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토양학 및 비료 관리


1.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성질

  • 토양 물리적 성질: 토성(점토, 미사, 모래 비율), 토양온도, 토양색, 토양구조, 수분함량, 공극률, 밀도.

  • 토양 화학적 성질: 토양 반응 (pH).

  • 토층의 일반적인 순서: O층(유기물층) -> A층(용탈층) -> B층(집적층) -> C층(모재층) -> R층(모암층).

  • 정적토: 암석 풍화 분해물이 제자리에 집적되어 형성된 토양 (잔적토, 이탄토).

  • USDA법 입경 기준: 자갈은 2.0mm 이상. (모래 2.0 ~ 0.05mm).


2. 토양 구조 및 염기 치환

  • 토양 구조 형태

    • 괴상: 다면체를 이루며, 밭 토양 및 산림 하층토에 분포.

    • 입상(구상): 유기물이 많은 표토층(30cm 이내)에 분포.

    • 판상: 용적밀도가 크고 공극률이 낮음 (논토양).

  • 토양 구조 발달에 불리한 요인: 빈번한 경운, 토양의 건조와 습윤의 반복.

  • 양이온 교환 용량 (CEC): 점토 함량이 높은 식토가 가장 크다 (30cmol(+)/kg 이상).

  • 음이온 흡착 순위 (빠른 순): PO4⁻³ > SO4⁻² > NO3⁻ > CI⁻.

  • 염기 포화도 계산: 염기포화도 (%) = (치환성 염기량 / 양이온 치환 용량 (CEC)) x 100


3. 논토양 및 산성화

  • 논토양 vs 밭토양 (차이점)

    • 논토양 (환원 조건): 청회색, 질소 형태는 NH4+-N, 유기물 분해 시 메탄 (CH4) 방출.

    • 밭토양 (산화 조건): 황색/적색, 질소 형태는 NO3--N, 유기물 분해 시 이산화탄소 (CO2) 방출.

  • 글레이화 (Gleization): 배수 불량 시 환원 상태로 청회색/회백색 집적층이 생기는 현상 (논토양 하층부).

  • 산성토양의 생물학적 영향

    • 알루미늄 독성으로 뿌리 신장 저해.

    • 망간 독성으로 식물 잎 만곡 현상.

    • 철 과잉 흡수로 벼 잎에 갈색 반점.

    • 산성 토양 적응성이 약한 작물: 부추, 양파, 시금치, 콩.


4. 시비 및 비료

  • 시비량 계산: 시비량 = (비료요소 흡수량 - 천연 공급량) / 비료요소의 흡수율

  • 요소 비료의 질소 함량: 요소는 질소 (N) 성분을 46% 함유.

    • 질소 유효 성분 함유량 (kg) = 총 요소 비료량 (kg) x 0.46

  • 유기물의 역할: 질소 공급, 수분보유량 및 양이온교환용량(CEC) 증가. 유기산은 토양 입단을 파괴하지 않음.

  • 습답 개량: 암거 배수, 질흙 객토. 질소 비료 사용량을 줄여야 함.

  • 퇴비 부숙도 검사 방법: 생물적 방법 (발아시험, 지렁이법), 관능적 방법 (색, 냄새), 화학적 방법 (pH, 탄질율). (물리적 방법은 해당 없음).



II. 작물 재배 및 환경 생리


1. 작물 환경 및 피해

  • 작물의 내동성 감소 요인: 전분 함량이 많을 때, 원형질의 점도가 낮을 때.

  • 벼 냉해 방지: 냉해 상습 지역은 안전한 조생종 재배. 이삭이 밸 때 물 대주기. 유기질/규산질 비료 시비.

  • 풍해의 생리적 기구: 탈수 장해, 물리적 장해, 호흡 증가. 광합성 저해 (증가 X).

  • 연풍의 특성: 건조 상태를 악화시킨다. 증산 작용을 조장하여 양분 흡수를 증대시킴.

  • 대기 성분: 지상의 공기 중 가장 많이 함유된 가스는 질소 가스 (N2) 이다.

  • 탄산 시비 목적: 광합성 증대.


2. 재배 기술 및 생리

  • 작부 체계

    • 주위작: 주 작물 주위에 다른 작물을 심음 (예: 참외밭 둘레 옥수수).

    • 중경작물: 옥수수, 수수 등 잡초 경감 목적.

    • 휴한작물: 클로버 등 콩과식물을 재배하여 지력 유지.

  • 파종 방법:

    • 점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자를 1~수립씩 띄엄띄엄 파종.

    • 산파: 포장 전면에 종자를 흩어 뿌림.

  • 광주기성 (일조 시간)

    • 장일성 작물: 보리, 완두, 우엉, 시금치, 딸기.

    • 단일성 작물: 벼, 고구마, 옥수수, 호박.

    • 중일성 작물: 고추, 상추, 당근, 토마토.

  • 변온 효과: 감자, 고구마 등은 주야간 변온이 괴경/괴근 비대를 촉진. 맥류 등 화곡류는 변온이 작은 것이 개화를 촉진.

  • 과실 비대 (온도): 생장 적온을 넘으면 과실의 생장 속도는 떨어진다. 사과는 세포 분열이 왕성한 주간 가온 시 세포수가 증가.


3. 관개 및 연작

  • 관개 방법: 암거법은 지하에 관을 배치하여 물이 간극으로부터 스며 오르게 하는 방법.

  • 연작 피해가 상대적으로 작은 작물: 호박, 당근, 양파, 목화.

  • 포도 화진 현상 예방: 붕소, 칼슘 시비. 개화 전 생장점 적심. (질소질 과다 시비는 주요 원인).



III. 유기농업 및 병해충 관리


1. 병해충 관리

  • 총채벌레 천적: 애꽃노린재 (응애, 나방 알, 유충 등을 포식하는 광식성).

  • 병충해 방제 (천연 제제): 계란 노른자는 유화제 역할, 식용유는 진딧물의 호흡 방제 역할.

  • 병 저항성: 몇 개의 병원균과 해충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는 기주의 능력.

  • 작물 피해 토양 소동물: 작물의 뿌리에 큰 피해를 입히는 것은 선충.

  • 벼 종자 소독으로 방제 불가능한 병: 오갈병 (바이러스병, 끝동매미충 매개).

  • 유기재배 농법 목적: 쌀겨농법, 오리농법, 우렁이농법의 가장 큰 목적은 잡초 방제.


2. 미생물 및 소독

  • 유용미생물 (EM) 고려 토양 소독 온도: 60ºC 에서 30분간 소독 권장.

  • 세균류 분류

    • 타급 영양 세균: 암모니아화성균, 근류균, 섬유소분해균 등 (유기물 분해).

    • 자급 영양 세균: 철세균, 황세균, 질산화성균 (무기물 이용).

  • 토양 미생물 수 단위: cfu (Colony-forming unit, 집단 형성 단위).



IV. 종자 및 육종


1. 종자 및 발아

  • 발아 억제 물질 총칭: 블라스토콜린 (Blastocholin). (아브시스산 (ABA) 등이 포함됨).

  • 종자의 발아 외적 조건: 수분, 산소, 온도, 광선.

  • 종자의 발아 내적 조건: 유전성의 차이, 성숙도, 휴면 여부.

  • 우량 품종 특성 유지: 영양번식으로 증식하는 것이 가장 좋다.


2. 육종 및 품종 보호

  • 유기 재배 농가 금지 종자: 유전자 변형(형질 전환) 육종 기술에 의해 생산된 종자.

  • 품종 보호 요건: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우수성은 요건이 아님).

  • 복교배 표시: (A x B) x (C x D). (단교배: (A x B), 여교배: (A x B) x A).



V. 유기 축산 및 법규


1. 유기 축산 기준

  • 유기 축산 사료: NPN (비단백태 질소 화합물) 사용 금지.

  • 유기 축산 전환 기간:

    • 식육 생산용 젖소: 90일 이상.

    • 식육 생산용 돼지: 최소 5개월 이상.

    • 식육 생산용 한우: 입식 후 12개월 이상 (주의 필요).

  • 소의 제1종 가축 전염병 (법정 전염병): 우역, 우폐역, 구제역, 수포성 구내염 등.


2. 역사 및 기타

  • 삼한 시대 오곡: 조, 피, 기장, 보리, 참깨 (수수 제외).

  • 유기농업 발전 기획단 설치: 농림수산식품부(농림부)에 1991년 설치.

  • 작물이 분화하는데 가장 먼저 일어나는 것: 유전적 변이.

  • 농업 형태 중 가장 집약적인 형식: 원경 (채소, 과수 등).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