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6회 2과목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6회 2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인간공학(Human Factors Engineering) 기초


1.1. 환경 및 작업 공간 설계


1. 최적 반사율 순서 (작은 것부터 큰 순서)

  • 바닥 < 가구 < 벽 < 천장

  • 일반 권장 반사율: 천장(80-90%), 벽(50-60%), 바닥(20-40%) 순입니다.


2. VDT 작업을 위한 조명 원칙

  • 화면 반사를 줄이기 위해 산란식 간접조명을 사용합니다.

  • 화면과 주변의 휘도비는 1:10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작업 영역은 조명기구 바로 아래보다는 조명기구들 사이에 두어 균일한 조도와 낮은 눈부심을 확보합니다.


3. 직사휘광 처리 방법 (눈부심 방지)

  • 창문을 높이 설치하여 시선 각도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 차양(Overhang)이나 블라인드(Blind)를 사용합니다.

  • 간접 조명의 수준을 낮추어 눈부심의 대비를 줄입니다.


4. 실효온도(ET, Effective Temperature) 결정 요소

  • 온도

  • 습도

  • 대류 (기류 속도)

  • 주의: 복사(Radiation)는 결정 요소가 아닙니다.



1.2. 인체 측정 및 설계 원칙


1.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설계

  • 설계 기준: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는 가장 나중에 고려하며, 자세와 동작에 따라 고려할 치수가 달라집니다.

  • 최대치 기준 설계 (큰 사람 기준): 작업대 높이, 통로 폭 등 여유 공간이 필요한 경우. 인체측정치의 95%tile을 사용합니다.

  • 최소치 기준 설계 (작은 사람 기준): 의자의 깊이, 스위치 조작력 등 도달 범위가 제한적인 경우. 인체측정치의 5%tile을 사용합니다.


2. 청각적 표시장치 지침

  • 신호는 최소한 0.5초에서 1초 동안 지속해야 합니다.

  • 신호는 배경 소음과 다른 주파수를 이용해야 명료성이 확보됩니다.

  • 멀리 보내는 신호 (300 m 이상)는 주파수 감쇠가 적은 800 Hz 전후를 사용합니다. (2,000 Hz 이상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2. 시스템 안전공학(System Safety Engineering)


2.1. 시스템 안전 관리 및 기법


1. 인간-기계 시스템 설계 6단계 순서

  1. 시스템의 목표와 성능명세 결정

  2. 시스템의 정의

  3. 기본설계

  4. 인터페이스 설계 (계면설계)

  5. 보조물 설계

  6. 시험 및 평가


2. MIL-STD-882B 위험 해결 우선권 (재해 우선 순위)

  1. 최소 리스크를 위한 설계 (위험 제거 또는 최소화)

  2. 안전장치 설치 (위험 제어)

  3. 경보장치 설치 (경보를 통한 인지)

  4. 절차 및 교육훈련 개발 (절차를 통한 대비)


3. 시스템 안전을 위한 업무 수행 요건

  • 다른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과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분리 및 배제는 틀린 설명입니다.)


4. 위험 조정 기술 (Risk Control)

  • 위험 회피 (Avoidance)

  • 위험 감축 (Reduction)

  • 보류 (Retention)

  • 주의: 위험 확인 (Confirmation)은 위험 조정 기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2.2. 위험 분석 기법 (Hazard Analysis)


1. FTA (Fault Tree Analysis, 고장수목 분석)

  • 특징: 시스템 고장을 발생시키는 사상에 대하여 하향식(Top-Down) 접근방식으로 재해 경로를 분석하는 정량적 기법입니다.

  • 최소 컷셋 알고리즘: Fussel Algorithm, Boolean Algorithm, Limnios & Ziani Algorithm.

  • 주의: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 기법입니다.


2.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고장형태 및 영향 분석)

  • 고장 등급 결정 5가지 평가 요소: 기능적 고장 영향의 중요도,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고장 발생의 빈도, 고장 방지의 가능성, 신규 설계의 정도.


3. THERP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 인간 실수율 예측 기법: 인간 오류의 확률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HRA (Human Reliability Analysis) Handbook이라고도 불립니다.



2.3. 신뢰성 및 안전성 원리


1. 페일세이프(Fail-Safe)의 원리

  •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정지하거나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원리입니다.

  • 원리(구조): 다경로 하중구조, 이중구조, 교대구조(대치구조), 하중 경감구조.


2. 신뢰도 (Reliability) 계산

  • 병렬 결합 모델 신뢰도 (Rp):

    • 공식: Rp = 1 - (1 - R)^n

    • (예시) 신뢰도 0.4인 부품 5개가 병렬 결합: 1 - (1 - 0.4)^5 = 약 0.92


3. 평균 고장시간 (MTTF, Mean Time To Failure) 계산

  • MTTF는 수리 불가능한 부품의 평균 수명입니다.

    • 공식: MTTF = 총 가동 시간 / 고장 건수

    • (예시) 24개 회로가 4,000시간 가동 중 14번 고장: MTTF = (24 * 4,000) / 14 = 약 6,857 시간


4. 설비 보전 평가 (설비 종합 효율 OEE)

  • 시간 가동률:

    시간 가동률 = (부하 시간 - 정지 시간) / 부하 시간

  • 정미 가동률:

    정미 가동률 = (생산량 * 기준 주기 시간) / (부하 시간 - 정지 시간)

  • 설비 종합 효율:

    설비 종합 효율 = 시간 가동률 * 성능 가동률 * 양품률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