이 초당 30m를 초과하는 바람이 불어올 우려 시, 이탈 방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치를 해야 합니다.
무선 원격제어기 보호등급:
옥외용 송신기는 최소 IP55 이상의 보호등급을 가져야 합니다.
4. 와이어로프 및 달기 기구 관리 기준
드럼 크기:
로프의 수명을 위해 로프의 전 길이를 가능한 1열에 감을 수 있는 크기로 합니다.
와이어로프 안전율: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율은 5.0 이상이어야 합니다.
시브 홈 마모 한도:
시브 홈의 마모한도는 와이어로프 지름의 20% 이하여야 합니다.
플리트 각도 (홈 있는 드럼):
와이어로프 방향과의 각도는 4도 이내여야 합니다.
와이어로프 교체 기준:
소선 수의 10% 이상이 절단된 경우.
직경의 감소가 공칭 지름의 **7%**를 초과한 경우.
훅 (Hook) 마모 한도:
훅 줄걸이 부분의 마모는 원 치수의 5% 이하여야 합니다.
와이어로프 보관:
습기가 없고 환기가 잘 되는 곳, 고열, 직사광선 등은 피하며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5. 줄걸이 및 하물 취급 안전
하물 권상 운전:
하물을 지면에서 20cm쯤 들어 올린 후 일단 정지하여 줄걸이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계속 권상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운전 방법입니다.
담금질 크레인:
재료를 냉각수 유조 내에 단시간 내에 넣어야 하므로 권하 속도가 빠를수록 좋습니다.
줄걸이 각도:
매다는 각도는 원칙적으로 60도 이내가 되도록 하여 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줄걸이용 링크체인:
안전계수는 5 이상이어야 합니다.
하중 계산 (로프 적용 하중):
공식: (짐의 무게 / 로프 수) * (1 / cos(로프 각도/2))
계산 예시: 4.8톤 부하물을 4줄 걸이, 60도로 매달았을 때
계산값: 4.8톤 / 4줄 * (1 / cos(30도))
결과: 약 1.39톤
6. 전동기 및 유지 보수
전동기 속도 계산:
공식: 속도(rpm) = (120 * 주파수) / 극수
계산 예시: 120 * 60 Hz / 4극 = 1,800 rpm
역상 보호 계전기:
전동기의 회전 방향이 잘못 결선되어 역전될 위험이 있을 때 회로를 자동 차단합니다.
절연 재료 허용 온도:
가장 낮은 온도 상승에 견딜 수 있는 것은 Y종 (90도) 입니다. (A종은 105도, B종은 130도)
집중 급유 (그리스):
베어링 등에 그리스를 가득 채우지 않고 1/3 정도만 채우는 것이 원칙입니다.
재해 발생 다발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중 가장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벨트입니다.
전기 고장 조치:
전기장치의 퓨즈가 계속 끊어지면, 용량만 키우지 않고 전기장치의 고장 개소를 찾아 수리해야 합니다.
7. 일반 안전 및 소화 상식
소화의 기본 요소 (제거):
연소의 3요소(가연물, 산소, 점화원)를 분리하거나 연쇄반응을 차단합니다. **'연료를 기화시키는 것'**은 소화의 기본 요소가 아닙니다.
화재의 등급과 분류:
A급 화재: 일반화재 (나무, 종이)
B급 화재: 유류화재 (기름)
C급 화재: 전기화재
D급 화재: 금속화재
K급 화재: 주방화재
토크 렌치:
볼트 등을 조일 때 **조이는 힘(토크)**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렌치입니다.
복스 렌치 사용 이유:
볼트, 너트 주위를 완전히 감싸게 되어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고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신호 (기중기의 이상 발생):
'운전자는 사이렌을 울리거나 한쪽 손의 주먹을 다른 손의 손바닥으로 2, 3회 두드린다'는 신호는 **'기중기의 이상 발생'**을 의미합니다.
안전모:
낙하, 추락 또는 감전에 의한 머리의 위험을 방지하는 보호구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