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승강기 안전 및 법규 일반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안전 및 법규 사항은 출제 빈도가 높습니다. 정확한 수치와 규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산업안전 및 재해 예방
재해 발생 원인 분류:
불안전한 행동 (인적 요인): 위험 장소 접근, 안전장치 기능 제거, 보호구 잘못 사용, 지식의 부족.
불안전한 상태 (물적 요인): 작업 장소 불량, 방호장치/안전장치/보호구의 결함.
안전점검 및 진단 순서: 실태파악 → 결함발견 → 대책결정 → 대책실시 순서로 진행됩니다.
근로자의 준수 사항: 보호구 착용, 작업 중지, 대피. (작업장 순회점검은 관리자 준수 사항입니다.)
추락 위험 장소 보호구: 안전대를 사용해야 합니다.
감전 시 구출 행동: 즉시 잡아당기지 말고, 전원 스위치를 내리거나 절연물을 이용하여 감전사고자를 떼어내야 합니다.
1.2 승강기 법적 설치 기준 (치수 및 시간)
카 내부 유효 높이: 일반 엘리베이터는 2.0 m 이상이어야 합니다. (주택용은 1.8 m 이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카 상부 비상구출문 크기: 0.4 m x 0.5 m 이상이어야 합니다.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 수평거리: 35 mm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비상용 엘리베이터 전력 공급: 정전 시 60초 이내에 전력용량이 자동 발생되어야 하며, 2시간 이상 작동 가능해야 합니다.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대기 시간: 호출 버튼에 의해 카가 정지하면 10초 이상 문이 열린 채로 대기해야 합니다.
승강장 표지/명판 부착 의무: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주위에 '엘리베이터의 종류'를 안내해야 합니다.
2. 승강기 부품 및 구조
승강기를 구성하는 주요 기계 장치와 그 기능, 위치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2.1 도어 및 안전장치
접촉식 보호장치: **문닫힘 안전장치 (Safety Edge)**입니다. 이물체 접촉 시 도어의 힘을 중지하고 도어를 반전시킵니다.
착상 스위치함: 승강장 도어 구조에 해당하지 않으며, 카 상부에 위치합니다.
완충기 (Buffer): 카나 균형추가 최하층을 통과했을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피트에 설치합니다.
유입 완충기 복귀 시간: 완전히 압축한 상태에서 복귀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120초 이내입니다.
유압 엘리베이터 비상 하강 밸브: 정전 시 승객을 안전하게 내릴 수 있도록 수동으로 카를 하강 조작하는 밸브입니다.
2.2 기계실 및 승강로 위치
기계실 부품: 권상기, 제어반, 과속조절기.
피트 부품: 완충기, 인장 도르래. (균형추는 승강로 내부에 위치합니다.)
기계실 설치 방식:
베이스먼트 방식: 기계실을 승강로의 아래쪽에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2.3 로프 및 레일 (안전율 계산 포함)
와이어 로프 구성 요소: 소선, 스트랜드, 심강. (킹크는 로프의 손상 형태입니다.)
도르래 언더컷 (Under Cut) 목적: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계수 향상을 위함입니다.
카 주 안전율 계산: 안전율은 파단강도를 허용응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공식: 안전율 = 파단강도 / 허용응력
예시: 하중 3,600 kgf, 단면적 12 cm² 일 때, 허용응력 = 3600 / 12 = 300 kgf/cm². 파단강도 4,800 kgf/cm²이면 안전율 = 4800 / 300 = 16입니다.
로핑 방식 (Ropping): 로프의 장력이 부하 측 중력의 1/2이 되고, 카의 속도가 로프 속도의 1/2이 되는 방식은 2:1 로핑 방식입니다.
3. 전기 및 제어 이론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기본 원리, 회로, 그리고 제어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3.1 전기 기초 및 법칙
저항의 변화: 전선의 길이를 고르게 2배로 늘리고 단면적이 1/2로 되면, 저항은 처음의 2 / (1/2) = 4배가 됩니다.
소비전력 (P): P = I 곱하기 I 곱하기 R 입니다.
예시: 저항 R = 200 Ohm, 전류 I = 15 A 일 때, 소비전력 P = 15 x 15 x 200 = 45,000 W = 45 kW입니다.
플레밍의 왼손 법칙: 전자력 F = BIl N과 관계가 깊습니다.
전선 굵기 결정 고려 사항: 허용전류, 전압강하, 전력손실, 경제성 등이 주요 고려사항입니다.
3.2 교류 회로 및 제어
3상 선전류 계산 (델타 결선): 임피던스 Z는 저항 제곱과 리액턴스 제곱의 합의 제곱근입니다.
예시: 임피던스 6+j5 Ohm에 200 V 전압을 가할 때, Z는 약 7.81 Ohm. 선전류는 약 44.3 A 입니다.
교류 2단 제어 방식: 고속 권선(기동/주행)과 저속 권선(감속/착상)을 이용하며, 착상 시 모든 접점을 끊고 브레이크를 거는 방식입니다.
피드백 제어의 중요 장치: 목표값과 출력값을 비교하는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가장 중요합니다.
4. 에스컬레이터 및 유압 엘리베이터
4.1 에스컬레이터 규정
경사도 기준: 원칙적으로 30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다만, 층고가 6 m 이하이고 공칭속도가 0.5 m/s 이하인 경우 35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스커트 가드의 안전장치: 디딤판과 스커트 사이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킵니다.
손잡이 강도: 운행 방향 반대편에서 450 N의 힘으로 당겨도 정지되지 않아야 합니다.
4.2 유압 엘리베이터 특징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 특징: 실린더의 점검이 용이하고, 실린더 설치를 위한 보호관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부하에 의한 카 바닥 빠짐이 작은 것은 직접식 특징입니다.)
작동유 적정 온도 범위: 5 도C 이상 60 도C 이하입니다.
5. 점검 및 유지 관리
5.1 점검 기준 및 주기
엘리베이터 점검 시 카 속도: 0.63 m/s 이하이어야 합니다.
점검 주기에 따른 분류:
월 1회 (1/1): 과부하 감지 장치, 핸드레일 시스템의 속도 점검.
주기적 점검: 승강기 부품의 상태 점검.
카 추락방지안전장치 자체 점검 기준: 장치 작동 시 카의 수평도, 전기 안전장치 설치 및 작동 상태 등. (인장 풀리 설치 상태는 과속조절기의 점검 기준입니다.)
5.2 기계 요소 일반
기어 언더컷 (Undercut): 기어 강도와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며 원활한 회전을 어렵게 합니다.
지름피치와 이의 크기: 지름피치의 값이 커질수록 이의 크기는 작아집니다.
캠의 사용: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나사의 사용: 일반 체결용으로는 주로 삼각나사가 사용됩니다.
각도 측정 기기: 사인바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