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종자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종자 생리 및 품질 검정


1. 발아 및 생리적 특징

  • 발아율 공식: 발아율 (%) = (정상 발아한 종자 수 / 사용된 종자 수) x 100

  • 발아 촉진 광: 적색광 (660 ~ 700 nm)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특히 670 nm 부근에서 발아가 잘됩니다.

  • 광가역성 물질: **피토크롬 (Phytochrome)**이 종자 발아의 광가역성 (적색광-원적색광)에 관여합니다.

  • 종자 퇴화 증상: 효소 활성 저하, 호흡 저하, 유리지방산 증가, 종자 침출물 증가가 나타납니다.

  • 휴면 타파 방법: 기계적 종피 파상, 층적 저장 (저온 처리), 화학제 처리 등. 청색광 처리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수중 발아 종자: 벼, 상추, 당근, 셀러리 등은 물속에서도 발아력이 잘 유지됩니다.


2. 종자 수명 및 저장 조건

  • 종자의 수명 분류 (실온 기준):

    • 단명종자: 1 ~ 2년 (예: 양파, 파, 당근)

    • 상명종자: 3 ~ 5년 (예: 완두, 무, 배추, 호박)

    • 장명종자: 5년 이상 (예: 수박, 가지)

  • 이상적인 저장 조건: 저온저습 (종자 수분함량을 낮게 유지)을 유지해야 합니다.

  • 저장 피해 요인: 고온, 다습, 충해 (해충 피해), 쥐해 등이 종자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

  • 습윤저온층적 저장 (Stratification): 습기가 있는 모래나 톱밥에 종자를 층층이 쌓아 1 ~ 10°C 에서 3 ~ 4주간 처리합니다.



II. 육종 및 유전학


1. 유전 법칙 및 형질

  • 멘델의 독립유전법칙: 두 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후대에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형질을 나타냅니다.

  • 단성 잡종 (RR x rr) F2 표현형 분리비: 우성 : 열성 = 3 : 1 입니다.

  • 대립유전자 (Allele): 상동염색체의 상동부분에 존재하며 같은 형질을 결정하는 DNA 물질입니다.

  • 형질의 구분:

    • 질적 형질: 적은 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며 환경 영향이 적습니다 (예: 꽃색).

    • 양적 형질: 많은 수의 유전자가 관여하고 환경 영향이 크며 연속 변이를 나타냅니다.


2. 육종 방법 및 기술

  • 순계분리법: 자식성 작물의 재래종 집단에서 특정한 형질을 가진 순계를 선발하는 방법입니다.

  • 여교배 (Backcross): 잡종에 양친 중 한쪽 친을 반복적으로 교배하는 방식입니다.

  • 복교잡 (Double Cross): 네 가지 근교계를 이용한 교배입니다. 예: (A x B) x (C x D)

  • 동질배수체 특징:

    • 세포 및 기관이 거대화되고 영양기관 생육이 증진됩니다.

    • 병충해 저항성이 증대되나, 착과성 감퇴 및 임성 저하로 인해 수정이 잘 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 배수체 육종 약제: 콜히친 (Colchicine) 처리는 방추사 형성을 저해하여 염색체 수를 인위적으로 배가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3. 1대 잡종 (F1) 품종

  • 장점 (잡종 강세): 수량이 많아지고, 생육이 왕성하며, 균일성이 높습니다.

  • 단점: 채종량이 적고 종자 가격이 비쌉니다.

  • 농가 보급: 양친을 교배하여 얻은 F1 종자를 농가에 보급하며, F1 종자를 다시 심으면 형질이 분리되어 품질이 떨어집니다.



III. 재배 및 종자 생산 관리


1. 경종 및 재배 기술

  • 벼의 수확 시기: 출수 후 40 ~ 50일경이 가장 적당하며, 벼알 전체의 90% 이상이 황색으로 변했을 때입니다.

  • 벼의 수량 구성 요소 (4가지): 단위 면적당 이삭 수, 이삭당 평균 영화 수, 등숙 비율, 1,000립중입니다. 출수 비율은 수량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 생력재배 (省力栽培) 효과 및 방안:

    • 가장 큰 효과: 생산비의 절감입니다.

    • 기술: 기계화, 자동화, 제초제 사용, 공동 출하, 농로정비를 통한 작업 효율 증진.

  • 이어짓기 (연작) 장해 대책: 돌려짓기 (윤작), 담수, 토양 소독, 내병성 품종 선택 등이 있습니다. 생력재배는 직접적인 대책이 아닙니다.

  • 돌려짓기 (윤작) 예: 중세 유럽의 3포식 농법은 대표적인 돌려짓기 방법입니다.

  • 멀칭 재배 효과: 지온 유지 및 상승, 수분 증발 억제, 토양 유실 방지, 잡초 발생 억제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2. 종자 채종 및 보존

  • 품종의 특성 유지 방법: 영양번식에 의한 보존재배, 격리재배, 원원종재배, 개체집단 선발법 등이 있습니다.

  • 신품종 보호 요건: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고유한 품종 명칭이 필수입니다. 유용성은 요건이 아닙니다.

  • 고랭지 씨감자 재배 이유: 여름철 낮은 기온과 습기로 인해 진딧물 발생이 적어 바이러스병 감염을 방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 채소 작물의 과(科) 분류:

    • 명아주과: 근대

    • 아욱과: 아욱

    • 국화과: 상추

    • 산형화과: 셀러리



IV. 병해충 및 불임성

  • 종자 전염성 병 방제: 화학적 소독, 물리적 소독 (온탕 침법), 무병 종자 이용, 토양 소독 등을 실시합니다. 침종처리는 발아 촉진을 위한 것이지 병 방제 목적이 아닙니다.

  • 효소결합항체법 (ELISA):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항체에 효소를 결합시켜 색의 변화로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 벼의 바이러스병 매개충: 줄무늬잎마름병 등의 바이러스병은 주로 애멸구가 매개하여 전파됩니다.

  • 종자 불임성:

    • 불화합성: 생식 기관이 건전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교배 조합에서 수정이나 결실을 하지 못하는 성질입니다.

    • 유전적 불임성: 웅성불임성, 자성불임성, 배우자 불임성, 세포질적 불임성 등이 있으며, 순환적 불임성은 유전적 원인이 아닙니다.

  • 중복 수정 (Triple Fusion): 웅핵 (n)과 극핵 (2n)이 결합하여 배유핵 (3n)을 형성합니다.



V. 기타 중요한 개념

  • 배주의 구조:

    • 주공 (Micropyle): 수정 후 화분관이 난세포와 결합하기 위해 들어가는 구멍입니다. 종자에서는 발아공이라고 합니다.

    • 제 (Hilum): 종자가 배병 또는 태좌에 붙어 있던 자리입니다.

  • 카네이션 생리장해: 밤낮 일교차가 심하거나 질소, 붕소 성분이 부족할 때 언청이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 수박 인공교배 적기: 일반적인 자연 환경에서 오전 6 ~ 10시 사이, 늦어도 오전 중에는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